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제품비교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컴퓨텍스
하드웨어 제품비교 •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인텔에서 파워서플라이 ATX 3.0 규격을 발표한 지 어느새 1년이 지났습니다. 온라인에 등록된 ATX 3.0 파워만 해도 50 종(국내 기준)이 넘어가고 있죠. 750W부터 1600W까지, 80PLUS GOLD부터 TITANIUM까지 다양한 시스템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ATX가 아닌 SFX 시장으로 눈을 돌리면 상황은 달라집니다. ATX 3.0 규격을 따르는 제품 선택이 불가능했기 때문인데요. 흔히 ITX 케이스, 리틀밸리 시스템을 꾸리는 사용자에게는 아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RTX 40 시리즈가 출시한 지 어느덧 반년이 지난 2023년 4월, 드디어 국내 시장에 ATX 3.0 규격으로 설계된 SFX 파워, CORSAIR SF1000L ATX 3.0 (PCIE5)가 등장했습니다. SFX-L 규격으로 최대 1000W에 80PLUS GOLD 인증을 받은 하이엔드 파워인데요. 얼마 전 퀘이사존에도 해당 제품이 입고되었습니다. 국내 첫(판매 기준) ATX 3.0 규격 SFX-L 파워, 칼럼을 통해 그 모습과 성능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성품] 파워 본체, ATX 변환 브래킷, 모듈러 케이블, AC 전원 케이블, 사용자 설명서, 케이블 타이, 고정용 나사
다른 CORSAIR 제품과 마찬가지로 브랜드 색상인 노란색으로 패키지를 구성했습니다. 전면에는 파워 이미지와 제품명 그리고 80PLUS GOLD 인증 로고만 표기했습니다. 출력 정보 및 특징을 후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워 크기] 130×125×63.5 mm
SFX 표준 규격은 앞뒤 길이가 100 mm입니다. SF1000L은 SFX-L 규격으로 표준보다 30 mm 늘어났습니다. 이에따라 제품명 뒤에 '-L'이 추가되었습니다. 섀시는 올블랙이며, 팬그릴은 RMx SHIFT와 같은 삼각형 패턴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원형 팬그릴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측면에는 스티커로 제품명과 스펙표를 부착했습니다.
하이엔드 제품답게 풀모듈러 디자인입니다. MOTHERBOARD, PCIe/CPU, SATA/PATA로 포트를 분류했습니다. 케이블도 CORSAIR TYPE 5 케이블을 사용했습니다.
[팬리스 모드] Zero RPM Fan Mode 지원, On/Off 버튼 제공하지 않음
SF1000L은 40%(공식 스펙 기준)까지 쿨링팬이 작동하지 않아 무소음을 실현하는 팬리스 모드를 지원하는데요. CORSAIR는 Zero RPM Fan Mode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단, 부하량과 별개로 내부 온도에 따라 40% 미만에서도 쿨링팬이 작동하거나 또는 더 높은 부하량에서도 쿨링팬이 정지 상태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기존 SF750 80PLUS Platinum과 비교해 봤습니다. 기존에는 전통적인 철제 팬 그릴로 구성했었지만, 이번에는 섀시 일체형으로 바뀌었습니다. 또한, 용량이 커진 만큼 앞뒤 길이가 30 mm 늘어났고, 쿨링팬도 92 mm에서 120 mm로 커졌습니다.
※ 측정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케이블 연결 방식] 풀 모듈러(CORSAIR TYPE 5 CABLE)
[케이블 특징] 플랫 케이블
[케이블 두께] 16~24 AWG
앞서 언급했듯이 SF1000L은 CORSAIR TYPE 5 CABLE을 사용했습니다. 기존 제품에 적용되던 TYPE 4보다 커넥터 크기가 더 작아졌습니다. 첨부한 사진을 통해 기존 TYPE 4와 차이를 알 수 있습니다. 케이블은 전부 선호도가 높은 플랫 케이블로 구성했으며, CPU 보조전원 커넥터 2개와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커넥터 3개는 1 케이블 - 1 커넥터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12VHPWR 12+4 PIN 케이블을 사용해 그래픽카드와 파워서플라이를 직결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변환 젠더 사용하는 것에 비해 간결하여 정리하기도 쉽고, 시스템 내부를 한층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단, 한쪽이 8 PIN 2개로 구성되어 있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차 측 콘덴서] Rubycon 510uF / 420V - 105℃, 330uF / 420V - 105℃
[2차 측 콘덴서] NIPPON CHEMI-CON 2700uF / 16V(솔리드)
130 x 125 mm로 설계된 내부는 여유 공간 없이 부품이 빼곡히 담겨있습니다. 도터보드를 통해 공간을 확보했으며, 외부 노출된 케이블도 최소화했습니다. 내부 히트싱크도 블랙이며, 트랜스포머에는 CORSAIR 로고를 배치했습니다. 출력단에는 DC to DC 회로를 배치하여, 12V 가용력을 100%까지 높였습니다.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보호회로를 지원합니다.(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OVP (Over Voltage Protection) = 과전압 보호회로
OCP (Over Current Protection) = 과전류 보호회로
SCP (Short Circuit Protection) = 단락(합선) 보호회로
OPP(Over Power Protection) = 과부하 보호
OTP(Over Temperature Protection) = 과온도 보호
[쿨링팬] NR1215(12V, 0.55A)
[쿨링팬 크기] 120 x 120 x 15 mm
[베어링] Fluid Dynamic Bearing(커세어 본사 확인)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래프 시작지점이 76%로 설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보다 과장된 그래프입니다.
