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심플(Simple)은 단순미와 최소 지향의 패션 감각을 뜻합니다. 그중에서도 'Simple is best design'이라는 말처럼 단순한 것이 가장 좋은 디자인일지도 모릅니다. 패션에서 심플은 아무 주장이 없어 보이지만, 아무 주장이 없다는 것처럼 강한 주장도 없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죠. 단순하다는 것은 순수함과 고귀함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패션 용어는 어느덧 의식주 모든 영역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집을 꾸미는 스타일도 심플&미니멀을 추구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미니멀1)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화려한 RGB보다는 무채색 계열, 원톤으로 PC 환경을 구성하는데, 모니터, 게이밍 기어, 주변기기 그리고 데스크톱 PC 본체까지 하나의 컬러로 통일합니다. 공간 활용도를 위해 ITX 케이스를 활용한 하이엔드 게이밍 또는 작업용 PC를 선택하는 경우도 많죠. 여기에 메인보드도 많이 바뀌고 있습니다. 이전보다 RGB LED 영역은 줄이고, 블랙과 그레이, 실버 컬러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더 고급스러운 연출이 가능해졌습니다.
반면 7,000 MHz 이상 고클럭으로 구성된 메모리는 아직 대부분 RGB LED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넓혀보면 RGB LED는 제외하고 단출한 방열판만 장착하는 제품도 많아졌습니다. 고클록 메모리도 좋지만 5,600~6,000 MHz 메모리면 충분합니다. 이러한 시장을 겨냥하여 팀그룹에서 새로운 DDR5 메모리를 출시했습니다. TeamGroup T-Force Vulcan Black인데요. 앞서 설명한 6,000 MHz 클록에 블랙 방열판만 부착하여 심플합니다. 새로운 Vulcan 메모리 성능과 구성을 확인해 보시죠.
1)미니멀: 비움의 미학, 절제된 인테리어 디자인을 추구, 필요한 가구만 배치하거나 수납 공간을 극대화하여 집을 더욱 넓어보이고 깨끗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라이프스타일
DDR SDRAM은 매 세대마다 작동 속도가 2배씩 빨라졌습니다. 가장 직전 세대인 DDR4도 DDR3 대비 2배 빠른 속도를 지원했죠. DDR5도 마찬가지입니다. DDR4의 최고 전송 속도가 12,800 ~ 25,600 MB/s였는데요. DDR5는 그 두 배인 25,600 ~ 51,200 MB/s입니다. 물론 이렇게 높은 클록을 그냥 얻어낸 것이 아니며 타이밍에서 많은 손해가 발생합니다. DDR4-2400을 예로 들어보면, 메모리 타이밍이 17-17-17(tCL-tRCD-tRP)으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같은 포지션에 해당하는 DDR5-4800은 40-40-40(tCL-tRCD-tRP)으로 작동하여 상당히 큰 차이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작동 속도와 타이밍만이 메모리 성능을 좌지우지하는 건 아니니 속단해서는 안 됩니다.
Micron DDR5 소개 영상
최근 기획 칼럼을 통해 메모리 뱅크에 대한 이론과 뱅크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여드렸습니다. 간단히 정리하자면 용량과 클록이 같은 메모리라고 할지라도 뱅크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겁니다. 그래도 DDR4는 그나마 뱅크 그룹이 2개인지, 4개인지만 확인하면 됐습니다. 만일 용량 대비 뱅크 그룹 개수가 적다면 성능을 의심해 보면 될 일이었죠. 하지만 DDR5는 뱅크 그룹이 8개인지 4개인지 그리고 뱅크를 2개 혹은 4개씩 묶어 그룹을 만들었는지까지 확인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뱅크 그룹은 HWinfo, Thaiphoon Burner 등 여러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사양입니다. 하지만 메모리를 구매하기 전이라면 제조사가 별도로 사양을 공개하지 않는 한 도통 알기 어려운 사양이기도 합니다. 그러니 퀘이사존 칼럼을 좀 더 면밀히 살펴봐야 할 이유가 한 가지 추가됐다고 봐야겠지요.
메모리 뱅크 기획 칼럼 보러 가기
Advanced Mermory Voltages에서 PMIC Voltages 항목을 활성화하면 메모리 전압을 상세히 설정할 수 있다.
클록, 용량 등 메모리를 수치화할 수 있는 사양들은 대부분 세대가 거듭할수록 수치가 높아집니다. 그러나 전압만큼은 점차 낮아지고 있습니다. 지금이야 메모리 오버클록을 위해 1.5 V 이상 인가하면 혹여나 메모리에 문제가 생기는 건 아닌지 걱정 어린 시선을 받습니다. 물론 쿨링 설루션만 받쳐준다면 더 높은 전압으로도 사용하는데 무리가 없지만, 실제로 메모리 발열을 해소하기 위해 별도로 쿨링팬을 사용하는 사람은 극히 드무니까요. 하지만 DDR3는 기본 전압이 1.5 V이고, DDR2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1.9 V로 작동합니다. 당시에는 당연하게 느껴졌던 전압이지만, 지금 와서 보면 새삼 높게 느껴집니다.
