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게임칼럼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암호화폐/채굴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일상갤러리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최근 출시되는 하이엔드, 플래그십 그래픽카드의 소비전력은 무지막지합니다. 일례로 얼마 전 NVIDIA에서 출시한 GPU, 지포스 RTX 3090 Ti는 450 W의 TGP를 보이는 괴물 그래픽카드입니다. 이렇게 설계 전력이 높다면 발열량도 함께 많아지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이에 걸맞은 쿨링 설루션을 탑재해야 합니다. 일체형 수랭 방식이라면 본체는 많이 무거워지지 않겠지만, 공랭 방식이라면 열을 감당하기 위해 히트싱크 크기를 키우고 무거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필연적으로 드는 걱정이 있습니다. 이렇게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면 처지지 않을까? 라이저 키트를 사용해 수직으로 장착하면 걱정할 거리가 아니지만, 기본 형태인 수평으로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면 오른쪽이 아래로 처지는 모습을 마주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하면 안심할 수 있습니다.
한편, 케이스 시장의 트렌드는 RGB LED 효과와 내부를 감상할 수 있는 강화유리 측면 패널을 사용합니다. 다른 PC 컴포넌트 중에서도 그래픽카드는 강화유리 중심에 가장 가깝기 때문에 튜닝 효과를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앞서 그래픽카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하면 강화유리를 통해 그래픽카드와 함께 그 옆의 지지대도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최근 트렌드를 따라 강화유리 패널을 사용한 케이스라면 그래픽카드 지지대에서도 디자인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리포트에서는 이엠텍에서 출시한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살펴볼 텐데요. 이엠텍은 이엠텍 그래픽카드 그리고 EVGA와 SAPPHIRE 그래픽카드 유통사인 만큼, 그 지지대는 어떤 모습인지 궁금해집니다. 강화 유리 패널이 트렌드인 요즘, 그래픽카드와 함께 튜닝 감성을 만끽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였을지 사진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엠텍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두 가지 색상, 블랙과 화이트로 출시했습니다. 패키지 색은 둘 다 화이트이지만, 전면에 표시한 제품 이미지와 왼쪽 아래 표시한 색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뒷면에는 제품 특징을 간략하게 적었습니다.
아래 구성품과 제품 외형에 대한 소개는 블랙 제품을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패키지는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 기둥과 그래픽카드를 지지하는 받침대 2개를 담고 있습니다.
지지대는 높이 240 mm 길이의 기둥입니다. 양측 RGB LED 효과가 점등하는 부분은 타공망이 감싸고 있습니다. 사진을 기준으로 기둥 오른쪽에는 톱니 형태를 넣었는데. 이 톱니에 그래픽카드 받침대를 고정합니다.
그래픽카드를 실제로 지지하는 받침대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했습니다. 받침대에는 이엠텍 REDBIT 로고와 문구를 그려 넣었습니다.
케이블은 4핀 MOLEX 커넥터와 3핀 Addressable RGB 커넥터로 연결합니다. 메인보드에 3핀 ARGB 헤더가 없으면 4핀 MOLEX 커넥터를 연결하면 되고, 헤더가 있으면 3핀 ARGB 커넥터를 사용하면 됩니다. 둘 중 하나만 연결해도 LED 효과는 점등합니다. 메인보드와 3핀 ARGB 케이블을 연결하면 메인보드 소프트웨어로 RGB LED 효과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길이는 45 cm로, 그리 긴 편은 아닙니다.
최근 RGB LED를 지원하는 제품들은 SATA 커넥터를 주로 사용하는데요. 이를 고려하면 4핀 MOLEX 커넥터를 사용한 점은 아쉽게 다가옵니다. 그렇지만, 3핀 ARGB 헤더가 없는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 커넥터를 제공하는 점은 칭찬할 만합니다.
지지대는 중앙에 위치한 자석으로 강하게 고정하고, 자석 주변으로 고무 패드를 붙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제작했습니다.
RGB LED 효과는 세로로 길쭉한 반투명 플라스틱을 투과해 발광합니다. 그 위에 타공망이 있어, RGB LED 효과가 부담스럽지 않고 은은합니다. 4핀 MOLEX 커넥터만 사용하면 기본적으로 레인보우 RGB 효과로 순환합니다. 위 케이블 커넥터 설명에서 언급했듯, 3핀 ARGB 커넥터를 연결하면 시스템과 RGB LED 효과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지지대를 사용하려면 먼저 지지대 기둥에 그래픽카드 받침대를 앞서 살펴본 톱니 위치를 주의하면서 밀어 넣습니다. 그리고 받침대를 원하는 위치로 조정한 뒤 받침대를 잠그면 됩니다. 받침대에 있는 손잡이가 45도 각도를 보이면 열린 상태(왼쪽)고, 수직으로 내려와 있으면 잠긴 상태(오른쪽)입니다. 그리고 케이스 내부에 장치하면 마무리됩니다. 받침대를 기둥에 끼우고 움직이는 건 쉽지만, 처음 받침대를 고정하고 받침대를 뽑을 때는 꽤 힘이 들어가는 편입니다.
