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 ASUS ROG STRIX X670E-E GAMING WIFI 영상
기업이 생산하는 다양한 제품들을 같은 브랜드로 묶으면 소비자들에게 일관된 메시지와 가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제조사들은 이를 잘 알고 있고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태블릿 그리고 노트북에 이르기까지 갤럭시로 브랜드를 통일했습니다. 수많은 PC 컴포넌트 제조사 중에 ASUS는 브랜드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깨달은 PC 컴포넌트 제조사입니다. 하이엔드 게이밍이라는 등급조차 생소하던 시기인 2006년에 가장 먼저 게이밍 브랜드 Republic Of Gamers(ROG)를 론칭했습니다. 강력한 오버클록 능력과 게이머를 위한 편의성으로 무장한 브랜드가 등장한 겁니다. 그리고 메인보드 브랜드로 처음 시작한 ROG는 이제 각종 게이밍 기어와 스마트폰에까지 이를 정도로 스펙트럼이 넓어졌습니다.
ASUS가 보유한 메인보드 브랜드 (출처: ASUS)
ROG라는 이름은 최고의 하드웨어 경험을 제공하는 하이엔드 브랜드입니다. ASUS는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하위 브랜드에도 제공할 수 있게 브랜드 정비 단계를 거쳤습니다. 2017년에 ROG 외 브랜드를 개편하며 메인스트림까지 게이밍 브랜드를 확대했습니다. 엔트리~퍼포먼스 등급을 맡고 있던 제품들은 PRIME으로 통일해 출시했습니다. PRIME이 맡고 있었던 전문가용 제품군은 2020년에 ProArt로 분리했습니다. 그리고 ROG와 함께 하이엔드 삼 형제를 맡았던 SABERTOOTH를 메인스트림으로 조정하며 TUF Gaming으로 개편, STRIX는 퍼포먼스~하이엔드 초입에 해당하는 브랜드로 ROG 아래에 편입했습니다.
이처럼 세세하게 브랜드를 나눠서 한동안 ROG STRIX 제품들은 오리지널 ROGCROSSHAIR/MAXIMUS에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칼럼에서 소개해드릴 제품이라면 오리지널 ROG 메인보드가 부럽지 않습니다. 주인공은 바로 ASUS ROG STRIX X670E-E GAMING WIFI 대원씨티에스인데, ROG STRIX 중 가장 높은 등급입니다. 과연 어떤 점이 오리지널 ROG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건지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확장 슬롯] PCI Express 5.0 x16 1개, PCI Express 5.0 x4 1개, PCI Express 4.0 x16 1개(4.0 x4로 작동)
[M.2 SSD 슬롯] PCI Express 5.0 x4 3개, PCI Express 4.0 x4 1개
[SATA 6.0 Gb/s 포트] 4개
[쿨링팬 커넥터] 8개
[RGB LED 핀헤더] 5 V 3핀 ARGB LED 3개, 12 V RGB LED 1개
최근 ROG CROSSHAIR 메인보드들은 디자인이 점잖아지고, ROG STRIX 메인보드들은 화려해지고 있는데, ASUS ROG STRIX X670E-E GAMING WIFI는 점잖음과 화려함 그 중간을 지키는 모양새입니다. I/O 커버 디자인은 RGB LED가 점등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상당히 화려합니다. 반면에 나머지 방열판들은 깔끔한 검은색에 은색으로 포인트를 줬을 뿐입니다. 이런 디자인 특색은 ROG STRIX의 정점으로 ROG CROSSHAIR에 가깝기 때문일 겁니다.
[I/O 포트 구성] DisplayPort 1.4, HDM1 2.1 포트, USB 3.2 Gen2 포트 12개(Type-A 10개, Type-C 2개), RJ-45 이더넷 커넥터(2.5 GbE 지원), USB 3.2 Gen2x2 Type-C 포트 1개, Wi-Fi 6E 안테나 커넥터, 오디오 포트
[전면 USB 3.2 Gen2x2] Type-C 헤더 1개
[전면 USB 3.2 Gen1] 핀헤더 1개(2 포트)
[전면 USB 2.0] 핀헤더 3개(6 포트)
I/O 커버에서 온보드 RGB LED가 점등합니다.
시스템을 조립한다면 피해 갈 수 없는 산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케이스 전면 패널 케이블을 메인보드에 연결하는 일입니다. 전원 버튼, 리셋 버튼, 각종 LED 등등... 다행히 요즘 나오는 메인보드는 모두 규격화되어있으므로 제조사마다 핀 배열이 다르지는 않습니다. 하나만 마스터하면 모든 메인보드를 조립할 수 있다는 뜻이죠. 전면 패널 케이블 연결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면 퀘이사존에서 제작한 영상 하나로 문제점을 해결해보세요.
히트싱크 재질은 알루미늄이며, CPU 전원부, 모든 M.2 SSD 슬롯, 칩세트에 제공됩니다.
