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무언가를 조립하거나 분해할 일이 잦다면 드라이버 세트를 하나쯤 구비합니다. 적게는 단일 드라이버부터 많게는 드라이버 비트만 수백 종에 달할 만큼 다양한데요. 누군가는 어차피 다 똑같은 드라이버인데 굳이 크기별로 비트를 구비해야 하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하지만 나사 규격과 드라이버 비트 규격이 정확히 맞아야만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말은 나사를 파손시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규격이나 용도에 알맞은 도구를 사용해야만 원하는 바를 수월하게 이룰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시중에는 같은 제품군임에도 사용 목적에 따라 제품을 분류합니다. 이는 노트북도 비슷합니다. 성능에서 손해를 보더라도 무게를 극한으로 감량해 휴대성을 강조한 노트북이 있는가 하면, 휴대성보다는 성능과 쿨링 성능에 집중한 노트북도 있습니다. 소비자는 그저 본인 사용 환경에 맞게 노트북을 선택하면 됩니다. 이번 칼럼에서 살펴볼 노트북은 휴대성보다는 성능에 집중한 노트북입니다. 얼마큼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지, 그리고 이 노트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칼럼에 사용한 노트북은 Windows 11 Home을 설치했습니다.
** 제품 수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구성품] 노트북 본체, 어댑터, 전원 케이블, 각종 문서
최근 노트북 시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16:10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습니다. 본래라면 디스플레이 아래 넓게 베젤이 남았어야 했지만, 그 공간을 모두 디스플레이로 채웠습니다. 색상은 스톰 그레이와 그레이시 화이트가 있으며 칼럼에 사용한 노트북은 스톰 그레이입니다. 표면을 펄 처리하여 금속 재질감이 잘 느껴지도록 마감했습니다.
곳곳에 레노버 LEGION의 정체성을 담았습니다. 디스플레이 아래에는 LEGION을, 노트북 안쪽 구석과 배기구 쪽에는 레노버 로고를 각인하거나 베지를 부착했습니다.
레노버 LEGION 5i Pro의 힌지
[키보드 키 개수] 103키
16형 게이밍 노트북이지만, 숫자 키 패드를 빼놓지 않았습니다. 노트북의 성격에 따라 이 부분을 생략하는 제품도 있기에 눈여겨볼 지점입니다. 숫자 키 패드는 배치를 바꾸거나 생략하지 않아 숫자 입력이 편합니다. 방향키도 크기를 줄이거나 배치를 바꾸지 않았습니다. 방향키 모양 특성상 빈 곳이 생기기 마련인데, 이 곳에 다른 특수키를 배치하거나 방향키 크기를 늘리지 않아 이 제품이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걸 상기시켜줍니다. 덕분에 레이싱 게임처럼 방향키를 많이 사용하는 게임을 즐길 때 위화감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전원 버튼은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곳에 있습니다. 따라서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실수로 전원 버튼을 누르는 상황을 방지합니다. 터치 패드는 널찍하며 두 손을 모두 올리고 타이핑할 때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조금 왼쪽에 배치했습니다.
웹캠은 최대 HD(1280x720) 해상도까지 지원하며 최대 30 FPS으로 녹화할 수 있습니다. 웹캠을 사용하면 카메라 렌즈 오른쪽에 있는 흰색 LED가 점등합니다.
[조명] RGB LED
[효과 변경] Fn + 스페이스 바
RGB LED는 정면에서 봤을 땐 LED 효과가 미비하지만 측면에서 보면 밝은 사무실에서도 충분히 다채로운 효과를 즐길 수 있습니다. 효과는 Fn + 스페이스 바를 눌러 변경하거나 끌 수 있습니다. 추가로 Lenovo Vantage를 통해 좀 더 세밀하게 LED 효과를 연출 가능합니다.
