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228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20,900 원
  • 로켓배송 듀라셀 알카라인 AA 건전지, 20개입, 1개
    13,900 원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38,600 원
  • 로켓배송 듀라셀 알카라인 건전지 AA 20p + AAA 20p, 40개, 1세트
    26,900 원
  • 로켓배송 코닥 알카라인 건전지 AA 벌크형
    5,990 원
  •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헤어에센스 상한머리 손상모 헤어로션 수분 모발 크림 + 사은품
    22,00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3-03-09

    ASRock B760M Pro RS     어릴 적 486, 586 컴퓨터를 사용하던 시절, 컴퓨터와 모니터의 색은 흰색이 주류 색상이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3-09

    ▲ DEEPCOOL CH510 MESH DIGITAL 영상※ 연출 사진으로 후면 기본 쿨링팬은 Non-LED입니다. DEEPCOOL CH510 MESH DIGITAL    DEEPCOOL CH510 MESH DIGITAL은 일반적인 PC 케이스에 작은 디스플레이를 넣어 간단한 시스템 정보를 표기한 게 특징인 케이스입니다. CH510은 전면이 솔리드(막힌) 타입이지만, CH510 MESH DIGITAL은 메시로 구성하였습니다. 덕분에 쿨링면에서 더 유리합니다. 최근 케이스 구매에 큰 영향을 주는 상단 라디에이터 장착 규격도 360 mm까지 지원하죠. 또한, 전면 패널에 시스템 정보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도 탑재하여 일반적인 케이스와는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제품 상세 스펙(눌러서 펼치기)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마무리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구성품 COMPONENTS[기본 구성] 사용 설명서, 조립에 필요한 각종 나사, 케이블 타이외형 EXTERIOR[패널 구성] 전면 : 메시+강화유리, 좌측면 : 강화유리, 우측면 : 금속     외형은 일반 CH510 모델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솔리드 형태였던 전면 패널에 메시가 적용되고, 디자인도 조금 더 돌출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컬러는 블랙 단독으로 출시했습니다.[좌측 패널] 강화유리 재질, 자석 고정 방식[우측 패널] 금속 재질, 손 나사와 걸쇠 고정 방식 [전면 패널] 메시, 디스플레이 탑재, 디스플레이 주변 강화유리    DEEPCOOL CH510 MESH DIGITAL의 핵심은 전면 패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 4/5가 메시로 이루어져 있고, 나머지 위쪽은 강화유리며 중앙에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실제 크기는 40 × 40 mm로, 패널 여유 공간 대비 작습니다.[I/O 포트 구성] Power, USB 3.2 Gen2x1 Type-C x 1, HD Audio & MIC, USB 3.2 Gen1x1 Type-A x 1, Reset    일반 CH510 모델과 다르게 USB Type-A 포트가 하나 줄어들고, USB Type-C 포트가 추가되었습니다.    하단 네 모서리에 지지대가 있고, 모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습니다. 파워 장착부에 걸쇠 방식 먼지 필터가 있고, 우측엔 HDD 베이 고정 홀이 있으며, 두 가지 위치 중 선택이 가능합니다. 필요에 따라 제거도 가능합니다.내부 INTERIOR[쿨링팬 호환성] 하단 : 120 mm x 2 EA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위로 사각형 에어홀과 나사홀이 있습니다. 해당 부위에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도록 고정 나사도 제공합니다.    메인보드 장착부 오른쪽에 케이블이 지나가는 구멍을 고무마개로 구성하여 깔끔한 선 정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그래픽카드 지지대도 제공합니다.[쿨링팬 호환성] 전면 :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 후면 : 140 mm x 1 EA or 120 mm x 1 EA, 상단 :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기본 번들팬] 후면 : 120 mm Non-LED x 1 EA[PCI 슬롯] 수평 7 슬롯,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슬롯 사이에 프레임이 없는 개방형 구조    DEEPCOOL 케이스답게 PCI 슬롯 커버의 에어홀도 네모난 모양으로 되어있습니다.