CPU 소켓을 기준으로 왼쪽과 위쪽 히트싱크는 히트파이프로 연결했습니다. 히트파이프가 직접적으로 쿨링에 도움을 주진 않지만 열을 고르게 분산해줍니다. M.2 SSD 1번 슬롯에 히트파이프를 삽입했고 M.2 SSD와 직접 맞닿는 방식입니다. 더 빠른 속도로 작동하고 더 뜨거워질 PCI Express 5.0 x4 NVMe SSD를 대비했네요. M.2 SSD 2번, 3번 슬롯도 PCI Express 5.0 x4 NVMe SSD를 지원해서 추가 히트싱크를 제공하는데, 두께는 18 mm, 무게는 205 g으로 기본 히트싱크와 비교하면 두껍고 묵직해서 발열 해소에 도움이 될 거로 보입니다.
나사 없이 M.2 SSD를 장착하고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인 M.2 Q-Latch를 제공합니다. 잃어버리기 쉽고, 다른 나사들 보다 규격이 작은 M.2 SSD 나사 대신 간편하게 걸쇠로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NVMe SSD 속도에 비례하여 점점 높아지는 온도를 감당하기 위해 M.2 SSD 방열판도 거대해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최근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조차 백플레이트를 장착하지 않은 제품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확장 카드 고정 레버를 누르기가 어려워졌죠. ASUS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확장 카드 고정 레버 해제 버튼을 도입했습니다. PCIe Slot Q-Release라는 명칭인데, 메모리 슬롯 오른쪽 아래 네모난 버튼을 누르면 최상단 확장 슬롯의 걸쇠가 풀립니다. 이제 나무젓가락이나 드라이버로 그래픽카드 장착을 해제하지 않아도 되겠네요.
[전원부] 18+2 페이즈
[PWM 컨트롤러] DIGI+ VRM ASP2205
[CPU 전원부 모스펫] Vishay SiC850A 110 A Dr.MOS
AMD 라이젠 9 7950X(16코어 32스레드)로 CPU 렌더링 테스트와 게임 구동 시 클록 변화 및 전원부 온도를 테스트했습니다. 오버클록을 지원하지만, 기본 설정에서 이미 클록과 CPU 온도가 높아 오버클록은 제외하고 진행했습니다. 부하는 Blender 렌더링 테스트와 사이버펑크 2077(FHD 해상도, 울트라 프리셋)을 10분간 구동했습니다. 실내 온도는 26℃±0.5℃로 유지했습니다. 메인보드 UEFI 설정은 그래픽카드 Resizable BAR 활성화를 제외하면 기본 설정입니다.
최신 하드웨어의 소비전력이 예사롭지 않습니다. NVIDIA는 너무 많아서 커진 보조 전원을 면적을 줄이고자 12핀, 16핀 규격을 처음으로 적용했습니다. 구형 파워서플라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변환 젠더를 주긴 하지만, 선정리나 미관상으로 좋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바로 지원하면 좋지 않을까... FSP HYDRO G PRO 1000W 80PLUS Gold Full Modular ATX 3.0 (PCIE5)은 이런 생각을 현실로 만들어준 모델입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바로 최대 600 W까지 출력할 수 있는 16핀 보조 전원이 나와서 지포스 RTX 4090과 RTX 4080을 젠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열화상 카메라 사진을 통해 알아본 전원부 온도는 모스펫 후면을 촬영해서 기판을 통해 전달되는 온도였습니다. 그래서 CENTER 520 접촉식 온도계를 사용해서 전면 전원부의 직접적인 온도와 시간에 따른 전원부 온도 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테스트를 추가했습니다. CENTER 520은 4개의 접촉식 센서를 지원하며, 부착된 센서의 위치는 사진과 같습니다.
열화상 카메라 온도 측정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대상 물체의 열 분포를 보여주는 카메라입니다. 같은 비접촉 방식인 열화상 온도계가 한 점의 온도만을 측정할 수 있지만, 열화상 카메라는 대상 물체 전체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온도의 높고 낮음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M.2 SSD 슬롯 테스트는 PCI Express 4.0 x4 NVMe SSD인 삼성 980 PRO (1TB)로, SATA 포트는 삼성 870 EVO (500GB)로 진행합니다. OS는 삼성 980 PRO (1TB)에 설치하며, 드라이버와 테스트 프로그램 외의 별도 소프트웨어는 설치하지 않습니다.
위 테스트 시스템은 메인보드 플랫폼이 바뀔 때까지 칩세트 별로 똑같이 유지됩니다. 드라이버, OS 버전 역시 업데이트 없이 똑같이 유지하며, 메인보드는 UEFI 기본 설정으로 테스트 합니다.
원래 제조사마다 M.2 SSD 슬롯에 붙이는 이름이 있으나, 임의로 번호를 부여하여 그래프를 볼 때 혼동이 없게 했습니다.
SATA 포트 성능 테스트입니다. 모든 포트를 테스트하지는 않으며, 가장 첫 번째 숫자가 할당된 포트만 테스트했습니다.
BootRacer 테스트를 10번 연속 실행한 후 평균값을 측정한 결과입니다. 메인보드 UEFI 설정은 기본으로, BootRacer를 제외한 모든 시작 프로그램을 비활성화했습니다.