[오른쪽 입출력 포트] 카메라 ON/OFF 스위치, 3.5 mm 4극 포트, USB 3.2 Gen 1 Type-A
[왼쪽 입출력 포트] Thunderbolt 4, USB 3.2 Gen 2 Type-C(DP Alt mode)
[뒤쪽 입출력 포트] RJ-45, USB 3.2 Gen 2 Type-C(USB PD, DP Alt mode), HDMI 2.1, USB 3.2 Gen 1 Type-A, USB 3.2 Gen 1 Type-A(Always On), DC-IN
입출력 포트 종류가 다양하고 개수도 넉넉합니다. 특히 USB Type-A 포트가 많아서 USB 허브 없이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고도 1개 남습니다. 만일 USB 포트가 부족하더라도 Thunderbolt 4를 지원하여 성능 하락을 최소화하면서 확장성을 넓힐 수 있습니다. 그밖에 한 번 연결하면 오랫동안 연결한 채로 유지하는 포트를 뒤쪽으로 배치했습니다. 여기에 노트북을 마주한 상태에서 직접 포트를 안 보고 위치나 종류를 알 수 있게끔 각인을 새겼습니다.
[노트북 무게] 어댑터 제외: 2,562 g / 어댑터 포함: 3,612 g
고성능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해소하기 위해 히트 싱크가 커지면서 노트북이 꽤 무겁습니다. 무게를 줄이고 싶다면 전원 케이블을 짧은 걸로 바꾸거나 USB PD 충전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다만, 어댑터와 비교해서 출력량이 낮으므로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성능을 제한할 필요가 있습니다. USB PD 충전기 출력이 65 W 미만일 경우 충전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어댑터] DELTA 20.0 V, 15.0 A, 300.0 W
[어댑터 무게] 전원 케이블 포함: 1,051 g
[배터리 용량] 15.44 V, 5.182 Ah, 80 Wh
[SO-DIMM 슬롯] 2개
[기본 장착 메모리 용량] 16 GB(8x2 GB)
[저장 장치 슬롯] 2x M.2 2242/2280(PCI 4.0x4)
[기본 장착 저장 장치 용량] 512 GB
[유선 LAN 칩세트] RealTek Semiconductor RTL8168/8111 PCI-E Gigabit Ethernet NIC
[유선 대역폭] 1 Gbps
[무선 LAN 칩세트] Intel AX211NGW
[Wi-Fi 버전] Wi-Fi 6E
[블루투스 버전] 블루투스 5.1
레노버 LEGION 시리즈는 윈도우 스토어에서 Lenovo Vantage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종 기능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곳에서 열 모드, GPU 작업 모드 등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기능부터 하드웨어 검사 등 기기 관리 도구를 제공합니다. 그밖에 키보드 백라이트 LED 효과 및 색상을 세밀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Konica Minolta CA-410 Probe : CA-P427
Admesy Brontes Colorimeters / NVIDIA LDAT
퀘이사존은 디스플레이 색 분석 장비 Konica Minolta CA-410 Probe : CA-P427을 사용해 디스플레이 측정을 진행합니다. CA-410 장비는 전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LCD 모니터, OLED 텔레비전, 스마트폰 화면 측정이 가능합니다. 퀘이사존이 보유한 CA-P427 Probe는 ∅27 mm 크기 측정경을 가지며 초저휘도 0.0001 cd/m²부터 고휘도 5,000 cd/m²까지 화면 밝기를 측정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 주사율(최대 240 Hz) 및 플리커 측정이 가능합니다. 더욱더 완벽한 디스플레이 분석을 위해 모든 측정 대상은 30분 이상 스트레스를 가하는 에이징Aging 과정을 거치며 외부 빛 간섭이 없는 암실에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Admesy Brontes Colorimeters는 디스플레이 GTG(Gray to Gray)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장비로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으로, 반대로 어두운 회색에서 밝은 회색으로 변하는 소요 시간을 1/1,000초로 나타냅니다. NVIDIA LDAT는 시스템 지연 시간 측정 장비로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데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1/1,000초로 나타냅니다.
화면 측정 결과는 에이징 상태, 주변 환경, 제품마다 반드시 차이가 존재하므로 아래에 소개하는 내용은 특정 제품 성격을 완벽하게 대변하지 못합니다. 반드시 참고 용도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1.01.01 디스플레이 분석 Ver 1.0 도입
2022.04.11 디스플레이 분석 Ver 1.2 판올림: 색상 영역(CIE u'v') 추가, 시스템 지연 시간 환경(Rainbow Six Siege+Reflex Boost) 변경
색상 영역
색상 영역Color Gamut은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을 의미합니다. 퀘이사존은 Adobe RGB, DCI-P3, NTSC 1953/1987, BT.2020, sRGB 6개 색상 영역을 CIE xy/CIE u'v' 기준으로 나타내며 측정 대상이 얼마만큼 색을 표현할 수 있는지 결괏값을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위 사진에서 무지개 부채꼴은 CIE xy/CIE u'v' 영역을 나타내며 빨간색 삼각형은 측정 대상이 지원하는 색상 영역입니다. 비율은 표준 색상 영역 대비 측정된 넓이를, 범위는 표준 색상 영역에 포함되는 넓이를 의미하며 표준 색상 영역 범위를 얼마나 만족하는지 중요합니다.
