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제품비교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컴퓨텍스
하드웨어 제품비교 •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종종 상표명이 일반명사처럼 쓰일 때가 있습니다. 특정 상표의 인지도가 독보적일 때, 상표가 상품 전체를 칭하는 보통명사로 굳어진 경우인데요. 이를 상표의 보통명사화라고 이야기합니다. 스테이플러를 호치키스, 반창고를 대일밴드, 굴착기를 포크레인, 하이드로겔 장난감을 슬라임, 기계식 연필을 샤프로 부르는 게 대표적입니다. 이는 스트림 컨트롤러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날 스트림 컨트롤러는 많은 이가 엘가토의 상표인 스트림덱이라고 부릅니다. 그만큼 엘가토가 이 시장에서 독보적인 이미지를 구축했다는 이야기일 텐데요. 이번에 살펴볼 제품은 엘가토의 최신 스트림덱 Elgato Stream Deck +입니다.
인터넷 방송 시장이 성장하면서 관련 제품들이 주목받기 시작했는데요. 콘덴서 마이크, 오디오 인터페이스, 조명, 렌즈 교환식 카메라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건 스트림 컨트롤러입니다. 스트림 컨트롤러는 스트리머를 위한 전용 장비입니다. 따라서 다른 제품은 익숙한 물건이지만, 많은 이에게 스트림 컨트롤러는 생소할 수밖에 없습니다. 테크니컬 라이터인 저 역시 사용 경험이 많지 않은 제품인데요. 어떤 기능이 있는지 이어지는 글과 사진을 통해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패키지 배경은 엘가토를 상징하는 파란색을 사용하고 전면에는 제품명과 제품 외형을 새겼습니다. 후면에는 제품이 가진 기능을 상세히 기재했습니다. 제품은 종이 구조물에 고정했습니다. 두께가 충분하고 박스가 단단해서 튼튼한 포장입니다.
[구성품] 스트림 컨트롤러, 케이블(USB Type-C to A), 관련 문서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에는 LCD를 탑재한 물리 버튼 8개, 가로로 긴 터치패널, 물리 다이얼 4개를 배치했습니다. 기울기는 약 45°인데 나사로 고정한 방식으로 각도 조절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기존 Stream Deck과 비교해 가장 큰 외형 차이는 터치패널과 물리 다이얼이 탑재되었다는 점입니다.
제품 상단에는 Stream Deck 로고를 새겼습니다. 전면 물리 버튼에는 LCD를 탑재해서 버튼마다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했습니다. 터치패널은 페이지 전환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돕고 다이얼은 여러 오디오 채널을 빠르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단락에서 살펴보겠습니다.
[기울기] 약 45°
기울기는 약 45°이고 나사로 고정해서 각도 조절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바닥 면에는 고무 패드를 부착해서 제품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했습니다.
스탠드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 2개를 제거하면 스탠드와 컨트롤러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45° 기울여 사용하기보다 바닥에 눕혀서 사용하는 게 더 편하다고 생각하는 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케이블을 연결하는 포트가 후면에 위치하므로 제품을 눕혀서 사용하는 건 사실상 어렵습니다.
[케이블] 커넥터: USB Type-C to A / 길이: 150 cm
포트는 컨트롤러 후면 하우징 안쪽에 깊숙이 배치해서 연결했을 때 일체감이 우수합니다. 이렇게 포트를 안쪽에 배치하면 하우징과 커넥터가 잘 맞물려서 내구성에도 긍정적입니다.
[무게] 약 470.3 g
▲ 전체 화면 버튼을 눌러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Stream Deck 소프트웨어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중앙에는 버튼 배치 레이아웃이 있고 우측에 있는 기능을 드래그 앤드 드롭 방식으로 키를 매핑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 추가 버튼을 눌러서 여러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고 페이지마다 원하는 기능을 배치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비디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방송을 진행할 때는 여러 오디오를 동시에 제어할 일이 생깁니다. 게임 사운드, 음성 채팅 사운드, 시스템 사운드 등을 수시로 제어해야 하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Stream Deck +가 힘을 발휘합니다. 일일이 마우스를 이용해 볼륨을 조절하는 대신 물리 다이얼을 돌리기만 하면 됩니다. 소프트웨어에서 다이얼에 해당하는 영역에 제어를 원하는 프로그램을 할당합니다. 그럼 게임 사운드가 너무 크다는 시청자 의견이 발생했을 때, 2번째 다이얼을 돌려 볼륨을 낮춰 신속하고 원활하게 방송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실행 중이지 않은 프로그램은 회색으로 표시되어 다이얼이 비활성화됩니다.
스토어에서 여러 플러그인과 아이콘, 음악, 사운드 효과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스트리머와 함께 방송을 진행할 때 디스코드와 같은 프로그램은 필수적인데요. 이러한 디스코드 확장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디스코드에서 제공하는 기능 역시 키 매핑을 통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방송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주는 로열티가 없는 수천 곡의 음악 트랙과 사운드 효과를 제공합니다.