[저장 장치 호환성] SSD 장착부 : SSD x 2 EA, HDD 베이 : HDD x 2 EA or HDD x 1 EA & SSD x 1 EA    SSD 장착부는 SSD에 푸시핀 나사를 장착 후 그대로 밀어 넣어 고정합니다.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체임버 하단에는 HDD 베이도 있습니다.    HDD 베이는 하단부 고정나사를 풀어서 위치를 옮길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다면 분리하여 선 정리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습니다.[선 정리 공간] 28 mm (22 mm + 측면 패널 내부 공간 6 mm)[메인보드 PCB와 상단 사이 간격] 36 mm 두께 THICKNESS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강화유리 패널 두께는 테두리 프레임으로 인해 측정 도구를 이용할 수 없어 제외되었습니다.조립 BUILD[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NZXT N7 Z790 Matte Black, 그래픽카드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Vulcan OC 16GB, 수랭 쿨러 : DEEPCOOL LT720 (연출을 위해 DEEPCOOL FC120 BLACK 쿨링팬으로 교체), 파워서플라이 : DEEPCOOL PQ1000M 80Plus Gold Full Modular, 추가 쿨링팬 : DEEPCOOL FC120 BLACK(전면 2개 추가 장착, 후면 1개 기본팬과 교체)[상단 라디에이터 호환성] 360 / 280 mm[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길이 380 mm[최대 저장 장치 개수] SSD x 2 EA & HDD x 2 EA[파워서플라이 가용 공간] 기본 : 241 mm (HDD 베이부터 케이스 끝까지) / 269 mm (HDD 베이 이동 시) / 412 mm (HDD 베이 제거 시)    상단 라디에이터의 경우 DEEPCOOL LT720 기준 타이트하게 장착이 되었습니다. 전면에 120 mm 쿨링팬 3개로 구성하려했으나, 호스와 간섭이 발생하여 2개만 장착했습니다. 따라서 상단에 일체형 수랭 쿨러 장착 시 호환성 확인이 필요합니다.    DEEPCOOL CH510 MESH DIGITAL은 후면에 Non-LED 120 mm 쿨링팬 1개만 제공되기에, 시스템 연출을 위해 RGB LED 쿨링팬으로 교체 및 추가하였습니다. 전반적인 외관은 심플하고 깔끔한 느낌으로 디자인 되었습니다.▲ 출처: DEEPCOOL 글로벌 공식홈페이지(링크)▲ 설치 후 작업표시줄에 딥쿨 로고를 우클릭 하여 사용    전면 패널에 있는 작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기 위해선 USB 커넥터를 메인보드 온보드 헤더에 연결한 뒤 DEEPCOOL 홈페이지에서 전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해 설치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설치 후 온도 표시 정보(섭씨 or 화씨, CPU 온도 or GPU 온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온도는 실시간으로 변하고, 수치에 따라 네모 칸이 하나씩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됩니다. 다만, 표기되는 온도 주체(CPU / GPU)가 디스플레이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합니다. 컴포넌트가 표기되도록 보완이 필요합니다.쿨링테스트 COOLING TEST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번외 테스트 EXTRA TEST    최신 부품을 이용해서 시스템을 구성해보았습니다. CPU는 Intel 13세대 i7-13700K, 메인보드는 NZXT N7 Z790, 그래픽카드는 컬러풀의 RTX 4080 Vulcan을 사용했습니다. 테스트는 사이버펑크 Ultra 프리셋으로 설정 후 UHD 해상도로 20분간 진행했습니다.요약 SUMMARY※ 연출 사진으로 후면 기본 쿨링팬은 Non-LED입니다.- 기본 쿨링팬 후면 1개만 제공- 디스플레이 설정 자유도 낮음+ 디스플레이로 차별화 된 요소+ 심플하면서 깔끔한 디자인+ USB Type-C 포트 탑재+ 그래픽카드 지지대 기본 제공+ 간편한 강화유리 개폐 방식* 본문에 첨부한 제품 사진은 눌러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로고가 없는 사진은 해당 제품 브랜드 자료입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3-03