메인보드에서 기본 제공하는 M.2 SSD 방열판이 SSD 온도를 얼마나 온도를 낮춰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입니다. 위 사진은 M.2 SSD 테스트를 하고 난 뒤 히트싱크 서멀 패드 상태입니다.
M.2 SSD 2, 3번 슬롯은 PCI Express 5.0 x4 NVMe SSD를 지원하므로 기본 히트싱크보다 더 두꺼운 히트싱크를 추가로 제공합니다. 기본 히트싱크도 충분히 높은 성능이지만, 추가로 제공하는 히트싱크를 사용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ROG STRIX 맞나 싶은 점잖은 디자인
가장 높은 ROG STRIX 메인보드답게 ROG CROSSHAIR와 ROG STRIX의 디자인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RGB LED는 I/O 커버에 한정했고, 히트싱크 디자인은 간결하게 완성했습니다. RGB LED 효과는 은은하게 점등하죠. 그리고 히트싱크들은 검은색 위에 은색으로 ROG STRIX와 게이밍을 강조하는 문구만 새겼을 뿐입니다. 덕분에 다른 ROG STRIX 메인보드들에 비하면 상당히 점잖은 디자인입니다.
■ USB 3.2 Gen2 포트가 무려 12개
후면 I/O포트에 있는 USB 포트는 모두 USB 3.2 Gen2 이상입니다. 그 중 USB 3.2 Gen2 포트는 총 12개로 Type-A 10개, Type-C 2개입니다. 여기에 USB 3.2 Gen2x2 Type-C 포트까지 1개가 있어서 메인보드 후면에 고성능 확장 장치를 마음대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전면 헤더까지 합치면 USB 포트를 총 22개 사용할 수 있으니, 적은 개수는 아닙니다. 게다가 기본적으로 블루투스를 지원해서 유선으로 연결하는 확장 장치를 줄일 수도 있습니다.
ASUS 메인보드 브랜드 중에 두 번째로 높은 ROG STRIX의 대장입니다. 그래서 CROSSHAIR에 준하는 구성을 갖췄습니다. CPU 전원부를 110 A Dr.MOS 18개로 구성했고, 히트싱크를 히트파이프로 연결했습니다. 덕분에 16 코어 32 스레드인 라이젠 9 7950X를 장착하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장착하고 CPU 부하가 높은 렌더링 테스트에서 접촉식 온도계와 열화상 카메라 모두 약 53℃로 미지근한 전원부 온도가 측정되었습니다. 게임은 물론 작업용으로 사용하더라도 손색이 없습니다.
· CROSSHAIR까진 무리지만, 상급 ROG 감성을 느끼고 싶다.
· USB 확장 장치를 다수 사용한다.
· 무선 네트워크와 블루투스 기기를 적극 사용한다.
· PCIe 5.0 그래픽카드와 M.2 SSD를 염두에 두고 있다.
· CROSSHAIR도 아닌데, 80만 원은 비싸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마더보드 ASUS 에이수스 아수스 ROG STRIX 로그스트릭스 X670E Zen4
ASUS ROG STRIX X670E-E GAMING WIFI 대원씨티에스
제품 사진
UEFI 설정 화면
댓글: 61개
빅트랙 27CM7501
근본있는 27형 FHD 모니터, 로켓 배송까지!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90 Hall Of Fame 24GB
백색의 제왕이 귀환하다
LG전자 울트라기어 45GR95QE
LG OLED 게이밍 모니터, 드디어 등장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80PLUS BRONZE 230V EU FULL MODULA...
풀모듈러 파워인데 100W당 1만 원
MAXTILL GM-VOLT G2 게이밍 마우스
트렌드를 담아내기 위한 흔적들
이엠텍 레드빗 280 ARGB XT PENTA+
무지개 가래떡이 아닌 수랭 쿨러 튜브입니다!
DEEPCOOL QUADSTELLAR INFINITY - Big Tower CASE
내 케이스는 우주를 나는 케이스! 쿼드스텔라 인피니티!
Dell Alienware AW3423DWF 다올티에스
산뜻해진 QD-OLED 게이밍 모니터
CHERRY KC200 MX
반에 한 명쯤 있는 독특하지만 매력 있는 친구
CORSAIR EX100U Portable SSD Type C (2TB)
1,600 MB/s가 주머니에 쏘옥
GeIL DDR5-5200 CL34 POLARIS White 32GB(16G×2)
심플한 화이트 메모리는 포기할 수 없지
RAZER KAIRA X - PLAYSTATION LICENSED 게이밍 헤드셋
플스의 색상을 입힌 기본기 좋은 게이밍 헤드셋
알파스캔 콘퀘스트 32U90G
알파스캔이 만든 4K 144 Hz 게이밍 모니터
ASUS TUF Gaming RTX 4070 Ti O12G OC 12GB 인텍앤컴퍼니
심플함과 견고함의 조화
마이크로닉스 WIZMAX 750W 80PLUS SILVER
아, 그러고보니 실버 등급도 있었지!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업무와 게임을 놓칠 수 없다면?
4K가 신세계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LG의 다 차려진 OLED 밥상
단독) 국내에 없는 화이트 스트릭스 PC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풀 타워형 PC 케이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