장면 전환, 웹 페이지 열기, 음량 조절 등 스트리머가 방송 진행에서 필요한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 사용 예시입니다. 방송 중에 잠깐 클라이언트를 최소화하고 인터넷 브라우저를 찾아 누르거나 Windows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를 이용해 음량을 조절해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고 방송 흐름에 방해가 될 수 있는데요. 사용 예시와 같이 Stream Deck +를 이용하면 한 번의 동작으로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Stream Deck +는 기존 Stream Deck과 비교해 터치패널, 물리 다이얼이 추가 탑재되었습니다. 따라서 더욱 방송 진행에 특화된 제품으로 거듭났는데요. 그중에서도 물리 다이얼의 역할이 유용합니다. 스트리머는 방송을 진행하면서 여러 오디오를 동시에 제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소프트웨어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인식하므로 키 매핑하는 과정이 간편하고 조작하는 방법 역시 직관적입니다. 추가로 마이크, 카메라, 조명까지 손쉽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는 볼륨 조절은 물론이고 음소거 전환, 눌러서 말하기, 음성 채널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카메라는 전체 화면, 화면 분할 등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조명은 밝기, 색 온도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주로 사용하는 기능을 어려움 없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고 여러 페이지를 만들어 나만의 방송 환경을 갖출 수 있습니다.
오늘날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시간과 공간 제약 없이 콘텐츠를 소비하고 개인도 어렵지 않게 콘텐츠를 생산합니다. 그 장으로는 유튜브, 트위치 등 여러 플랫폼이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뉴미디어는 불특정 다수가 국경의 경계 없이 자유롭게 참여하고 제작자와 사용자 간의 피드백 역시 자유롭게 오갑니다. 그래서 플랫폼 참여자들은 생산자와 소비자 구분 없이 상호작용성을 갖고 창발적인 공동체를 형성합니다. 이로써 콘텐츠 창작과 공표, 유통, 소비로 이어지는 일련의 새로운 장이 펼쳐졌습니다. 이러한 뉴미디어에서 콘텐츠 제작자로서 Stream Deck +를 사용한다면, 남들과 비교해 성공적인 차별화를 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 Stream Deck App Store
■ 호환성이 우수하고 확장의 여지가 많은 Stream Deck +
시장에서 가장 성공적인 스트림 컨트롤러인 만큼 연동해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소프트웨어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HWiNFO는 퀘이사존 회원분들께도 익숙한 프로그램일 텐데요. Steam Deck App Store에서 플러그인을 설치하고 구매를 진행한 뒤에 Stream Deck +를 모니터링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CPU 및 GPU 온도, 메모리 클록 등을 원하는 버튼에 배치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 외에도 다양한 플러그인이 마련되어 있어서 취향과 필요에 따라 설치 및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 QM다우였습니다.
·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고자 한다
· 방송 진행을 원활하게 하고 싶다
· 간단한 작업도 쉽고 편리하게 하고 싶다
· 스트리밍과 콘텐츠 제작에 관심이 없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Elgato Stream Deck +
댓글: 249개 (응모: 0/1)
컴퓨텍스에서 보고 느껴본 제품 중 가장 인상 깊은 아이템은?
퀘이사존 컴퓨텍스 2023 QM 초이스!
4년 만에 다녀온 세계 최대 컴퓨터 박람회
퀘이사존 컴퓨텍스 타이베이 2023 종합기사
100W 당 7500원인 파워가 있다?
에너지옵티머스 EXCEL II 700W 80PLUS STANDARD 230V EU
시크한 올블랙 히트싱크, 장착하면 자동으로 5,600 MHz 인식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PRO 32GB(16Gx2) 대원씨티에스
쓰리알의 신규 공랭 쿨러 대령이오~
3RSYS Socoool RC340
AMD 라이젠 시스템에서 PCIe 5.0 NVMe 성능은? 그리고 히트싱크 종류에 따른 온도는?
마이크론 Crucial T700 M.2 NVMe (2TB) 대원씨티에스
S401보다 더 작은 사이즈, 미니 타워 S403을 만나보자!
3RSYS S403 Quiet
노트북이라면 노트처럼 들고 다닐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레노버 IdeaPad Slim 5i 14IRL8 i5
8년 만에 돌아온 HyperX Cloud 라인 신제품!
HyperX Cloud III - 게이밍 헤드셋
4열이라 케이스는 좀 가리지만, 성능은 압도적이다!
VALKYRIE C480 RGB
B760 메인보드 중 내가 제일 저렴해!
GIGABYTE B760M H DDR4 제이씨현
게이밍 모니터, 처음이신가요?
오디세이 G5로 알아보는 게이밍 모니터 사용법
FHD 게이머라면 주목!
ASRock Phantom Gaming 라데온 RX 7600 OC 8GB
대용량, 고효율, ATX 3.0, 제로팬.... 다 넣었다!
SuperFlower SF-1300F14XG LEADEX VII GOLD ATX 3.0 (PCIE5)
프리미엄 모델의 특이한 전면 패널 디자인을 공유했다!
darkFlash DF2100 MESH RGB 강화유리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내가 쓰는 마우스가 하루아침에 너프?
야씨 ㄷㄷ 미친!! 커세어 풀템각 떴다!!
대만에서 DDR5 오버 좀 땡겨봤슴다
지구에서 가장 두꺼운 지포스 발견! (PNY x CoolerMaster)
컴퓨텍스에서 가장 비싼 소비자용 제품? (May be?)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