    JONSBO D41 MESH SCREEN WHITE    지난 23년 1월 말에 소개한 JONSBO D31 MESH SCREEN이 미니타워 케이스였다면, 이번 칼럼에서 소개할 제품은 JONSBO D41 MESH SCREEN으로 미들타워 케이스입니다. 큰 차이는 나지 않고, 높이가 조금 더 높아지면서 메인보드 호환성이 바뀌었다는 게 주요 포인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8형 LCD가 전면부 상단에 탑재되고, 하단은 메시로 구성했습니다. 외부 패널을 모두 볼 헤드 & 클램프로 구성하여 도구 없이 간편하고, D31과 마찬가지로 스크린 유무에 메시와 솔리드(막힌 형태) 구성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는 것도 동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칼럼을 통해 살펴보도록 하죠. ▼ 제품 상세 스펙(눌러서 펼치기)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요약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구성품 COMPONENTS[케이스 구성품] 각종 나사, 케이블 타이, 여분 패널 마운팅 클립, 사용 설명서[스크린 액세서리 박스 구성품] 메시 패널, 스크린 사용 설명서, 스탠드오프, USB Type A to C 케이블, HDMI to Mini-HDMI 케이블     D31 MESH SCREEN과 동일하게 케이스 기본 구성품과 함께 액세서리 박스가 동봉되어 있습니다.외형 EXTERIOR[패널 구성] 전면 : 디스플레이+메시, 좌측면 : 강화유리, 우측면 : 금속     JONSBO D41 시리즈는 D31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컬러(블랙, 화이트), 전면 패널(솔리드, 메시), 스크린 유무에 따라서 취향에 맞게 모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좌측 패널] 강화유리 재질,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    강화유리는 볼 헤드 & 클램프로 고정하는 방식이라 간편하게 탈부착이 가능합니다.[우측 패널] 금속 재질,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    우측 금속 패널 역시 동일하게 볼 헤드 & 클램프를 사용하여 편리합니다.[전면 패널] 메시, 디스플레이 탑재[I/O 포트 구성] Power, USB 3.2 Gen1x1 Type-A x 1, HD Audio & MIC Combo, USB 3.2 Gen2x1 Type-C x 1   상단 일부분은 8형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어 있고, 남은 하단은 메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메시 우측 하단엔 I/O 포트가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와 전면 메시 패널도 볼 헤드 & 클램프로 고정합니다.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동봉된 메시 패널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디스플레이] 8형 LCD, 해상도 1,280 x 800, 탈부착 가능(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디스플레이 버튼] +(밝기 올리기),-(밝기 내리기), 전원(화면 On/Off)[포트] Mini-HDMI(화면), USB Type-C(전원)    Mini-HDMI, USB Type-C 포트에는 동봉된 케이블을 연결하면 됩니다.    케이스에서 분리 후, 스탠드오프를 장착해 단독으로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상단 패널] 메시, 손나사 및 걸쇠 고정 방식    케이스 상단 패널은 메시로 구성되어 있고, 후면에 위치한 손나사를 풀어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먼지 필터] 자석 고정 방식    하단부는 케이스 각 모서리에 사각형 지지대가 있고, 모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습니다. 중앙엔 긴 먼지 필터가 자석으로 부착되어 있습니다.내부 INTERIOR    파워 케이블을 가려주는 가림막이 좌측 내부 전면에 있습니다. 덕분에 깔끔해 보입니다. 물론 분리도 됩니다.