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래플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 추억의 에너맥스 쿨링팬 이야기 영상 살펴 보기
(3840x2160 / 4K 해상도 지원)
Enermax 쿨링팬의 어제와 오늘
Enermax는 1990년에 설립되어 파워 서플라이, PC 케이스, 쿨러, 팬, 키보드 등의 다양한 PC 부품을 공급하고 있는 곳인데요. 그중에서도 Enermax의 대표 제품이 파워 서플라이라는 것을 PC 하드웨어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알고 계실 겁니다. 특히 국내에서 Enermax 파워 서플라이의 인기는 엄청났었죠. 아무튼 그 시절 Enermax는 파워 서플라이만큼 큰 인기를 누린 제품군을 하나 더 갖고 있었는데요. 바로 이번 칼럼의 주제인 쿨링팬입니다.
예전부터 Enermax 쿨링팬은 2가지의 독특한 특징이 갖고 있습니다. 우선 HALO 프레임을 들 수 있는데, 쿨링팬의 측면 프레임에 Enermax 로고 모양의 구멍이 뚫려있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풍량을 만들어 낸다고 제조사 측에서 주요 특징으로 내세웠었죠. 둘째로 Twister 베어링과 그와 연계된 탈착이 쉬운 블레이드가 있습니다. Twister 베어링이 적용된 Enermax 쿨링팬은 MTBF가 16만 시간 이상이며, 쿨링팬의 블레이드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청소하기도 아주 편합니다. 일반적인 쿨링팬은 블레이드를 아예 분리할 수 없게 되어있거나 샤프트 고정 와셔 제거해 억지로 분리해야 하거나 분리에 성공하더라도 재조립 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 권장하지 않는데, Enermax는 오히려 제품의 주요 특징으로 내세우면서 청소가 편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Enermax 쿨링팬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었던 HALO 프레임이 적용된 쿨링팬은 점차 사라져 갔지만, 탈착이 쉬운 블레이드는 여전히 최근 쿨링팬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이렇듯 Enermax 쿨링팬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해갔는지 또 어떤 점은 그대로인지, 지금부터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nermax CLUSTER
2008년 Twister 베어링이 적용되어 출시된 CLUSTER, MAGMA, EVEREST 3가지 쿨링팬 중 국내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모델은 CLUST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블레이드와 프레임 모두 하얀색으로 되어 있어 외관부터 눈길을 끄는데요. 박쥐 날개를 본뜬 Bat-wing 블레이드와 측면의 Enermax 로고 모양으로 뚫려있는 HALO 프레임이 풍량을 증가시켜준다고 합니다. 참고로 측면 프레임의 재질은 알루미늄입니다. 전원 커넥터는 PWM 4핀이며 케이블은 하얀색으로 슬리빙처리 되어 깔끔한 느낌입니다. LED를 켜고 끌 수 있는 버튼도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인 쿨링팬과는 다르게 블레이드를 쉽게 탈착할 수 있어 아주 편하게 청소할 수 있습니다.
4곳의 모서리에서 하얀색 LED가 점등됩니다. 다른 LED 효과는 지원하지 않으며 ON/OFF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Enermax CLUSTER ADVANCE
초기 Twister 베어링 쿨링팬의 후속 시리즈인 Twister Advance 시리즈도 출시되었는데, 전작의 제품명 끝에 ADVANCE가 붙어 있습니다. Twister Advance 시리즈 역시 CLUSTER ADVANCE, MAGMA ADVANCE, EVEREST ADVANCE 3가지로 구성되었으며, 그중 퀘이사존 사무실에는 CLUSTER ADVANCE 모델만 입고되었습니다. 블레이드 중앙의 스티커와 측면 금속 프레임이 모두 하얀색으로 변경되었으며, 팬 RPM 범위를 3구간으로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가 중앙에 있는 PCB에 통합된 것이 특징입니다. 기존 CLUSTER와 마찬가지로 PWM 4핀과 LED ON/OFF 버튼이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 출시 시기에 따라 스티커가 색상이 흰색이나 빨간색일 수 있습니다.
▲ 쿨링팬 블레이드 탈착 가능
LED 색상과 연출 방식 모두 기존 CLUSTER 모델과 똑같습니다.
