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iOS, 모바일게임, 기타 모바일 액세서리
-
퀘이사존
10.6k
03-16
-
8 폰구매 흑우탈출 퀘존인 인증서 발급해드립니다
이초연
2020.11.30 16:57
-
안녕하세요 컴퓨터 구매를 끝맞춘 퀘존 컴린이 입니다
글을 쓰게된 계기는 어느분의 폰구매 예정 글을 보고
항상 퀘존에서 정보만 얻어가기만하는건 도리가 아닌것같더라구요
제가 군인일때부터 전역때까지 공부한 호구 안당하는 방법, 두서없이 적어봅니다
글을 읽으시기전에 주의점 말씀드립니다.
작성은 PC기준으로 해서 PC로 보시는편이 편하실겁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저는 폰팔이가 아닙니다.
저도 사람인지라 글을 쓰면서 계산에 오류가 있었을수도 있습니다.
그럼.. 시작합니다!
렛츠 고 ~
비교적 중요한 부분은 이렇게 표시할게요 ->
중요한 부분입니다
폰구매 단계 유형
진화0단계 : 너무 귀찮고 잘 몰라서 '핸드폰 대리점'에 가서 구매한다
진화1단계 : 지인에게 대리점서 구매도움을 부탁한다
진화2단계 : 알아보다보니 머리가 아파서 1단계로 돌아가거나 3단계로 진화한다
진화3단계 : 내가 흑우잡히는지 아닌지 정도는 알고있어서 흑우는 안당한다
진화4단계 : 계약서 해독이 가능하다
진화5단계 : 지인사이에서 착한 폰팔이 취급을 받는다
네.. 저는 5입니다, 와! 대단해! 폰잘알! 정도는 아닙니다
제 핸드폰s10, 부모님 s10 5g, 부모님 지인한분 노트10 // 이렇게 3대 구매해봤어요
위는 잡소리고 아래서부터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우선, 마음속으로 구매하시려는 기종이 있으실 거에요.
그 기종을 '아이폰12 pro 256gb' 라고 가정해볼게요
우선 네이버에 검색해서 해당 공식홈페이지로 가봅시다.
그럼 가격이 나오겠죠? 이걸 '기기값' 이라고 부를게요
아이폰12pro 256gb의 기기값 = 1,490,000\ = 백사십구 만원
여기까진 사실 다아시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아이폰을 자급제로 구매하시는 분들은 해당 핸드폰의 출시 초기에
대형 쇼핑몰에서 쿠폰을 주고 구매후, 통신3사 혹은 알뜰요금제 usim 구매후 장착
및 선택약정 거는것이 평범함의 베스트 입니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다음은 '공시지원금' 과 '선택약정' 입니다.
이 둘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시스템이며, 절대 대리점에서 특별제공해주는 것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두가 받을수 있는 혜택이죠.
그럼 이 두개중에 뭐가 더 메리트가 있느냐? 그것은 기종의 상황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계산을 해봐야 됩니다.
공시지원금은 위에서 말씀드린 기기값을 할인해주는 제도입니다.
기기값-공시지원금 = 지불금액 이 되는것이죠. 대신 선택약정을 걸지 못합니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렇다면 선택약정은 무엇인가?
선택약정이란, 고르신 요금제를 한달마다 25% 할인받는 제도입니다.
선택약정은 %로 할인을 받기 때문에 보통 비싼 요금제 사용 시, 할인받는 총금액 면에서 유리해집니다.
Q. 공시랑 선약은 잘 알겠는데, 어떤 대리점에서 무슨폰 구매시 사은품! 이러는데
이왕 사는거 사은품 받아먹는게 좋지 않을까요?
A. 그 사은품이 정말 본인에게 메리트있는것인지 판단하시고, 필요한 제품이라면
그 제품을 시중에서 얼마에 구매할 수 있는지 찾아보시고 비교해보시기바랍니다.
무슨뜻인지 아시겠죠?
