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제품비교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컴퓨텍스
하드웨어 제품비교 •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퀘이사존 콘텐츠는 각 브랜드(협력사)에서 보내주는 제품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콘텐츠 완성 후 댓글 이벤트로 퀘이사존 회원분들께 경품으로 제공하거나 반납을 진행하고 있죠. 종종 댓글이나 쪽지를 통해 실사용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해줬으면 한다는 회원분들의 의견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그중에서 장시간 사용이 필수인 CPU 쿨러, 파워서플라이가 안정적으로 성능 유지가 되는지 확인해달라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는 콘텐츠를 준비해봤습니다. 20개월 실제 사용한 파워서플라이를 대상으로 100% 부하 테스트를 진행해보기로 했는데요. QM센스와 바다가 테스트 시스템에 장착 후 다양한 부하를 지속적으로 가한 제품입니다. 매일 9시간(업무 시간)씩 구동되었기에 실사용에 근접한 테스트 샘플로 선택하게 됐는데요. 테스트에 사용될 파워는 바로 SuperFlower LEADEX III GOLD 850W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한 GOLD 파워가 1년, 2년 이상 사용 후에도 안정적으로 성능이 유지가 될지 궁금할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 RTX 30 시리즈와 더불어 차세대 그래픽카드(루머: RTX 40)에 대한 소식이 들려오면서 GOLD 제품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는데요. 사용 중인 GOLD 파워 효율과 12V 전압은 괜찮을지 검증을 위해 100% 부하 조건으로 10시간 테스트를 준비해봤습니다. 과연 20개월 사용된 GOLD 파워는 어떨지 함께 확인해보시죠.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2019년 하반기 출시된 SuperFlower LEADEX III GOLD 파워는 하이엔드 파워를 찾는 소비자 취향에 맞게 풀 모듈러 디자인, FDB(유체베어링) 쿨링팬, 3단계 ECO 모드, 105℃ 콘덴서, 50℃ 고온 테스트 통과 등 등급에 맞는 구성을 보여줍니다. 제품 라인업은 650W, 750W, 850W 총 3가지 모델로 구성되었으며, 현재는 시장 변화에 따라 750W와 850W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입니다.
제품 크기는 표준 ATX보다 앞뒤로 20 mm 긴 160 mm로 설계되었습니다. 팬그릴은 대중화된 벌집형 타입이 아닌 팔각형으로 구성하여 기존 제품과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섀시와 일체형 타입을 선택했으며, 중앙에는 나비 로고를 배치했습니다. 모듈러 케이블 연결부에는 각 포트에 맞게 안내 문구가 표기되어있어 헷갈리지 않습니다.
후면 에어홀은 벌집 모양으로 구성했습니다. 전원 입력 포트 그리고 ON/OFF 스위치 말고도 0, I, II를 각인한 스위치가 하나 더 보이는데요. 이는 ECO 지능형 팬 컨트롤 시스템 II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입니다. Mode '0'는 팬리스 모드, Mode 'I'는 노멀 ECO 모드 그리고 Mode 'II'는 오토 모드입니다.
2020년 12월 생산 제품이며, 시리얼 번호는 S2012101079입니다. 또한, 봉인실도 제거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하이엔드 파워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풀 모듈러 디자인을 적용하여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하여 깔끔한 선정리가 가능합니다. Z690 칩세트와 같은 하이엔드 마더보드 사용자를 위해 CPU 보조 전원 케이블도 4+4핀 개별 라인으로 2개를 제공합니다.
20+4 핀 메인 케이블은 SuperFlower가 개발한 새로운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기존 플라스틱 걸쇠로 고정하거나 끝단에 살짝 튀어 나온 포트에 맞춰서 연결하던 방식이 아닌 한쪽 파트를 걸쇠 형태로 고정하고, 클립처럼 고정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변화를 주었는데요. 이를 통해 간편하게 마더보드 20+4핀 포트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80PLUS 인증이란 무엇인가?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Unit : PSU) 효율에 관한 인증 부분에서 가장 신뢰가 높은 인증 기준값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격으로, ECOS(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 기관)에서 2004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부하에 따른 효율 부분에 대한 규격으로 10% 부하에서부터 20%, 50%, 100% 정격 부하 환경에서 80% 이상의 효율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에만 제공되는 인증마크입니다. (80PLUS 공식 홈페이지 참고)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간 장비, 환경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변인 통제를 100% 완벽하게 하기란 실제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퀘이사존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없도록 파워서플라이 모든 제품에 동일한 테스트 방식을 적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존 파워서플라이 테스트는 아이텍일렉트로닉스 IT8511+ & IT8512+ 초고속 로드 장비와 LeCroy LT354 장비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진행 전 30분간 파워서플라이 100% 로드 부하 환경을 유지합니다. 이후 10%부터 100% 구간까지 각각 구간을 20분씩 테스트하여 효율 결괏값을 각 도표에 반영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 80PLUS 인증 내역
SuperFlower SF-850F14HG LEADEX III GOLD WHITE 파워는 80PLUS GOLD 인증을 받았으며, 80PLUS 등록 기준으로 최대 91.38%(Typical 기준, 50% 부하)를 보장합니다.