Enermax T.B. SILENCE
T.B. SILENCE는 CLUSTER와 거의 같은 디자인이지만 세부 사항은 꽤 다릅니다. 검은색 프레임과 반투명의 검은색 블레이드는 모두 하얀색인 CLUSTER와 완전히 상반되는 느낌을 줍니다. LED는 없으며 팬 전원 커넥터는 3핀으로 되어있습니다. 쿨링팬 속도는 900 RPM으로 제품명처럼 저소음 시스템에 적합한 제품이죠.
Enermax T.B. SILENCE ADV
바로 앞에서 살펴본 T.B. SILENCE 제품의 후속으로 측면 알루미늄 프레임을 제외하고 기본 프레임과 블레이드 모양이 완전히 변경되어 출시된 제품입니다. 프레임과 블레이드의 요철 부분 때문에 근육질 느낌이 나네요. 전원 커넥터는 PWM 방식이고 기존 T.B. SILENCE처럼 LED는 없습니다.
Enermax T.B. VEGAS 시리즈
현란한 LED로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던 T.B. VEGAS 시리즈입니다. 사실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제품은 Apollish 시리즈인데 안타깝게도 구할 수가 없었습니다. T.B.VEGAS 역시 Apollish처럼 현란한 LED 연출이 특징인데요. 버튼을 저장된 프리셋에 따라 LED 연출이 바뀝니다. 이 현란한 LED 연출 효과의 비밀은 프레임 내부에 탑재된 18개의 고휘도 LED와 블레이드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반사판입니다. VEGAS 시리즈는 동시에 점등되는 LED 색상수에 따라서 DUO, TRIO, QUAD라는 파생 제품도 출시되었죠. 측면의 Enermax 로고 모양으로 뚫려있는 HALO 프레임 역시 그대로 적용되어 있습니다. 케이블은 슬리빙처리 되어있고, LED를 켜고 끌 수 있는 버튼도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T.B. VEGAS 시리즈는 측면 프레임 내부에 18개의 LED 소자가 부착되어 있어 기본 4가지 모드에 몇 초마다 LED 연출이 변경되는 모드까지 총 5가지의 연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Enermax D.F. PRESSURE
Dust Free라는 독특한 콘셉트의 시리즈도 나왔는데 팬에 전원이 인가된 초기에는 블레이드가 역방향으로 돌면서 정방향으로 작동 시 부착되었던 먼지를 털어내는 것이 특징인 제품이죠. 그 중에서 D.F.Pressure는 높은 풍압을 갖춘 제품입니다. 이 제품은 프레임 측면의 스위치로 RPM 범위를 3단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T.B. RGB
지금까지 살펴본 제품이 대부분 과거의 Enermax 쿨링팬 제품이었다면 지금부터 살펴볼 2종은 최근 RGB LED가 대세인 트렌드에 맞춰 출시한 에너맥스 RGB LED 팬인데요. 우선 T.B. RGB는 지난 칼럼에서 살펴본 Addressable RGB LED가 적용된 T.B. RGB AD와는 다르게 일반 RGB가 적용된 제품입니다. 전용 6핀 방식으로 RPM 및 RGB를 모두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박스에 연결해야만 하며, 마더보드 +12V RGB SYNC나 동봉된 리모컨으로 LED 색상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LED 확산용 반투명 프레임 3개가 끼워져 있어 독특한 모양의 LED 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위 사진의 T.B. RGB AD라는 Addressable RGB LED를 지원하는 제품도 있는데요. 기본 디자인은 같지만, LED 연출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Enermax SquA RGB
SquA RGB는 4면 중 2면은 직선, 2면은 곡선으로 된 독특한 프레임 모양과 바람이 나가는 부분에 있는 블레이드 모양과 반대 방향의 프레임이 눈에 띄는데요. 이 역방향 프레임은 Air Circulator처럼 바람을 곧게 그리고 더 멀리 보내는 특징이 있습니다. RGB LED가 대세인 시대에 맞게 Addressable RGB를 지원해 마더보드에 연결하여 RGB LED SYNC 기능이나 자체 컨트롤러를 통해 다양한 RGB LED를 연출도 가능합니다.