DDR5는 기본 전압이 1.1 V로 작동합니다. 1.2 V로 작동하던 DDR4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실제 전력은 13% 정도 낮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단순히 전력만 낮아졌을 뿐만 아니라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탑재했는데요. 덕분에 마더보드 메모리 전원부 설정만으로 전압을 조정하는 게 아닌 메모리에서 직접 전압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ASUS 마더보드 기준으로 Extreme Tweaker에서 Advanced Mermory Voltages로 진입 후 PMIC Voltages 항목을 활성화하면 메모리 전압을 상세히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항목이 늘어난 만큼 시각에 따라 메모리 오버클록이 더 어려워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CPU 오버클록을 할 때 모든 사항을 직접 조정하지 않는 거처럼 PMIC 항목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줬다고 보면 좋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 TeamGroup T-Force DDR5-6000 CL38 Vulan Black 16G 메모리 2개, 사용 설명서, 스티커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에 메모리 2개가 담겨있습니다. 스티커와 품질 보증서가 동봉되었습니다. 공식 유통사 서린씨앤아이 홀로그램 스티커 2개는 박스에 부착되었습니다.
[메모리 실측 크기] 140×32.7×7.0 mm(가로×세로×두께)
RGB LED 바는 없으며, 심플한 디자인에 집중한 모습입니다. 방열판이 적용되었음에도 높이는 32.7 mm로 방열판이 없는 누드 메모리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높이가 낮기에 타워형 쿨러 간섭에서도 자유롭습니다.
장착에 사용한 메인보드는 GIGABYTE B650 AORUS ELITE입니다. 블랙 히트싱크를 사용한 T-Force Vulan Black과 잘 어울립니다.
XMP는 eXtreme Memory Profile의 줄임말로 메모리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따라서 JEDEC 표준을 꼭 준수하지 않아도 되며, 대체로 복잡한 오버클록 과정 없이 손쉽게 높은 클록과 낮은 타이밍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죠. 이 XMP는 DDR3 때 처음으로 지원을 시작했으며, DDR4를 거쳐 DDR5에서는 XMP 3.0으로 업데이트했습니다. 이전 XMP 2.0과 비교하면 제조사에서 저장할 수 있는 프로파일이 2개에서 3개로 늘어났으며, 그와 별개로 사용자가 직접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는 프로파일도 2개 제공합니다. 즉 메모리에 최대 5개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TeamGroup T-Force DDR5-6000 CL38 Vulcan Black 32GB(16Gx2) 메모리는 6,000 MHz로 작동하며 타이밍은 38-38-38-78(tCL-tRCD-tRP-tRAS)입니다. VDD, VDDQ 전압은 1.25 V로 인가합니다. SDRAM Manufacturer를 통해 칩세트를 만든 제조사가 SK 하이닉스임을 확인했습니다. 메모리 뱅크 그룹은 8개이며, 각 그룹당 뱅크 4개씩 할당하여 총 뱅크 개수는 32개입니다. HWiNFO 항목 중 SPD Hub Temperature를 통해 온도 센서를 탑재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퀘이사존에 입고된 메모리 패키지 1개를 활용하여 추가 오버클록을 진행했습니다. 클록은 6,200 MHz까지 높일 수 있었으며, 38-38-38-78(tCL-tRCD-tRP-tRAS)으로 설정했습니다. 메모리 전압은 1.40 V로 높였으며, 안정화 테스트는 AIDA64 Extreme 시스템 안정성 검사를 활용해 20분간 진행했습니다.(단, 본 결과는 패키지 1개로만 시도한 결과이며 같은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생산 주차, 사용한 칩세트, 시스템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12월부터 메모리 테스트에 Windows 11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JEDEC은 메모리 타이밍 표준을 정할 때 tCL, tRCD, tRP만 지정합니다. 즉, tRAS는 대체로 사용하는 값은 있지만, 제조사 재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우선 퀘이사존에서는 여러 자료를 수집한 후 가장 근접할 것으로 예상하는 tRAS 값으로 설정 후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이 값은 추후 바뀔 수 있습니다. 비교를 위해 사용한 JEDEC 클록 역시 단순 예시일 뿐 앞으로 메모리 제품 출시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XMP / 복사 속도] 5,200 MHz 기준 13.5% 향상
[OC / 복사 속도] 5,200 MHz 기준 16.4% 향상
[XMP / 지연 시간] 5,200 MHz 기준 14.4% 감소
[OC / 지연시간] 5,200 MHz 기준 15.4% 감소
메모리 기본 성능은 AIDA64 Extreme 메모리 벤치마크를 활용했습니다. 시스템 및 메모리 설정에 따라 속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JEDEC(4,800 / 5,200)과 XMP 3.0 그리고 OC 총 4개 환경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클록이 높아질수록 복사 속도는 빨라졌으며, 지연 시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오버클록은 6,200 MHz까지 가능합니다.