[10% 부하] 89.98%
[20% 부하] 92.72%
[50% 부하] 93.24%
[100% 부하] 90.52%
80PLUS 인증 내역서를 확인해 보면 50% 부하에서 92.56%로 GOLD 인증을 통과했으며, 퀘이사존 측정 결과 93.24%로 기준값을 충족합니다. 80PLUS GOLD 인증 기준값보다 3.24~5.72%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20V 기준 측정 결과로 효율이 높게 측정될 수 있음) 10% 부하 구간에서도 89.98%로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12V 라인과 3.3V, 5V 최대 출력 테스트도 진행을 해봤습니다. +12V 최대 부하(=1000W 출력)에서는 91.19%로 측정되었으며, +3.3V와 +5V 라인(=120W 출력) 최대 부하에서는 85.73%로 측정되었습니다.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래프 시작지점이 11.2V로 설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실제보다 과장된 그래프입니다.
[CPU 보조 전원] 0.024V(최대-최소)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 0.023V(최대-최소)
CPU와 그래픽카드 전력 사용량이 높아짐에 따라 12V 라인 출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오차 범위(+5%~-7%)보다 타이트한 0.2% 이내로 안정적인 12V 출력을 보여줍니다.
SF1000L은 20% 부하까지 제로팬으로 작동합니다. 30% 부하에서 455 RPM으로 작동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부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쿨링팬 속도가 상승합니다. 측정된 최대 팬속도는 2,178 RPM입니다. (테스트는 25±1℃ 환경에서 진행했으므로 환경 및 샘플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음)
쿨링팬 소음은 50% 부하(766 RPM)에선 25.7 dB(A), 80% 부하(1,613 RPM)에선 48.9 dB(A) 그리고 100% 부하(2,178 RPM)에선 56.9 dB(A)로 측정되었습니다.
※ 소음 테스트는 쿨링팬 단독 작동 조건에서 측정된 결과입니다. 케이스 장착 후 실제 사용 간 발생하는 소음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에는 5VSB 전력 기준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ErP Lot 3 2014 및 ErP Lot 6 2010 / 2013에는 5VSB 대기전력 효율이 가능한 높아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그중 550mA, 1A 및 1.5A 구간에서는 75% 이상 효율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제품마다 5VSB 최대 출력이 다른데요. 이점을 고려하여 5VSB 출력이 3A보다 높은 경우에는 최대 3A 기준에서 75% 이상 효율을 달성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존에서는 가이드에 따라 550mA, 1A, 1.5A 그리고 파워 스펙에 명시된 최대 5VSB 출력값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550mA, 1A, 1.5A, 2A, 2.5A, 3A 총 6개 테스트에서 기준치인 75%보다 높은 +5VSB 효율 성능을 확인했습니다.
리플&노이즈는 콘덴서의 수명을 단축하고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으며, 설계 가이드에서도 보통 출력 전압의 1~2%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각종 노이즈가 전압을 왜곡시켜 전위 차이를 이용한 신호에 오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리플&노이즈 양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12V, +5V, +3.3V 라인에서 인텔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를 만족하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SFX보다 긴 앞뒤 길이(130 mm)
- 팬리스 모드 제어 불가
+ SFX-L 폼팩터, 1000W 용량
+ 팬리스 기능 탑재
+ 유체 베어링 쿨링팬 사용(120 mm, 두께 15 T)
+ ±0.2% 이내 안정적인 12V 출력
* 본문에 첨부한 제품 사진은 눌러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로고가 없는 사진은 해당 제품 브랜드 자료입니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커세어 SF1000L ATX 3.0 (PCIE5)
댓글: 234개 (응모: 0/1)
시크한 올블랙 히트싱크, 장착하면 자동으로 5,600 MHz 인식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PRO 32GB(16Gx2) 대원씨티에스
쓰리알의 신규 공랭 쿨러 대령이오~
3RSYS Socoool RC340
AMD 라이젠 시스템에서 PCIe 5.0 NVMe 성능은? 그리고 히트싱크 종류에 따른 온도는?
마이크론 Crucial T700 M.2 NVMe (2TB) 대원씨티에스
S401보다 더 작은 사이즈, 미니 타워 S403을 만나보자!
3RSYS S403 Quiet
노트북이라면 노트처럼 들고 다닐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레노버 IdeaPad Slim 5i 14IRL8 i5
8년 만에 돌아온 HyperX Cloud 라인 신제품!
HyperX Cloud III - 게이밍 헤드셋
4열이라 케이스는 좀 가리지만, 성능은 압도적이다!
VALKYRIE C480 RGB
B760 메인보드 중 내가 제일 저렴해!
GIGABYTE B760M H DDR4 제이씨현
게이밍 모니터, 처음이신가요?
오디세이 G5로 알아보는 게이밍 모니터 사용법
FHD 게이머라면 주목!
ASRock Phantom Gaming 라데온 RX 7600 OC 8GB
대용량, 고효율, ATX 3.0, 제로팬.... 다 넣었다!
SuperFlower SF-1300F14XG LEADEX VII GOLD ATX 3.0 (PCIE5)
프리미엄 모델의 특이한 전면 패널 디자인을 공유했다!
darkFlash DF2100 MESH RGB 강화유리
막내 체리 나가신다!
CHERRY MX 1.1 TKL
RTX 40시리즈 메인스트림 그래픽카드 등장!
GIGABYTE 지포스 RTX 4060 Ti Gaming OC 8GB
메인스트림급 시스템에 부담 없이 사용하자!
앱코 SETTLER-II ST-700S 80PLUS STANDARD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실버스톤씨... 왜 이러시는 거죠?
LCD 교체패널 등장 예고 (다크플래시)
잘만 복귀 신호탄! 알파 A 시리즈!!
아 메모리 또 사야되잖아 ㅡㅡ
기가바이트에 기스나도 A/S 되냐고 물어봤습니다 (실화)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