[쿨링팬 호환성] 하단 :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라디에이터 호환성] 하단 : 360 mm[저장 장치 호환성] HDD 베이 : HDD x 2 EA & SSD x 1 EA, HDD 베이 제거 후 해당 공간 : HDD x 1 EA    JONSBO D31에선 베이가 따로 없었지만, D41은 하단 전면 패널 방향으로 HDD 베이가 제공됩니다. 덕분에 더 많은 저장 장치를 장착할 수 있죠. 공간을 조금 더 활용하고 싶다면 베이를 제거하면 됩니다.[PCI 슬롯] 수평 7 EA /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 슬롯 사이 프레임이 있는 부분 개방형    슬롯 나사 덮개에 JONSBO라 각인이 되어있습니다. 손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사진에서 보이는 것처럼 스윙 도어 형태로 만들었습니다.▲ 출처 : JONSBO D41 제품 DB    JONSBO D41은 전면 상단에 파워를 장착합니다. 내부 부품 구성(그래픽카드 혹은 상단 수랭 쿨러)에 따라 파워서플라이 장착 브래킷을 옮겨 사용하죠. 자세한 사항은 첨부한 자료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저장 장치 호환성] 측면 : SSD x 2 EA    우측면 내부에 SSD 브래킷이 2개 장착되어 있고, 전면에 파워를 장착하는 구조라 파워 연장선이 내장되어 있습니다.[선 정리 공간] 전면부 쪽 : 35 mm (19 mm + 측면 내부 패널까지의 공간 16 mm) / 메인보드 장착부 후면 쪽 : 약 16 mm(12 mm + 측면 내부 패널 공간 간격 4 mm)[메인보드 PCB와 상단 사이 간격] 약 63 mm 두께 THICKNESS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조립 BUILD[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GIGABYTE Z690 AERO G, 그래픽카드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70 Ti Ultra OC 12GB White, 수랭 쿨러 : JONSBO SHADOW 360 ARGB WHITE[상단 라디에이터 호환성] 360 / 280 mm[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길이 400 mm[최대 저장 장치 개수] SSD x 3 EA & HDD x 2 EA[파워서플라이 가용 공간] LEVEL 1 : 300 mm (파워 브래킷 끝부터 HDD 베이까지 거리) / 370 mm (파워 브래킷 최상단에 장착 시)     조합에 따라 파워서플라이, 그래픽카드, 수랭 쿨러 장착 가능 여부가 달라지니 미리 호환성 확인 후 조립하셔야 합니다.    최하단 PCI 슬롯은 케이블이 지나갈 수 있도록 공간을 만들어두었습니다. 내부에서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케이블을 끌어와서 사용하면 됩니다. 다만, 내부로 케이블이 연결되기에 선정리를 신경 써야 합니다.    길이 324 mm, 두께 60 mm인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베이에 HDD 2개, SSD 1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D31도 그랬지만, 케이스 디자인이 심플하고 깔끔합니다. 여기에 전면 디스플레이가 있어 다소 심심할 수 있었던 디자인에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AIDA64, Wallpaper Engine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디스플레이를 꾸밀 수 있습니다.(디스플레이 설정 방법 바로가기)     전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분리 후 스탠드오프를 장착하여 세웠습니다. 전면에 빈공간은 메시 패널을 장착하여 디스플레이를 포터블 모니터로 활용할 수 있죠. 쿨링 테스트 COOLING TEST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요약 SUMMARY- 번들팬 없음- 호불호가 갈리는 파워 장착 위치+ 분리 가능한 8형 디스플레이 탑재+ USB Type-C 포트 탑재+ 간편한 패널 걔폐 방식+ 저장 장치 최대 5개 사용 가능+ 상/하단 360 mm 규격 라디에이터 장착 가능* 본문에 첨부한 제품 사진은 눌러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로고가 없는 사진은 해당 제품 브랜드 자료입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3-02