LED는 쿨링팬 전면 프레임의 테두리에서 점등되는데, 완전한 원형이나 사각형이 아니라 독특한 느낌이 드는군요.
총평
지금까지 Enermax 쿨링팬의 인기가 시작되었던 2008년부터 최근 RGB LED 트렌드에 맞춰 출시한 제품까지 살펴봤는데요. 여러분은 어떻게 보셨나요? Enermax 제품인 것을 바로 알 수 있게 해주었던 Bat-wing 블레이드, HALO 프레임, 탈착 가능 블레이드, Twister 베어링 등의 기본 디자인과 주요 특징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나둘 사라져가고 이제는 Twister 베어링과 탈착 가능 블레이드 정도만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새로운 트렌드, 기능성, 효용성 등을 고려해 새로 추가되거나 빠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겠죠. 하지만 아쉬운 생각도 들긴 합니다. 최근 RGB 트렌드에 맞춰 출시된 T.B. RGB 시리즈나 SquA RGB를 보면 다른 쿨링팬과는 구별되는 개성 있는 디자인과 다른 제조사의 제품에 뒤지지 않는 풍부한 구성물로 멋진 RGB LED 튜닝 시스템을 꾸밀 수는 있지만, 예전 Enermax 쿨링팬에서 느꼈던 감성은 찾아볼 수 없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다른 QM들도 대부분 공감했던 부분인데요. 누가 봐도 Enermax 쿨링팬인 것을 알 수 있었던 그 시절의 감성을 재해석하여 '대 RGB 시대'인 최근 트렌드에 잘 어울리는 그 시절의 'CLUSTER', 'APOLLISH', 'VEGAS' 같은 제품을 출시해주길 기대해봅니다.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댓글: 249개 (응모: 0/1)
알파스캔 AOC V5 시리즈로 알아보는 27형 + 3종 해상도
27형 모니터, 어떤 해상도를 선택할까?
EXCEL II는 100W당 7,500 원입니다
에너지옵티머스 EXCEL II 500W 80PLUS STANDARD 230V EU
NAS에는 역시 NAS용 저장장치를 장착해야 기분이 좋아
NAS에서 Seagate IronWolf 저장장치 활용하기
이 정도면 케이스 기본 쿨링팬으로 쓸만하지?
앱코 엣지 140 FRGB 스마트쿨링
온도와 소음, 성능까지 균형잡힌 GAMINGPRO
이엠텍 지포스 RTX 4080 GAMINGPRO OC 16GB
메인스트림 165 Hz QHD 게이밍 모니터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S27AG520 유겐트
크기는 한 손에, 출력은 노트북까지!
SHOUER 65W 2포트 GaN 충전기 SH-GE65W10UC
스마트폰만한 메인보드로 하이엔드 게이밍 PC 구성? 문제없지!
ASUS ROG STRIX Z790-I GAMING WIFI
히트파이프 7개가 적용된 듀얼 타워 공랭 쿨러
Thermalright Phantom Spirit 120 SE 서린
Core i9-13900K + RTX 4090 조합에도 쾌적한 온도
잘만 Z10 PLUS, 하이엔드 게이밍 시스템도 온도 문제없다!
하이엔드의 성능과 조용함을 동시에
갤럭시 GALAX 지포스 RTX 4090 SG WHITE OC V2 24GB
디램리스 Gen4 NVMe, 성능이 얼마나 좋아졌을까?
GIGABYTE AORUS Gen4 5000E M.2 NVMe 제이씨현 (1TB)
깔끔함 디자인과 헤드셋 거치가 매력인 케이스
DEEPCOOL CH510 WHITE - Mid Tower CASE
거북목 이제 안녕, 건강한 자세를 위한 멀티스탠드 모니터
주연테크 V27Q-M
미니 배열로 돌아온 쿠거 퓨리
COUGAR PURI MINI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자기야 우리 헤어져..(삼성, LG 결별)
게이머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 [최악의 지포스 RTX 4070]
압도적인 크기의 OLED 와이드 모니터
손바닥 만한 보드에 13900K를 넣고 싶어요?
데스크 셋업에 치트키 케이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