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제품비교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추석이벤트 •
퀘플래플
퀘플이벤트
리뷰
벤치마크
기획기사
게임기사
비디오
리포트
컴퓨텍스
하드웨어제품비교 •
CPU
그래픽카드
하드웨어
게임
모바일
파트너뉴스
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오버클록/언더볼팅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IT/하드웨어
박물관
나눔게시판
핫딜
타세요
장터
라이브스트리밍
:
▲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 동영상
(3840x2160 / 4K 해상도 지원)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
DEEPCOOL이 한국 시장에 선보이는 첫 번째 파워서플라이
안녕하세요. 퀘이사존 달려입니다.
PC를 좋아하는 사용자라면 DEEPCOOL 브랜드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쿨러와 케이스로 잘 알려져 있는데요. 그중 DEEPCOOL을 대표하는 제품은 바로 GAMMAXX CPU 쿨러 시리즈라 할 수 있습니다. 국내 출시 이후 매년 TOP3 안에 드는 높은 판매량과 가성비를 자랑하고 있는데요. 이뿐만 아니라 하이엔드 타워 쿨러 ASSASSIN 시리즈와 일체형 수랭 쿨러 GAMER STORM CASTLE 시리즈를 기반으로 국내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높여가고 있습니다. DEEPCOOL의 쿨러 제품군은 탄탄한 입지 자랑하고 있지만, 케이스와 파워서플라이는 아직까지는 쿨러에 비해 영향력이 크지 못한 편입니다. 그중 파워서플라이는 해외에서만 판매되며, 국내에서는 출시를 한적이 없는데요. 출시는 하지 않았지만 DEEPCOOL은 치열한 국내 파워서플라이 시장을 꾸준히 주시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계속해서 파워 시장을 지켜만 보던 DEEPCOOL이 2020년 5월 말 과감한 도전을 선택했습니다. 국내 유통사인 브라보텍을 통해 파워를 출시한다는 소식을 전해왔는데요 공식 제품명은 DEEPCOOL DQ850-M-V2L로 하이엔드 시장을 겨냥한 제품이 되겠습니다. DQ850-M-V2L 파워는 80PLUS GOLD 인증을 받았으며, 풀 모듈러 디자인에 플랫 케이블 그리고 국내 사용자들이 꼼꼼하게 따지는 105℃ 콘덴서를 탑재했습니다. 기존 DQ850-M 모델의 경우 12V 출력이 멀티 레일(4채널) 타입이었다면, 신제품은 싱글레일로 변경되었습니다. DEEPCOOL이 한국 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인 파워의 구성과 성능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키지 박스는 회색 베이스에 초록색이 추가된 디자인을 보여주며, 전면에는 파워 사진과 주요 특징이 섬네일로 표기되었습니다. 측면에는 스펙표와 케이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돌려서 뒤쪽을 보면 제품 특징이 상세히 설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박스를 개봉하면 완충재로 포장되었으며, 모듈러 케이블 및 기타 부속품들은 파우치에 담겨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모듈러 케이블, 전원 케이블, 조립용 나사, 케이블 타이, 사용자 설명서가 제공됩니다.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 디자인
표준 ATX(140×150×86mm)보다 섀시 앞 · 뒤 길이가 20mm 길어진 160mm로 구성되었습니다. 섀시와 팬그릴은 검은색으로 구성했으며, 모듈러 케이블 연결 파트까지 검은색으로 간결한 모습을 완성했습니다. 파워 후면 타공 패턴은 기존 육각형 타입이 아닌 DEEPCOOL을 상징하는 로고 패턴으로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AWG = 케이블 피복을 제외한 내심(실제 전선)의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로 AWG가 수치가 낮을수록 굵은 내심을 가진 케이블입니다. 되도록 굵은(AWG 숫자가 낮은)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이라 할 수 있으며, PC용 파워서플라이 경우 주로 18AWG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급형 제품의 경우 20, 22AWG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반 파워들과 달리 외부로 노출된 케이블을 최소화하고, 주요 부품들을 모두 PCB 회로에 실장 하는 형태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전력 손실 및 출력 성능을 개선했으며, 향상된 퍼포먼스를 보장합니다. 출력단에는 DC to DC 회로로 추가하여 12V 가용력을 99%까지 높였습니다. 1차 측 콘덴서는 NIPPON CHEMI-CON 680uF / 400V - 105℃ 부품을 실장 했으며, 2차 측 콘덴서는 KZE 콘덴서(2200uF / 16V, 1000uF / 16V)와 솔리드 콘덴서가 사용되었습니다.