예를들면, 에어팟 준데! 사은품에 낚여서 더 비싸게 구매하진 마시길 바랍니다
Q. 2년 약정 조건은 뭔가요?
A. 구매하시는 핸드폰을 2년간 사용하는 조건입니다.
여기까지 잘 이해하셨다면 다음 단계 입니다.
공시의 경우와 선택약정 비교하기
기기값을 전제로 두고 진행할게요
공홈기준 아이폰12pro 256gb의 기기값 = 1,490,000\ = 백사십구 만원
전부 실사례가 아니고, (IF) 예시 입니다.
공시지원금의 경우 입니다.
우선 공시지원금이 얼마인지 알고싶은데 어디서보는거지? 커뮤니티?꼭 커뮤니티 만은 아닙니다.
3통사에서는 항상 공시지원금이 얼마인지 정확히 각각의 공식홈페이지에 제공하고있습니다.
kt기준 공시입니다
공시지원금이 10월 23일 기준, 15만원이네요
대리점 기준 아이폰12pro 256gb의 기기값 : 1,474,000\
공시지원금 : 150,000\
기기값-공시 = 1,474,000 - 150,000\ = 1,324,000\
(+유심 신규발급시 +7700\)
중요한 부분입니다
[중요] 대리점에서 정한 특정요금제 6개월 요금제 유지를 기본 조건으로 둡니다.
-5g의 경우 89,000\ 정도의 요금제를 6개월 유지하는것을 조건으로 설정합니다.
(lte의 경우 69,000\ 정도의 요금제 6개월)
이 핸드폰은 대리점에서 구매할 시, 5g모델이니 5g로 예를 들게요.
kt에서는 90,000\의 요금제를 6개월 사용 발생금액은 540,000\ 입니다.
이후 요금제 하향이 가능하며
주의점은, 6개월 이전에 요금제를 변경 하게되면 받았던 공시지원금 일정량을 다시 뱉어내야 됩니다.
공시지원금 이용시, 2년약정 금액 총정리
기기값-공시 = 1,324,000\ (+유심 신규발급시 +7700\)
9만원 요금제 6개월 유지 = 540,000\
이후 18개월 요금제 = 18*45000 = 810,000\
2년동안 발생되는 토탈 금액 : 1,324,000 + 540,000 + 810,000 = 2,674,000\
---------------------
공시지원금은 다 봤으니, 이제 선택약정을 계산해보죠!
선택약정 이용시, 2년약정 금액 총정리
기기값 = 1,474,000\ (+유심 신규발급시 +7700\)
중요한 부분입니다
((요금제 25%할인 : 90000-22500= 6.75만원 // 50000-12500= 3.75만원))
4개월 유지(6.75만) = 270,000\ (선약은 보통 4개월 유지조건입니다)
이후 20개월 요금제(3.75만) = 20*37500 = 675,000\
2년동안 발생되는 토탈 금액 : 1,474,000 + 270,000 + 675,000 = 2,419,000\
어때요?
공시 받으면 2,674,000\
선약 걸면 2,419,000\
선약이 25.5만원 더 싸네? 선약 가시면됩니다!
이 계산을 하기싫어서 저는 엑셀질을 했답니다
추가로 알려드릴 사항 한가지 더있습니다.
Q. 제가 공시지원금받았었는데요, 6개월 유지 지난후에
5g 에서 lte로 전환하려는데 문제되는게 있나요?
중요한 부분입니다
A. 네, 이통3사중에 일부 이통사에서 5g에서 lte 전환시 위약금을 물수 있습니다
lte로 하향 전환시 위약금발생 관련 조건은 10월쯤 공개된 아래의 사진을 참고하시되,
이통사에서 언제든지 입맛대로 변경될 수 있으니, 폰을 사시기전에 무조건 원하는 통신사쪽에
연락하셔서 '5g 대리점 구매후 lte 전환시 위약금이 생기나요?'라고 꼭 물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어때요? 참 쉽죠?
이게 한글이 맞아? 대체 뭔 소리야질문하시면 아는 선에서 답변해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