감마
감마Gamma는 디스플레이에 입력하는 회색조Gray Level와 화면으로 출력하는 휘도Luminance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X축은 회색조를, Y축은 휘도를 의미하며 사이를 가로지르는 선이 감마 값입니다. 회색조는 0부터 255까지(8-bit 기준) 검은색에서 하얀색으로 변하는 256 단계를 같은 간격으로 나눈 명암 범위이며, 휘도는 각 명암 범위에 따른 디스플레이 휘도 값입니다. 회색조와 휘도가 정비례하는 감마 1은 어두운 곳은 쉽게 구분하나 밝은 곳을 구분하는 감각이 부족한 사람 눈 특성을 고려해 사람 눈에 최적화된 감마 2.2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마 2.2를 기준으로 이보다 수치가 낮으면 화면이 밝게 느껴지고 수치가 높으면 화면이 어둡게 느껴집니다.
백색 밝기
휘도Luminance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밝음 정도를 나타냅니다. 표기 단위는 촛불 1개가 1 m² 공간에 비추는 광량을 의미하는 cd/m²(칸델라, Candela)를 사용하며 nit(1 cd/m² = 1 nit)와 혼용하기도 합니다. 백색White 밝기는 OSD 설정(0%부터 100%까지 20 단위로 구분)별 흰색 화면 밝기와 인쇄용지에 가까운 화면 밝기인 120 cd/m²를 어느 OSD 설정에서 만족하는지 측정합니다.
흑색 밝기
흑색Black 밝기는 OSD 설정별 검은색 화면 밝기와 인쇄용지에 가까운 화면 밝기인 120 cd/m² 기준 흑색 밝기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합니다. 백라이트를 항상 켜는 일반적인 LCD와 다르게 OLED 또는 로컬 디밍을 지원하는 제품은 검은색을 표시할 때 화소 또는 백라이트를 완전하게 꺼버려 흑색 밝기는 사실상 0 cd/m입니다.
명암비
명암비Contrast Ratio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밝음과 어두움 차이를 나타내며 디스플레이 백색 밝기에서 흑색 밝기를 나눈 값(백색 밝기 300 cd/m² ÷ 흑색 밝기 0.1 cd/m² = 3,000 : 1)을 표기합니다. 명암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밝음과 어두움 차이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백라이트를 항상 켜는 일반적인 LCD와 다르게 OLED 또는 로컬 디밍을 지원하는 제품은 검은색을 표시할 때 화소 또는 백라이트를 완전하게 꺼버려 명암비는 사실상 무한대입니다.
색온도
색온도Color Temperature는 광원 색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표기 단위는 절대온도를 의미하는 K(Kelvin)를 사용합니다. 색온도가 높으면 푸른빛이 감도는 하얀색을 표현하며 색온도가 낮으면 붉은빛이 감도는 하얀색을 표현합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6,500 K를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색상 정확도
색상 정확도Color Accuracy는 컴퓨터가 보여주고자 하는 색과 디스플레이가 실제로 표현하는 색 차이가 얼마만큼 발생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45가지 색을 측정한 뒤 CIE xy 표준 L*a*b* 값 차이를 계산해 얼마만큼 차이 나는지 델타 E 수치(Delta E 2000 기준)로 표현합니다. 색상 정확도 측정은 화면 밝기 100 cd/m², 색상 영역 100%, 색온도 6,500 K, 감마 2.2를 표준으로 합니다. Adobe RGB, DCI-P3, BT.2020, sRGB 계산식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환경을 소개하며 델타 E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정확한 색을 표시합니다.