■ 보호회로 구성(SITRONIX ST9S429-PG14)
OVP (Over Voltage Protection) = 과전압 보호회로
UVP (Under Voltage Protection) = 저전압 보호회로
SCP (Short Circuit Protection) = 단락(합선) 보호회로
OPP (Over Power Protection) = 과전력 보호회로
OTP (Over Temperature Protection) = 과온도 보호회로
슬리브 베어링으로 설계된 HA1225H12S-Z 120mm 쿨링팬이 탑재되었습니다. GOLD 이상 급 제품들은 주로 FDB 베어링 또는 볼 베어링 쿨링팬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슬리브 베어링 구성은 다소 아쉬운 부분입니다.
80PLUS 인증이란 무엇인가?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Unit : PSU) 효율에 관한 인증 부분에서 가장 신뢰가 높은 인증 기준값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격으로, ECOS(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 기관)에서 2004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부하에 따른 효율 부분에 대한 규격으로 10% 부하에서부터 20%, 50%, 100% 정격 부하 환경에서 80% 이상의 효율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에만 제공되는 인증 마크입니다. (80PLUS 공식 홈페이지 참고)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간 장비, 환경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변인 통제를 100% 완벽하게 하기란 실제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퀘이사존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없도록 파워서플라이 모든 제품에 동일한 테스트 방식을 적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존 파워서플라이 테스트는 아이텍일렉트로닉스 IT8511+ & IT8512+ 초고속 로드 장비와 LeCroy LT354 장비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진행 전 30분간 파워서플라이 100% 로드 부하 환경을 유지합니다. 이후 10%부터 100% 구간까지 각각 구간을 20분씩 테스트하여 효율 결괏값을 각 도표에 반영하여 표기하고 있습니다.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 파워는 80PLUS GOLD 인증을 받았으며, 최대 효율 90%(Typical 기준, 50% 부하)를 보장합니다.
[80PLUS 인증 기준값, 20% 로드 시 = 87%, 50% 로드 시 = 90%, 100% 로드 시 = 87%]
최대 효율은 40% 구간에서 측정된 93.22%였으며, 100% 부하에서는 90.2%로 기준값(87%)보다 3% 이상 높은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80PLUS GOLD 인증값과 비교하면 적게는 3.1%에서 많게는 5.33%까지 높은 효율 값과 안정적인 출력을 보여주었습니다.
Cross Load 테스트의 +12V 최대 부하(=846W 출력)에서는 91.45%로 측정되었으며, +3.3V와 +5V 라인(=110W) 최대 부하 테스트에서는 84.27%로 측정되었습니다.
인텔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에는 +12V, +5V, +3.3V, -12V, +5VSB 각 출력 전압 기준값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중 +12V 라인은 최저 11.4V에서 최대 12.6V로 표시가 되었으며, 해당 범위 내로 출력되어야 정상 범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많은 전력 소비와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12V(EPS 4+4 PIN, PCIe 6+2 PIN) 라인 전압을 확인해봤습니다. 최대 전압 차이는 0.087V로 확인되었으며, ± 0.1V 이내의 안정적인 출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부하에 따른 쿨링팬 RPM(Revolution Per Minute) 변화도 함께 확인해봤습니다. 80% 부하까지는 1,000 RPM 미만으로 낮게 작동하며, 90% 부하부터 가파르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00% 기준으로 쿨링팬 속도는 약 1,883 RPM으로 측정되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ATX 폼팩터 기준)에는 5VSB(=5V STAND BY) 전력에 대안 기준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ErP Lot 3 2014 및 ErP Lot 6 2010 / 2013에는 5VSB 대기전력 효율이 가능한 높아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으며, 그중 550mA, 1A 및 1.5A 구간에서는 75% 이상 효율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마다 5VSB 최대 출력이 다른데요. 이점을 고려하여 5VSB 출력이 3A보다 높은 경우에는 최대 3A 기준에서 75% 이상 효율을 달성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존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기준에 따라 550mA, 1A, 1.5A 그리고 파워 스펙에 명시된 최대 5VSB 출력값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550mA, 1A, 1.5A, 2.5A 총 4개의 테스트에서 기준치인 75%를 넘는 +5VSB 효율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리플&노이즈 측정
파워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뜻합니다. 리플(Ripple)은 교류(AC)가 완전히 직류(DC)로 변환되지 못하고 AC Peak 시 흔적을 남기게 되어 맥박이 뛰는 것 같은 직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리플이라 합니다. 파워 특성상 고주파 스위칭 과정에서도 리플과 전기적인 노이즈 출력이 함께 직류에 나타나게 됩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구분하지 않고 함께 측정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리플&노이즈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리플&노이즈는 콘덴서의 수명을 단축하고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으며, 설계 가이드에서도 보통 출력 전압의 1~2%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각종 노이즈가 전압을 왜곡시켜 전위 차이를 이용한 신호에 오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리플&노이즈 양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리플&노이즈 테스트 결과는 20%, 50%, 100% 3가지 환경에서의 측정값을 도표에 입력 후 표기하였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12V는 최대 120mV / 5V는 최대 50mV / 3.3V는 최대 50mV 기준치 이내에 들어오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2V, +5V, +3.3V 라인에서 인텔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를 만족하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총평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는 DEEPCOOL 파워 중 첫 번째로 한국 시장에 공식 출시되는 모델입니다. 기존 DQ850-M 모델과 크기는 동일하지만, GAMER STORM을 상징하던 로고는 제외하고 DEEPCOOL 브랜드를 강조한 콘셉트로 변경되었는데요. 팬그릴도 일반적인 원형 타입이 아닌 프레임이 일자로 연결된 형태로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측면에는 DEEPCOOL의 'D' 문구가 큼지막하게 표기되어 있으며, 다른 제품들과 동일하게 스티커로 부착되었습니다.
