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시스템 소개 10종 벤치마크 + 15종 게임 성능 측정
이번 벤치마크의 핵심은 아무래도 새롭게 추가된 라이젠 9 3950X일 것입니다. 당연히 벤치마크 역시 라이젠 9 3950X 위주로 진행하는 것이 옳을 텐데요. 개인적으로는 작업 성능보다 게이밍 성능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날지 매우 궁금했습니다. 작업 성능 면에서는 당연히 16개의 물리 코어를 탑재한 만큼 이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에서 높은 성능을 짐작해볼 수 있기에, 늘어난 코어와 캐시 메모리가 게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지 호기심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라이젠 9 3950X에 대해서는 순정 상태와 PBO + Auto Overclocking(이하 Auto OC) 200 MHz를 활성화한 상태, 여기에 4.35 GHz로 수동 오버클록 적용 상태를 각각 비교해보기로 했습니다. 다만, PBO 및 Auto OC를 Ryzen Master만으로 활성화하면 PPT가 142W로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아무래도 소프트웨어 혹은 UEFI 펌웨어에서 라이젠 9 3950X를 아직 완벽하게 지원하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로 추측되기에, 이후 업데이트로 해결되리라 생각합니다. 해당 문제는 UEFI 펌웨어 내의 PBO 메뉴에서 EDT를 수동으로 입력(395W)한 후 다시 Ryzen Master 소프트웨어로 돌아가면 정상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AMD의 다른 대조군으로는 라이젠 9 3950X 이전까지 최상위 제품의 자리를 차지하던 라이젠 9 3900X 그리고 8 코어 16 스레드 제품인 라이젠 7 3700X를 포함했습니다. 경쟁사의 제품도 빼놓으면 섭섭하겠죠. 최강의 게이밍 프로세서로 군림하고 있는 인텔 코어 i7-9700K와 인텔 코어 i9-9900K를 각각 대조군으로 넣었으며, i9-9900K를 5.0 GHz로 오버클록 한 자료를 함께 추가하는 형식으로 극한의 게이밍 환경을 구현해보았습니다.
프로세서와 마더보드를 제외한 나머지는 양사의 시스템 부품을 최대한 동일하게 구성했습니다. 메모리는 비교적 최근 출시된 G.SKILL TRIDENT Z NEO DDR4-3,200 CL14 16GB(8GB x2) 제품을 활용했으며, 저장장치는 Apacer PANTHER AS340 960GB와 GIGABYTE AORUS NVMe Gen4 SSD 2TB를 각각 운영체제와 데이터용으로 사용했습니다. CPU 쿨러로는 일반 사용자가 구매 가능한 일체형 수랭 쿨러 중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NZXT Kraken X72로 선정했습니다.
마더보드 UEFI 펌웨어 역시 최신 버전으로 통일했습니다. 특히 AGESA 1.0.0.4 B 버전이 적용된 UEFI 펌웨어에서 AMD 3세대 라이젠 프로세서의 부스트 클록을 조금 더 높게 유지할 수 있기에, ASUS ROG CROSSHAIR VIII HERO에도 해당 AGESA 업데이트가 적용된 1105 버전을 적용해 두었습니다. 경쟁사의 프로세서를 테스트하기 위한 ASUS ROG MAXIMUS XI APEX 역시 테스트 진행 기준 최신 버전인 1302를 적용했습니다.
운영체제와 각종 드라이버는 테스트 진행 시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최신 버전을 적용했습니다. 운영체제는 WIndows 10 v1909 Build 18363.449로, 칩세트 드라이버와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는 각각 최신 버전으로 말이죠. 단, 오버클록 상태는 모두 UEFI 내에서 진행했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퀘이사존 후원사 특별 협찬
모니터: 인터픽셀 IPQ2731
메모리: G.SKILL TRIDENT Z NEO DDR4-3,200 CL14 8GB x2(서린씨앤아이)
SSD: Apacer PANTHER AS340 960GB(서린씨앤아이)

파워 서플라이: Antec HCG Extreme 1000W 80PLUS GOLD 뉴런글로벌
아래에서 이어지는 내용은 각 테스트에 대한 요약 내용입니다. 각 테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페이지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