▲ 밝기 변화 그래프, 빨간선 : Smoothed Data, 파란선 : Raw Data, 화살표 : Overshoot Data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응답 시간
LCD 모니터는 액정Liquid Crystal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며 빛을 조절하며 액정이 움직이는 속도보다 화면이 변화하는 속도가 빠르면 잔상Motion Blur이 발생합니다. 이때 화소가 켜고 꺼지거나 변화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응답 시간Response Time이라고 표현합니다. 응답 시간은 일반적으로 회색 간 전환 시간을 측정하는 GTG(Gray to Gray)를 사용하고 이를 1/1,000초로 표기합니다. 퀘이사존은 회색조를 10단계로 나누어 GTG 기준 응답 시간을 측정하며 화면 밝기 변화가 이루어지는 전체 구간 중에서 10% ~ 90% 영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응답 시간이 빠르면 움직이는 콘텐츠 잔상이 적게 발생해 화면이 또렷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측정 대상 기본 응답 시간 설정은 그래프에서 감귤색으로 강조했습니다.
제품은 IPS 패널을 사용하며 제조사에서는 sRGB 100%를 지원한다고 표기합니다. 측정 결과 sRGB 99.5% 범위와 102.9% 비율(CIE xy)을 만족해 사양을 만족합니다. 색온도는 밝기 설정에 따라 6,700 K ~ 7,000 K 수준으로 표준 6,500 K보다 조금 차가운 화면을 표시합니다. 색상 정확도는 sRGB 계산식 기준 델타 E 평균 3.28입니다.
감마는 단일 설정을 지원하며 표준 2.2에 가까운 2.23이 측정되었습니다. 밝기는 SDR 최대 백색 502.4 cd/m², 흑색 0.37 cd/m²를 만족해 명암비는 1,360 : 1 수준입니다. HDR 환경에서는 백색 505.6 cd/m², 흑색 0.0204 cd/m²로 명암비는 24,826 : 1입니다. VESA DisplayHDR 400 인증을 받아 만족스러운 HDR 콘텐츠를 기대할 수 있으며 콘텐츠에 따라 화면 전체 밝기를 조절하는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Ratio를 지원합니다. 응답 시간은 최소 3.8 ms 수준입니다.
화면 측정 결과는 에이징 상태, 주변 환경, 제품마다 반드시 차이가 존재하므로 특정 제품 성격을 완벽하게 대변하지 못합니다. 반드시 참고 용도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CPU] Intel Core-i9 12900H
[코어 구성] 6P + 8E
[스레드 구성] 12P + 8E
[최대 부스트 클록] 5.0 GHz
[TDP] Processer Base Power: 45 W, Maximum Turbo Power: 115 W
[GPU] NVIDIA GeForce RTX 3070 Ti Laptop GPU
[쿠다 코어] 5888개
[부스트 클록] 1,410 MHz
[메모리] GDDR6
[메모리 대역폭] 14,000 Mbps
[최대 그래픽 성능] 150 W
비교군 CPU 벤치마크 - 보러 가기
일반적인 FPS 측정 툴은 1초라는 시간 간격을 두고 FPS 수치를 기록합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FPS 레이트로 보는 수치가 FPS, 즉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FPS 수치로 프레임을 기록할 경우 FPS 수치가 간헐적으로 떨어지는 끊김 현상, 스터터링(Stuttering)을 제대로 체크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에서 FPS 수치는 60 FPS 이상을 가리키고 있지만, 체감상으로는 훨씬 낮게 느껴지는 현상이 여기에서 기인합니다. 이런 순간적인 FPS 드롭을 감지해내기 위해서는 PresentMon 계열 툴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NVIDIA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FrameView나 AMD에서 제공하는 OCAT 역시 PresentMon 계열 FPS 측정 도구입니다. PresentMon과 같이 FPS 타임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하면 벤치마크를 진행하는 동안 생성되는 모든 FPS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원시 값(RAW Data)을 활용해 조금 더 원론적인 의미의 FPS 수치를 다양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0.1%나 1% 같은 수치는 이렇게 측정해낸 모든 FPS 수치를 백분위로 환산했을 때 하위 0.1% 및 1%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록한 것입니다. 0.1% 최소 FPS은 게임을 즐기면서 체감할 수 있는 FPS 드롭 수치, 1% 최소 FPS은 일반적인 FPS 측정 툴이 잡아내는 최소 FPS 수치라고 이해한다면 그래프를 읽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모든 성능 테스트는 Lenovo Vantage에서 열 모드를 성능으로, GPU 작업 모드를 dGPU 모드로 설정 후 진행했습니다.