80PLUS GOLD 인증 기준과 비교해봤습니다. 80PLUS 인증서에는 50% 부하에 91.38%로 인증을 통과했으며, 퀘이사존 측정 결과 91.67%로 0.29% 높게 측정되었습니다.(220V 기준 측정 결과로 효율이 높게 측정될 수 있습니다.)
20% 부하에서 90.71%, 100% 부하에서 88.18%로 기준값보다 약 1.18~3.71% 높은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출시된 파워서플라이 제품 특징 중 하나는 10% 부하 효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인데요. 특히 800W 이상 파워를 찾는 사용자가 많아지며, 10% 부하에 대한 높은 효율을 함께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최근 출시된 GOLD 파워들은 10% 부하에서 87~88% 이상 효율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LEADEX III GOLD 850W 파워는 87.83%로 이를 만족했습니다.
인텔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에는 +12V, +5V, +3.3V, -12V, +5VSB 각 출력 전압 기준값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중 +12V 라인은 최저 11.4V에서 최대 12.6V로 표시가 되었으며, 해당 범위 내로 출력되어야 정상 범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많은 전력 소비와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12V(EPS 4+4 PIN, PCIe 6+2 PIN) 라인 전압을 확인해 봤습니다. CPU 보조 전원에서 0.054V,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에서 0.072V의 강하가 확인되었습니다. 인텔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라인을 살펴보면 12V 전압 변동 오차 범위를 ±5%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해당 구간 안으로만 출력이 된다면 문제가 없다는 뜻이죠. 하지만, 사용자들은 부하량에 상관없이 고른 출력을 원하고 있습니다. LEADEX III GOLD는 테스트 결괏값 기준 ±0.6% 이내로 ±1% 이내의 안정적인 출력을 보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샘플 및 테스트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0% 부하에서 100% 부하까지 기존 테스트를 진행해봤으니, 이번에는 지속 부하 테스트를 준비해봤습니다. 기본 성능 테스트와 동일하게 케이블 연결 및 세팅을 하였으며, 쿨링팬은 항시 작동하도록 설정 후 진행했다는 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9월 20일, 화요일 오전 8시 30분부터 테스트를 시작했으며, 총 10시간 동안 진행했습니다. 차트에 기입된 결괏값은 1시간마다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1시간 경과 후 효율 성능은 88.19%입니다. 지속 부하 테스트 진행 전 파워서플라이 기본 성능 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결괏값 88.18%와 0.01%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후 부하가 지속됨에 따라 효율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는데요. 5시간 경과 후 88.17%로 0.02% 하락했으며, 10시간 경과 후 88.14%로 0.05% 성능이 하락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00% 부하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효율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많은 전력 소비와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12V(EPS 4+4 PIN, PCIe 6+2 PIN) 라인 전압을 확인해 봤습니다. 1시간 경과 후 CPU 보조 전원 라인은 11.927V, 그래픽카드 라인은 11.992V로 확인되었습니다. 효율 성능과 마찬가지로 12V 출력에서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0시간 경과 후 측정된 결과와 비교하면, CPU 보조 전원은 0.006V,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은 0.01V 차이가 있었습니다. 100% 부하를 10시간 지속했음에도 안정적으로 전압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성능만큼 중요한 온도도 추가로 확인해봤습니다. 전기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들은 온도에 민감합니다. 장시간 부하가 지속되면 부품 수명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결국 제품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위에 첨부한 열화상 이미지는 100% 부하를 10시간 진행하고 측정한 결괏값입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쿨링팬 작동을 통해 내부로 바람을 불어넣고, 후면으로 열이 빠져나가는 오래전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팬리스 파워를 제외한 대부분 파워서플라이들이 비슷한 쿨링설루션을 채택하고 있죠. 이에 쿨링팬을 임의로 제거하고 온도를 측정하는 것은 파워 설계 취지에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쿨링팬이 기본 장착된 상태에서 온도를 확인해봤습니다.