      KLEVV CRAS C910 M.2 NVMe (1TB)     KLEVV는 메모리와 저장장치를 주로 다루는 게이밍 브랜드입니다.

  • 퀘이사존

    2023-02-27

    ▲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ASUS TUF Gaming B660M-PLUS WIFI 인텍앤컴퍼니     최근 인기리에 반영된 피지컬 100을 보셨나요?

  • 퀘이사존

    2023-02-24

      ASRock 라데온 RX 7900 XTX Taichi OC 24GB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 제조사로 유명한 ASRock은 플래그십 브랜드에 SF 요소를 적극 활용하고

  • 퀘이사존

    2023-02-23

    ▲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 ASRock B760M PG Riptide D5 영상 ASRock B760M PG Riptide D5      이번 칼럼의

  • 퀘이사존

    2023-02-23

    1st Player Mi6 MUSIC BAR   파워서플라이 브랜드 시소닉의 유통사로 알려진 (주)맥스엘리트가 1st Player 브랜드도 유통하기 시작했습니다. 8종의 케이스가 새롭게 추가되었는데, 이번에 소개해드릴 PC 케이스는 전면에 RGB LED 바Bar를 탑재한 1st Player Mi6 MUSIC BAR입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근처에서 대화하거나 음악을 틀어 놓는 등 외부 소리에 반응하여 LED가 움직입니다. 마치 음향기기 이퀄라이저처럼 연출되어서 이름에 MUSIC BAR가 들어간 것이죠. ▼ 제품 상세 스펙(눌러서 펼치기)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요약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외형 EXTERIOR[패널 구성] 전면: 금속 패널+에어홀 / 좌측: 강화유리 / 우측: 금속 패널+에어홀    Mi6 MUSIC BAR는 파워서플라이를 전면에 장착하며, 하단에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굴뚝형 케이스입니다. 전면과 우측 금속 패널에 에어홀이 뚫려 있습니다.[전면 I/O 포트 구성] Power, LED Control(Reset), USB 3.1 Gen1 Type-A x 1, MIC&HD Audio, USB 3.2 Gen2 Type-C x 1[후면 구성] 수평 PCI 슬롯 4개 / 일회용 커버 / 슬롯 간 프레임 있음    후면 메인보드 I/O 포트 장착부 위로 AC 전원 케이블 연결부가 있습니다. 파워를 전면에 장착하는 만큼, 연장 케이블을 제공합니다.  [패널 구성] 상단: 금속 패널+에어홀, 하단: 금속 패널+에어홀    상단과 하단 모두 쿨링팬을 장착하는 위치에 맞춰 에어홀을 뚫었습니다. 먼지 필터는 없습니다. 하단 받침대는 투명한 재질이며 미끄러짐 방지 패드를 부착했습니다.[상단 패널] 손나사+걸쇠 고정 방식, 먼지 필터 제공하지 않음[좌측 강화유리] 걸쇠 고정 방식    상단 패널을 먼저 제거한 후에 강화유리를 위로 들어 올려 분리할 수 있습니다. 배송 중 긁힘 및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비닐이 붙어 있습니다.[우측 금속 패널] 손나사+걸쇠 고정 방식, 먼지 필터 제공하지 않음[전면 금속 패널] 볼 헤드&클램프 고정 방식, 먼지 필터 제공하지 않음    전면 패널은 하단에 있는 틈을 잡고 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에어홀이 있는 모든 패널에 먼지 필터를 제공하지 않지만, 에어홀이 먼지 필터와 유사하여 어느 정도 걸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내부 INTERIOR    파워서플라이/케이블 가림막은 나사를 풀고 분리할 수 있습니다. [상단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 라디에이터: 최대 360 / 280 mm 규격[하단 호환성] 쿨링팬: 120 mm x 3 EA[후면 호환성] 쿨링팬: 120 mm x 1 EA, 라디에이터: 최대 120 mm 규격[PCI 슬롯] 수평 4 슬롯, 재사용 불가능한 커버, 슬롯 간 프레임이 있음    하단에 120 mm 쿨링팬 3개 장착할 수 있도록 나사 구멍을 구성했습니다. 우측으로 6개의 나사 구멍이 있는데, 이는 저장장치를 고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다만, 저장장치를 장착할 경우, 쿨링팬을 2개밖에 장착할 수 없는 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전면에 파워서플라이 브래킷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걸쇠(상단)와 나사(하단)로 고정되어 있는데요. 필요에 따라 걸쇠 고정부에 맞춰 4단계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우측 공간에 SSD 트레이 1개를 제공합니다. AC 전원 연장 케이블 및 각종 케이블을 위한 통로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두께 THICKNESS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22