[저장 장치] SK Hynix HFS512GEJ9X115N 512 GB
[낸드 플래시] 3D TLC
[인터페이스] PCI Express 4.0 x4
전력/소음 측정에 쓰인 장비 (왼쪽: HPM-100 Wattman, 오른쪽: CR-152A)
소음원 사례별 소음 크기 (출처: 국가소음정보시스템)
[유휴 소음] 0.0 dBA(제로 팬)
[풀로드 소음]
성능 모드: 48.5 dBA
밸런스 모드: 43.4 dBA
저소음 모드: 29.1 dBA
저소음 모드(iGPU): 25.6 dBA
[풀 로드 소비 전력]
성능 모드: 212.6 W
밸런스 모드: 185.4 W
저소음 모드: 119.3 W
저소음 모드(iGPU): 55.5 W
[안내] NVIDIA GeForce RTX 30 Series Laptop GPU를 탑재한 노트북은 Dynamic Boost 2.0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CPU와 GPU가 요구하는 만큼 전력을 적절히 배분하죠. 따라서 게임 테스트 하나만으로 노트북을 사용하면서 마주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대변하지 못합니다. 즐기는 게임,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대상 물체의 열 분포를 보여주는 카메라입니다. 같은 비접촉 방식인 열화상 온도계가 한 점의 온도만을 측정할 수 있지만, 열화상 카메라는 대상 물체 전체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온도의 높고 낮음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안내] 배터리 테스트는 PCMARK 10 배터리 벤치마크를 통해 시간을 측정했으며, 세부 설정은 Modern Office로 진행했습니다. 게임 테스트에서는 절대적인 성능을 가늠했다면, 배터리 테스트는 얼마나 사용 시간을 오래 지속하느냐에 중점을 뒀습니다. 따라서 레노버가 제공하는 Lenovo Vantage에서 저소음, Hybrid-iGPU 전용 모드로, 윈도우 배터리 설정을 최고의 전원 효율성으로 진행했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주변 환경 및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설정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데스크톱 PC 부럽지 않은 GeForce RTX 3070 Ti Laptop GPU
과거에는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간의 성능 격차가 매우 컸습니다. 그와 더불어 고성능이나 게이밍을 지향하는 노트북이라면 CPU와 GPU에서 발생하는 열을 해소하기 위해 비대한 쿨러를 사용했습니다. 좀 무겁다는 노트북은 4 kg에 근접하기도 했으니 말이죠. 그러나 공정 미세화를 거듭한 끝에 점차 간격을 줄이고 있습니다. 여전히 네이밍 간에 성능이 대응하지 않는다는 비판적인 목소리가 있지만, 분명 괴리감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상대적으로 열이 적게 발생하여 쿨러 크기도 줄일 수 있게 됐습니다.
GeForce RTX 3070 Ti Laptop GPU는 성능 모드로 사용했을 때 10분간 평균 클록이 1,487.6 MHz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합니다. 그래서 3종 게임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 데스크톱 그래픽 카드인 RTX 3060 Ti와 거의 대등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극한의 성능을 추구하는 하이엔드 유저에겐 아쉬울 수 있지만, 좁은 공간에서 데스크톱 PC를 대체할 게이밍 노트북을 찾는다면 부족함이 없습니다. 이 뛰어난 성능을 시각적으로 온전히 경험할 수 있도록 165 Hz 고주사율을 지원하며, dGPU 모드로 노트북을 부팅하면 NVIDIA 제어판에서 G-SYNC를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NVIDIA G-SYNC를 활성화한 모습
데스크톱 PC와 노트북 간의 성능 격차가 좁혀지면서 노트북을 메인 PC로 사용하는 이들도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노트북 한대에 출력 장치와 입력 장치가 모두 내장돼있어 기숙사처럼 공간을 극한으로 활용해야 하는 곳에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혹은 단순히 데스크톱 PC가 너무 거추장스럽고 세팅하기 번거롭다는 이유만으로 노트북을 택하기도 합니다. 물론 여전히 확장성 등 노트북이 데스크톱 PC와 비교해서 불리한 지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데스크톱 PC를 사용하더라도 저장 장치를 1개 내지 2개 정도로 구성하기 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길 수 있습니다. 마침 LEGION 5i Pro 16IAH I9 3070Ti는 M.2 SSD를 최대 2개까지 장착할 수 있기도 하니 말이죠. 그럼에도 부족하다면 넉넉한 I/O 포트를 활용해 외장형 기기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관점을 데스크톱 PC와의 비교로 바꾸면 2 kg 중반대 무게가 오히려 가볍게 느껴집니다. 데스크톱 PC는 SFF(Small form factor) PC라고 하더라도 위치를 옮기기 위해선 전원을 꺼야 하고 모니터와 키보드 등 챙겨야 할 물건이 많습니다. 그래서 사실상 데스크톱 PC는 위치를 옮기는 게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게 맞을 겁니다. 그와 달리 노트북은 꼭 휴대하지 않더라도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위치를 옮기기 수월합니다. 각자 자리에서 업무를 보다가 잠시 회의에 참석하거나 방 안에서 거실로 옮겨 TV와 연결하는 상황처럼 말이죠. 예시를 단편적으로 들었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 활용 가치는 무궁무진합니다.
