    

▲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DVI 단자의 다양한 사진입니다. 케이블 제조사에 따라 금속 부분을 제외한 몸체 형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크기가 작고 금속 접점을 플라스틱 구조물에 매립한 DisplayPort, HDMI와 달리 DVI는 큼지막한 핀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습니다. DVI가 처음 등장한 1999년만 하더라도 부품을 미세하게 만들 수 있는 기술력이 보편화되지 않았기에 이처럼 누구나 제작하기 쉽도록 큼지막하게 만들었습니다. 참고로 1999년은 최초의 GeForce 그래픽카드가 등장한 해이며, 무려 0.22 μm 공정으로 GPU를 만들었습니다. 나노미터(nm)가 아닌 마이크로미터 맞습니다. DisplayPort에서 걸쇠가 있는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DVI는 나사를 돌려 케이블을 고정하는 무식하지만 효과는 확실한 고정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통신을 위한 금속 접점은 기본적으로 24개가 있으며, 십자 형태 접점은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를 구분하는 데에 사용합니다. DisplayPort와 HDMI가 영상과 음성 신호를 동시에 통신하는 것과 달리 DVI는 영상 신호만 통신할 수 있으며, 음성 신호는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단, 입력 기기에서 음성 신호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았기에 보통 DVI to HDMI 케이블이나 단자를 활용해야 했죠.
□ 단자 종류 
▲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DVI-I] 디지털, 아날로그 겸용, 싱글 링크 3.96 Gbit/s, 듀얼 링크 7.92 Gbit/s [DVI-D] 디지털 전용, 싱글 링크 3.96 Gbit/s, 듀얼 링크 7.92 Gbit/s [DVI-A] 아날로그 전용
DVI는 크게 3가지 단자로 구분하는데, DVI-I, DVI-D, DVI-A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오른쪽 십자 형태 접점을 사용하면 아날로그, 사용하지 않으면 디지털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DVI-I와 DVI-D는 싱글 링크Single Link와 듀얼 링크Dual Link로 다시 한번 나뉘는데요. 단자 가운데에 있는 금속 접점(6개) 사용 여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싱글 링크는 3.96 Gbit/s, 듀얼 링크는 7.92 Gbit/s 대역폭을 지원하므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해상도와 주사율 차이가 발생합니다. 싱글 링크는 FHD @ 60 Hz가 최대이며, 듀얼 링크는 FHD @ 120 Hz 또는 QHD @ 60 Hz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왼쪽: Mini DVI, 오른쪽: Micro DVI, 출처: 위키피디아
Apple이 macOS 컴퓨터를 위해 Mini DisplayPort를 만든 것처럼, DVI 시절에도 Mini DVI, Micro DVI라는 단자를 만들었는데, 사실상 독자 규격으로 사용했기에 수명이 길지 않았으며, 이후 등장한 Mini DisplayPort에 그 역할을 넘겼습니다.
DVI는 DDWG가 단명하며 최초 규격이 만들어진 이후 더 이상 개선 사항이 없으며, HDMI와 DisplayPort가 등장한 이후 자연스레 시장에서 사라졌습니다. 대역폭도 제한적이기에 날이 갈수록 해상도와 주사율이 증가하는 모니터 시장에서 사용하기 부적절했기 때문입니다. 대신 아날로그와 디지털 신호를 모두 사용할 수 있던 만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화하던 2000년대 초반, 그리고 HDMI와 DisplayPort가 제대로 자리 잡기 전까지 중간다리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