파워에서 중요한 점은 역시 성능이죠! DQ850-M-V2L은 80PLUS GOLD 인증을 받았으며, 인증 기준값보다 약 3%~5% 이상 높은 결괏값을 보여주는데요. 해당 수치를 기준으로 80PLUS 인증과 비교하면 PLATINUM 인증에 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는 LLC 공진 회로와 DC to DC 회로를 통해 안정적인 출력도 보장하는데요. 12V 라인 기준, 최대 전압 차이는 0.087V로 ±0.1V 이내로 안정적인 12V 출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5VSB 효율, CrossLoad, 리플&노이즈 모두 기준값을 만족하는 결과였습니다.
국내 소비자들이 꼼꼼하게 따지는 메인콘덴서는 NIPPON CHEMI-CON 105℃ 부품을 사용했으며, 하이엔드 파워답게 풀 모듈러 디자인과 플랫 케이블 구성을 통해 필요한 케이블만 연결하여 깔끔한 시스템 연출도 가능합니다. Z490, X570 칩세트 마더보드 호환을 위해 EPS 4+4핀(CPU 보조 전원) 케이블도 2개를 기본 제공하며, 사용 빈도가 줄어든 FDD 케이블은 구성에서 제외시켰습니다.
나무랄 데 없는 성능을 보여주지만, 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국내 사용자들은 하이브리드 기능, 즉 팬리스 기능 적용 여부가 GOLD 이상 급 파워 선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요. DQ850-M-V2L은 아쉽게도 해당 기능(버튼)은 제공되지 않습니다. 80% 부하까지 1,000 RPM 미만으로 작동하여 소음이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인기가 높은 GOLD 파워들과 비교하면 아쉬울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GOLD 이상 급 파워들이 볼 베어링 또는 유체 베어링 쿨링팬을 주로 탑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슬리브 베어링 쿨링팬을 탑재한 점은 옥에 티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점은 추후 보완되기를 바랍니다.
80PLUS GOLD 이상의 퍼포먼스를 보여준 하이엔드 파워
DEEPCOOL DQ850-M-V2L 80PLUS GOLD입니다.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396개
무선 게이밍 LP 키보드 원조 맛집
Logitech G913 TKL
여전히 건재한 로지텍의 플래그십 마우스
Logitech G903 LIGHTSPEED
재료가 같아도 요리 실력마다 음식 맛이 다르다
ASUS ROG SWIFT OLED PG27AQDM
2개만 장착해도 96GB로 넉넉하다
V-Color Manta DDR5-6400 CL32 XPrism RGB 블랙 패키지 (96GB(48Gx2))
체리 키보드 정수를 텐키리스로 느끼는 방법
CHERRY G80-3000S TKL
나에게 맞는 게이밍 모니터는?
울트라기어로 알아보는 게임 장르별 모니터 추천
차가운 실버 컬러를 입은 포터블 HDD
삼성전자 SLIM Portable (1TB / 2TB)
그래픽, 영상 전문가를 위한 합리적인 설루션, 프로아트 시리즈!
ASUS ProArt PA32UCR-K 인텍앤컴퍼니
2세대로 돌아온 초대형 게이밍 스크린
삼성전자 오디세이 아크 S55CG970 동명에스앤디
클레브, 보급형 Gen4 성능은 어떨까?
KLEVV CRAS C910 Lite (2TB)
세미 모듈러로 부담을 줄인 750W GOLD 등급 ATX 3.0 파워
NEWZEN SKULL 750SM MODULAR ATX 3.0 80PLUS GOLD (PCIE5)
더 많은 소비자를 만족시키기 위한 제품군 확장
정림전자 GMASTAR JG27I165
궁극의 힘을 내포한 ASUS 메인보드
ASUS TUF Gaming B650-PLUS WIFI
와! 이 키마 어디서 샀어?
GDEVIL MK700W 무선 키보드 마우스 세트
세계 최초? 아니, 세계 최고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Neo G9 G95NC가 세계 최고인 이유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공식기사
리포트/취재
LG가 근본이라 불리는 이유
SSD는 원래 가벼운데 "Lite" 라고?
왜 다들 이 영상을 보고 P의 거짓을 하는지 모르겠어 💦💦
스탠드, 모니터 그리고 나... 삼위일체
“게이밍”을 재정의하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