위치를 옮기기 쉽다는 특징과 모든 게 한 제품에 집약돼있는 노트북 특성상 파손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동하는 도중 실수로 떨어트릴 수 있으며 음료 같은 액체류를 쏟았을 때 치명적입니다. 그래서 레노버는 LEGION ADP(Accidental Damage Protection) 파손 보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노트북 구매일부터 1년내에 전기 과부하, 외부 충돌, 액체 유입 등으로 인해 파손이 발생했을 경우 무상 수리를 진행하는 서비스입니다. 그와 더불어 프리미엄 케어도 제공합니다. 평일은 물론 주말에도 24시간 전문 상담사에게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AS 진행시 편의를 위한 퀵 서비스와 정기 점검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데스크톱 PC를 대체할 노트북이 필요하다
· MUX 회로(스위치)를 지원해야 한다
· 165 Hz 고주사율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 성능도 좋지만, 휴대성이 더 중요하다
· 광색역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레노버 LEGION 5i Pro 16IAH I9 3070Ti
댓글: 236개 (응모: 0/1)
주연테크 V32UE
생산과 소비에 모두 유리한 4K UHD 모니터
글로리어스 SERIES ONE PRO
도대체 어디까지 가벼워질 작정이야!?
3RSYS 빙하8 / 빙하9 M.2 SSD 방열판
M.2 NVMe SSD를 식혀라~
darkFlash DNM600 MAX - Mini Tower CASE
쓸만한 미니 타워 케이스를 찾으시나요?
슈퍼플라워 12VHPWR 모듈러 케이블, 내 시스템에 사용해도 될까?
슈퍼플라워 12VHPWR 모듈러 케이블, 구매 전에 확인하세요!
KLEVV CRAS C930 M.2 NVMe(2TB)
방열판 기본 제공, PC와 PS5에서 모두 사용 가능
GIGABYTE B760 AORUS ELITE 피씨디렉트
메인스트림 중의 메인스트림
다양한 정림전자 모니터, 쉽게 정리해보자!
QM이 생각하는 BEST 모니터는?
LG 2023 그램 16 16Z90R-EPP12KB
새로운 2023년 그램
SK하이닉스 Platinum P41 레이드로 미리 보는 Gen5 M.2 SSD 성능
Gen5 M.2 SSD 성능은 Gen4 M.2 SSD의 두 배
ASUS TUF Gaming B760M-PLUS D4 인텍앤컴퍼니
이제는 주류(술 아님)가 된 TUF Gaming
빅트랙 27CM7501
근본있는 27형 FHD 모니터, 로켓 배송까지!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90 Hall Of Fame 24GB
백색의 제왕이 귀환하다
LG전자 울트라기어 45GR95QE
LG OLED 게이밍 모니터, 드디어 등장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80PLUS BRONZE 230V EU FULL MODULA...
풀모듈러 파워인데 100W당 1만 원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왜? 4슬롯이라 싫어? 근데 어쩔건데?
민수야.. 형 애플 정리하고 갤럭시로 갈아탄다
불 좀 꺼줄래? 내 SSD좀 보게
업무와 게임을 놓칠 수 없다면?
4K가 신세계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