쿨링팬이 장착된 상단에서 바라봤을 때 최대 온도는 47.9℃였습니다. 내부 방열판 사이에 위치한 스위칭 트랜스에서 빨간색으로 가장 높은 열이 측정된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는 후면에서 바라봤을 때도 같습니다. 측정된 온도는 59.6℃로 상단에서 바라봤을 때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습니다. 보급형 제품 중 90~100℃ 이상으로 상승하는 제품도 있기에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보여줬다고 할 수 있습니다.(파워서플라이 샘플 및 테스트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C뿐만 아니라 모든 전자기기에서 보증하는 스펙만큼 성능을 발휘한다고 믿고 소비자들은 구매를 하게 됩니다. 이는 소비자와 기업 간 가장 중요한 신뢰이기에, 더욱 중요하죠. 다만, 대부분 소비자들은 사용하기에도 바쁜 제품을 별도로 테스트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 국내외 벤치마크 자료를 참고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죠. 하지만, 여기서 소비자들은 12개월, 24개월 계속 사용한 제품이 꾸준히 성능을 발휘할까?라는 궁금증이 들기 마련입니다. 그중에는 파워서플라이도 포함되죠.
측정 장비 마련도 어렵고, 테스트를 의뢰하기에도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이에 궁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는 테스트를 준비해봤습니다. 퀘이사존이 실제 보유하고, 20개월 사용한 LEADEX III GOLD 파워로 검증을 진행해봤습니다. 100% 부하 기준에서 10시간을 진행했으며, 효율은 88.19%에서 88.14%로 약 0.05% 하락하기는 했지만 80PLUS GOLD 인증을 만족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GOLD 파워에서 효율만큼 중요한 게 12V 라인 출력입니다. 특히나 그래픽카드 전력 소비량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아졌는데요. 다양한 제조사들이 12V 라인은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5%보다 더 타이트한 출력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만 봐도 알 수 있죠. LEADEX III GOLD 850W는 10시간 경과 기점으로 보면, CPU 보조 전원은 0.006V,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은 0.01V 전압 변화가 나타났습니다. 지속 부하 환경에서도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12V 전압이 유지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테스트를 통해 확인된 결과가 모든 제조사, 제품에 동일하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GOLD 파워, 그중에서 LEADEX III GOLD는 20개월이 지난 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여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해당 파워는 반납하지 않고 추후 30개월, 36개월처럼 또 다른 시기에 한번 더 검증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 QM달려였습니다.
· 850W 용량에 GOLD 파워를 찾고 있다
· 풀 모듈러 디자인을 선호한다
· 팬리스 모드 + 유체 베어링 조합을 선호한다
· 앞뒤 길이 140 mm 파워를 찾고 있다
·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 Y 케이블보다는 독립 케이블이 좋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개월 사용한 SuperFlower LEADEX III GOLD 성능은 괜찮을까?
댓글: 293개
컴퓨텍스에서 보고 느껴본 제품 중 가장 인상 깊은 아이템은?
퀘이사존 컴퓨텍스 2023 QM 초이스!
4년 만에 다녀온 세계 최대 컴퓨터 박람회
퀘이사존 컴퓨텍스 타이베이 2023 종합기사
100W 당 7500원인 파워가 있다?
에너지옵티머스 EXCEL II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시크한 올블랙 히트싱크, 장착하면 자동으로 5,600 MHz 인식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PRO 32GB(16Gx2) 대원씨티에스
쓰리알의 신규 공랭 쿨러 대령이오~
3RSYS Socoool RC340
AMD 라이젠 시스템에서 PCIe 5.0 NVMe 성능은? 그리고 히트싱크 종류에 따른 온도는?
마이크론 Crucial T700 M.2 NVMe (2TB) 대원씨티에스
S401보다 더 작은 사이즈, 미니 타워 S403을 만나보자!
3RSYS S403 Quiet
노트북이라면 노트처럼 들고 다닐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레노버 IdeaPad Slim 5i 14IRL8 i5
8년 만에 돌아온 HyperX Cloud 라인 신제품!
HyperX Cloud III - 게이밍 헤드셋
4열이라 케이스는 좀 가리지만, 성능은 압도적이다!
VALKYRIE C480 RGB
B760 메인보드 중 내가 제일 저렴해!
GIGABYTE B760M H DDR4 제이씨현
게이밍 모니터, 처음이신가요?
오디세이 G5로 알아보는 게이밍 모니터 사용법
FHD 게이머라면 주목!
ASRock Phantom Gaming 라데온 RX 7600 OC 8GB
대용량, 고효율, ATX 3.0, 제로팬.... 다 넣었다!
SuperFlower SF-1300F14XG LEADEX VII GOLD ATX 3.0 (PCIE5)
프리미엄 모델의 특이한 전면 패널 디자인을 공유했다!
darkFlash DF2100 MESH RGB 강화유리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내가 쓰는 마우스가 하루아침에 너프?
야씨 ㄷㄷ 미친!! 커세어 풀템각 떴다!!
대만에서 DDR5 오버 좀 땡겨봤슴다
지구에서 가장 두꺼운 지포스 발견! (PNY x CoolerMaster)
컴퓨텍스에서 가장 비싼 소비자용 제품? (May be?)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