무게가 1,566 g인 그래픽카드, EVGA 지포스 RTX 3080 FTW3에 이엠텍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해 그 효과를 확인해봤습니다. 아무래도 그래픽카드가 무겁기 때문에, 기본 상태에서는 그래픽카드 오른쪽이 처지는 현상을 목격할 수 있었습니다. 레드빗 RB-2 ARGB를 사용하면 위처럼 그래픽카드가 처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를 지지하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빛나는 은은한 RGB LED 효과가 케이스 내부 튜닝 효과를 높여줍니다.
무거워진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면 그래픽카드가 처지는 경우를 만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가 처지면 외형적으로 보기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슬롯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그래픽카드 처짐을 방지하려면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번 리포트에서는 그래픽카드에 일가견이 있는 이엠텍에서 출시한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살펴봤습니다.
무게가 약 1.5 kg인 그래픽카드, EVGA 지포스 RTX 3080 FTW3 ULTRA GAMING 10GB와 SAPPHIRE 라데온 RX 6950 XT NITRO+ PURE OC 16GB에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했는데, 충실하게 지지하는 모습을 확인했습니다. 지지대 기둥에 받침대를 장착하는 방법은 간단했습니다. 바닥에는 자석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패드를 붙여 그래픽카드를 지지할 때 미끄러지거나 움직이는 일은 없었습니다. 그래픽카드 받침대를 2개 제공해서 그래픽카드를 2개 장착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지지대 바닥에 고무 패드가 있긴 하지만, 철재 케이스에 자석이 붙음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케이스 재질이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이라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케이스하면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강화유리 패널입니다. 강화유리 패널 덕분에 케이스 내부를 꾸미면 이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시스템을 꾸미고자 피규어나 독특한 물건을 배치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그래픽카드 지지대 역시 강화유리를 통해 잘 보이는 위치에 설치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지지대도 튜닝 효과를 높인 제품을 사용하면 좋을 테죠.
이엠텍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튜닝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Addressable RGB를 지원합니다. 커넥터는 4핀 MOLEX와 3핀 ARGB 두 가지를 제공하는데, 둘 중 하나만 연결하면 되니 편리합니다. 또한, 메인보드에 3핀 ARGB 커넥터를 연결하면 시스템과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는 장착했을 때 강화유리 패널 바로 너머에 있어, 튜닝 효과를 가깝게 느낄 수 있는 PC 컴포넌트라 말씀드렸는데요. RGB LED 효과를 제공하는 레드빗 RB-2를 사용하면 그 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ARGB 헤더가 없는 사용자를 위한 전원 공급 방식이 4핀 MOLEX 커넥터로, 커넥터가 바뀌면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엠텍 레드빗 RB-2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
댓글: 304개 (응모: 0/1)
버튼 하나로 귀차니즘 해결! 제닉스 ARENA-X 모션 데스크
귀차니즘은 돈으로 해결할게요
3RSYS R600 올인원 - Mid Tower
일단 다 넣었습니다.
라파엘 정보 공개! AMD COMPUTEX 2022 기조연설 총정리
드디어 AM5 플랫폼이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라데온에도 드디어 화이트가... SAPPHIRE RX 6950 XT NITRO+ PURE OC 16GB
사파이어가 간만에 힘 좀 쓴 그래픽카드를 내놓았습니다
라데온 리프레시에 스트릭스 이식! ASUS ROG STRIX RX 6750 XT O12G
스트릭스는 이번에도 좋은 모습을 보여줄까?
그래픽카드를 지탱하는 화려한 막대기
3년만에 돌아왔다! 제닉스와 함께하는 플레이X4
이게 도대체 얼마 만이야!
SuperFlower LEADEX 화이트 파워 시리즈 살펴보기
슈플하면 역시 화이트 파워, 화이트 파워하면 LEADEX 시리즈
LED가... 없어? 진정한 벽돌 감성 GIGABYTE RTX 3090 Ti Gaming OC 24G
쿨링밖에 모르는 바보같으니!!
마이크로닉스 MANIC MG530 RGB 게이밍 마우스
심플하고 믿음직한 마우스
가성비와 효율을 위해, GIGABYTE B660M AORUS ELITE DDR4
보드 매뉴얼을 찾으신다고요? 이 영상을 보시면 됩니다
아이리버 IBE-NS10L
게임말고 현실에서도 사플은 해야한다.
GIGABYTE Z690M AORUS ELITE AX D4 제이씨현
M-ATX로 게이밍 PC 만들어볼까?
퀘이사존 메인보드 칼럼이 풍성해져요
스포일러: 저장장치 테스트 추가
이노스 S4001KU 스마트 WiFi
40형 스마트 TV로 부담 없이 즐기자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무선으로 재탄생한 그립 맛집! ROCCAT BURST PRO AIR
드디어 풀체인지 된 직선의 명가. NZXT H7 ELITE
NZXT 신형 크라켄 출시 떡밥 떴다? NZXT F120P
2년 존버했는데... ZEN4 겨우 15% 상승?
손가락 하나로 높이조절 끝! ARENA-X 전동 높이 조절 컴퓨터 게이밍 모션 데스크!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