[XMP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1.80% 향상
[OC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2.32% 향상
[XMP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0.65% 향상
[OC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1.24% 향상
[XMP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5.27% 향상
[OC / 작업 성능] 5,200 MHz 기준 6.71% 향상
[XMP / 게임 종합] 배틀그라운드 0.63%, 레인보우식스 시즈 3.44%, 로스트아크 3.80%(5,200 MHz 기준)
[OC / 게임 종합] 배틀그라운드 0.91%, 레인보우식스 시즈 3.74%, 로스트아크 4.92%(5,200 MHz 기준)
기존 메모리 테스트와 비슷하게 로스트아크에서 높은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레인보우식스 시즈에서도 3.44% 프레임이 높아졌습니다. 다만, 게임 3종에 한정된 결과이므로 평소 즐기는 게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TeamGroup T-Force DDR5-6000 CL38 Vulcan은 XMP 3.0을 지원합니다. 메인보드 BIOS 진입 후 설정 하나만 바꾸면 미리 입력된 클록, 타이밍, 전력으로 전환되어, 오버클록에 익숙하지 않은 초심자도 손쉽게 오버클록이 가능합니다. XMP 적용 시 클록은 6,000 MHz 타이밍은 38-38-38-78입니다. 핸드브레이크, 어도비 포토샵 등 작업 환경에서 JEDEC 5,200 MHz보다 2.57% 성능이 높아졌습니다. 게임 3종 테스트에서는 2.63%로 게임 프레임이 상승했습니다. 추가로 6,200 MHz까지 클록을 높이면 작업 성능은 3.42%, 게임 성능은 3.19% 높아져 오버클록을 통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Fractal Design Ridge White (칼럼 바로가기)
■ 심플한 멋을 추구
화려한 조명이 빛나는 RGB LED 강세는 여전합니다. RGB과 거리감이 멀었던 브랜드마저 하나둘씩 RGB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미니멀 또는 심플을 추구하는 사용자도 많습니다. 집(방) 인테리어에 미니멀&심플 콘셉트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죠. 이러한 환경이라면 랩톱 또는 ITX 케이스(Non-RGB)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PC 환경에 알맞은 선택지 중 하나가 TeamGroup Vulcan Black입니다. 한정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메모리 높이가 40 mm 이하로 적당합니다. RGB LED는 제외했고, 블랙 방열판을 통해 무채색을 많이 사용하는 PC 컴포넌트와도 잘 어울리죠. 굳이 ITX 케이스가 아니더라도 Non-RGB 콘셉트 시스템을 고려 중인 사용자에게도 알맞은 제품 중 하나라 할 수 있습니다.
이상, QM달려였습니다.
· RGB LED 없이, 심플한 멋을 추구한다
· 공랭 쿨러 간섭이 없으면 좋겠다
· DDR5 메모리이니 6,000 클록은 필요하다
· RGB LED는 포기할 수 없다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eamGroup T-Force DDR5-6000 CL38 Vulcan Black 32GB(16Gx2)
댓글: 33개
주연테크 V32UE
생산과 소비에 모두 유리한 4K UHD 모니터
글로리어스 SERIES ONE PRO
도대체 어디까지 가벼워질 작정이야!?
3RSYS 빙하8 / 빙하9 M.2 SSD 방열판
M.2 NVMe SSD를 식혀라~
darkFlash DNM600 MAX - Mini Tower CASE
쓸만한 미니 타워 케이스를 찾으시나요?
슈퍼플라워 12VHPWR 모듈러 케이블, 내 시스템에 사용해도 될까?
슈퍼플라워 12VHPWR 모듈러 케이블, 구매 전에 확인하세요!
KLEVV CRAS C930 M.2 NVMe(2TB)
방열판 기본 제공, PC와 PS5에서 모두 사용 가능
GIGABYTE B76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메인스트림 중의 메인스트림
다양한 정림전자 모니터, 쉽게 정리해보자!
QM이 생각하는 BEST 모니터는?
LG 2023 그램 16 16Z90R-EPP12KB
새로운 2023년 그램
SK하이닉스 Platinum P41 레이드로 미리 보는 Gen5 M.2 SSD 성능
Gen5 M.2 SSD 성능은 Gen4 M.2 SSD의 두 배
ASUS TUF Gaming B760M-PLUS D4 인텍앤컴퍼니
이제는 주류(술 아님)가 된 TUF Gaming
빅트랙 27CM7501
근본있는 27형 FHD 모니터, 로켓 배송까지!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90 Hall Of Fame 24GB
백색의 제왕이 귀환하다
LG전자 울트라기어 45GR95QE
LG OLED 게이밍 모니터, 드디어 등장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80PLUS BRONZE 230V EU FULL MODULA...
풀모듈러 파워인데 100W당 1만 원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왜? 4슬롯이라 싫어? 근데 어쩔건데?
민수야.. 형 애플 정리하고 갤럭시로 갈아탄다
불 좀 꺼줄래? 내 SSD좀 보게
업무와 게임을 놓칠 수 없다면?
4K가 신세계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