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D가 등장한 이래 오랫동안 2.5 인치 규격이 주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M.2 SSD가 등장했고, 더 높은 대역폭이 필요해 PCI Express를 사용하는 NVMe까지 진화했죠. M.2 SSD는 여러 규격이 있습니다. 폭을 나타내는 22 mm와 길이를 나타내는 뒤 숫자 조합으로 구분하죠. 대중적인 M.2 2280을 예로 들면 길이가 80 mm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아주 작은 PC. 그러니까 두 손으로 잡을 수 있는 PC라면 SSD를 장착하기 위한 80 mm도 확보하기 어려울 겁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아주 작은 PC에 장착할 수 있는 M.2 2230 NVMe SSD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이름은 마이크론 2400 M.2 2230 NVMe (512GB) 대원씨티에스입니다. Gen4 x4 인터페이스에 M.2 2230 규격으로 Steam Deck에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상자 & 구성품 BOX & COMPONENTS


[구성품] 마이크론 2400 M.2 2230 NVMe 본체
제품 외형 & 특징 PRODUCT DESIGN & FEATURE





[폼팩터] M.2 2230
대중적인 M.2 2280 SSD와 비교하면 길이가 절반도 안되는 M.2 2230 규격입니다. 데스크톱 PC보다 노트북, Windows 태블릿 PC, UMPC1) 등 내부 공간이 비좁은 기기를 위한 규격이죠. 그래서 최근 출시하는 메인보드 중에 이 규격을 지원하는 제품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만약 일반 데스크톱에서 사용하기를 원하는데, 메인보드에서 M.2 2230 규격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사진과 같은 연장 브래킷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1) UMPC: Ultra-Mobile PC의 약자, 7~8 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휴대성을 극한으로 높인 초소형 컴퓨터를 칭함. Nintendo Switch, Steam Deck 등 휴대용 게임기를 이 개념에 포함 시키기도 한다.
PCB 레이아웃 PCB LAYOUT

[컨트롤러] Silicon Motion SM2269XT
[DRAM 캐시] 없음
[NAND 플래시 메모리] Micron 3D 176-Layer QLC(N48R)
[추가 기능] SLC 캐싱2), HMB3)
2) SLC 캐싱: SSD에 탑재한 NAND 플래시 메모리 중 일부 영역을 SLC처럼 사용해 쓰기 성능을 높이고 수명을 늘리는 기술이다.
3) HMB: 호스트 메모리 버퍼(Host Memory Buffer)의 약자로, SSD에 DRAM 캐시를 탑재하지 않은 경우, 호스트 시스템의 DRAM 일부를 읽기/쓰기 캐시 또는 매핑 테이블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저장장치 성능 테스트 STORAGE BENCHMARK




먼저 AJA Video Systems, Inc.에서 개발한 AJA System Test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는 다양한 해상도와 코덱을 녹화하고 재생하는 모든 드라이브 시스템의 기능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3840 x 2160 해상도(4K), 코덱 타입은 10bit RGB 그리고 파일 크기는 64 GB로 설정하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 AS SSD Benchmark(눌러서 펼치기)







AS SSD Benchmark는 SSD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벤치마크로, 4K 블록 사이즈에서의 순차, 무작위 읽기 및 쓰기 성능을 테스트합니다. 4K와 4K-64Thrd 성능이 높을 때 높은 점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이크론 2400 M.2 2230 (512GB)는 비교군 중에 총점이 중간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4K 블록 사이즈 성능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판단됩니다.


▼ ATTO Disk Benchmark(눌러서 펼치기)






ATTO Disk Benchmark는 저장장치와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하는 ATTO Technology에서 제작한 저장장치 벤치마크 소프트웨어입니다. SSD뿐만 아니라, HDD와 RAID 배열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 2400 M.2 2230은 표기 스펙상으로 2 TB 모델이 가장 성능이 높습니다. 칼럼 제품인 512 GB 모델은 2 TB 제품과 비교했을 때, 최대 쓰기 속도가 절반 이하로 낮습니다. ATTO Disk Benchmark에서는 최대 읽기 속도에 비해 쓰기 속도가 낮아서 블록 사이즈가 커질수록 쓰기보다 읽기 성능 향상이 높습니다. 4K 블록 사이즈에서 읽기 성능이 SATA 3 SSD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점은 아쉽습니다.


가장 대중적인 저장장치 종합 성능 벤치마크인 CrystalDiskMark 8.0.4 x64입니다. 그래프는 0을 순차적으로 채우는 0Fill 테스트가 아닌, 임의의 값을 기록하는 Random 테스트 결과입니다.
마이크론 2400 M.2 2230 NVMe는 SEQ1M Q8T1에서 스펙과 비슷한 읽기 4,314.4 MB/s, 쓰기 1,834.9 MB/s가 측정되었습니다. 앞선 ATTO Disk Benchmark와 다르게 4K 읽기 성능이 높게 측정됩니다. DRAM 캐시 메모리를 탑재한 고급형 제품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아닙니다. (사용 환경에 따라 결괏값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파일 압축 테스트

2,540개 파일로 총 21 GB을 구성한 폴더를 해당 저장장치 내에서 압축 프로그램인 반디집을 이용해 ZIP 확장자로 압축하고, 압축을 푸는 시간을 측정했습니다. 모든 설정은 반디집 기본값입니다.
□ 더티 테스트

[테스트 시간] 1시간 26분 35초
[SLC 캐싱 구간] 14%
[최대 속도] 2,009 MiB/s
[평균 속도] 385 MiB/s
[평균 속도 50% 미만] 197.5 MiB/s
[평균 속도 50% 미만 구간] 78.7%
마이크론 2400 M.2 2230 NVMe는 1시간 26분 35초에 테스트를 마쳤습니다. SLC 캐싱 구간은 약 14%이며, 이 구간 내에서는 평균 1,843.3 MiB/s로 작동합니다. 그러나 QLC에 직접 쓰기를 시작하면서 급격하게 속도가 떨어지며 평균 149.3 MiB/s로 작동합니다. 지속 쓰기 성능이 중요한 사용자에게는 아쉽게 느껴질 만한 결과입니다.
□ 100 GB 파일 연속 복사 테스트



*기본적으로 히트싱크를 제공하는 제품의 경우 부착한 상태의 결괏값입니다.
테스트와 더불어 100 GB 단일 파일을 해당 디스크 내에서 복사하는 테스트도 진행했습니다. 테스트 방식은 CMD 명령어를 통해 100 GB 파일을 디스크에 쓰고 지우는 방식이었으며, 실제 사용 환경과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 2400 M.2 2230 (512GB)는 비교군 제품 중에 가장 빠른 속도로 작업을 끝마쳤습니다. (해당 결과가 SSD 성능을 직접 대변하는 결과는 아닙니다. 컨트롤러와 낸드 플래시 메모리 조합이 동일한 제품이 많습니다. 이외에도 시스템 구성과 같은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온도 테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