    ▲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ASRock B650E PG Riptide WiFi 대원씨티에스     ASRock 메인보드 PG (Phantom Gaming) 는

  • 퀘이사존

    2023-02-21

    NEWZEN SKULL M10 3FAN MESH    SuperFlower 브랜드의 유통사로 알려진 (주)뉴젠씨앤티에서 22년 3월에 자체 브랜드인 SKULL을 발표했습니다. SKULL X30 RGB 6FAN은 전면 풀 메시, 스윙도어, 6개의 RGB 쿨링팬과 '가성비'라는 특징으로 소비자의 관심을 성공적으로 끌었죠. 이어지는 5월에는 A30 RGB 6FAN까지 출시했습니다. 그리고 23년 2월, 미니 타워 케이스인 SKULL M10 3FAN MESH를 선보였는데요. 3만 원 미만의 흔히 사무용으로 불리는 케이스에서 볼 수 있는 배불뚝이 측면 패널이 아닌, 평면으로 되어 있고 120 mm 쿨링팬 3개와 전면은 메시 패널로 구성했습니다. ▼ 제품 상세 스펙(눌러서 펼치기)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요약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외형 EXTERIOR[패널 구성] 전면 : 메시(플라스틱 재질), 좌측면 : 금속 패널+일부 에어홀, 우측면 : 금속 패널+일부 에어홀    3만 원 미만의 미니 타워 케이스, 흔히 사무용으로 불리는 케이스에선 전면을 플랫 패널로 구성하는 경우가 많지만, SKULL M10은 전면을 메시 패널입니다. 또한, 측면 패널을 튀어나온 배불뚝이가 아닌 플랫 패널로 구성하여 차별화했습니다.[전면 패널] 메시 패널, 플라스틱 재질, 폴리곤 패턴 적용    전면 메시 패널에는 SKULL X30 RGB에서 볼 수 있었던 폴리곤 패턴을 적용했습니다. 또한, 양 측면 금속 패널 일부분에는 에어홀을 구성하였습니다. [I/O 포트 구성] USB 3.2 Gen1 Type-A x 1 EA, USB 2.0 Type-A x 2 EA, HD Audio, MIC, Reset, Power    일반적으로 하단 받침대는 별도의 구조물로 구성하지만, SKULL M10은 섀시를 튀어나오게 가공한 일부분이 해당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패드도 부착했습니다.[측면 패널] 금속+일부분 에어홀, 후면 손나사 & 걸쇠 고정 방식[전면 패널] 메시, 플라스틱 재질    하단 틈을 잡고 당기면 분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상단 I/O 포트 케이블 단선의 위험이 있으니 주의하시기를 바랍니다. 전면 메시를 자세히 보면 절반은 막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시가 플라스틱 재질이라 내구성 확보를 위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했지만, 소비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듯합니다. 내부 INTERIOR[쿨링팬 호환성] 전면: 140 mm x 2 EA or 120 mm x 2 EA, 후면: 120 mm x 1 EA[기본 제공 쿨링팬] 전면: Non LED 120 mm x 2 EA, 후면: Non LED 120 mm x 1 EA    SKULL M10은 두 가지 모델이 있습니다. 칼럼 주인공이자 전면과 후면에 쿨링팬을 총 3개 제공하는 3FAN 모델과 후면에만 120 mm 쿨링팬을 제공히는 1FAN 모델이 있습니다.[PCI 슬롯] 수평 4 슬롯, 1번 슬롯에만 재사용할 수 있는 커버 제공, 슬롯 간 프레임이 있음[저장장치 호환성] 섀시 하단: HDD x 1 EA, SSD x 1 EA    SKULL M10은 파워서플라이를 상단에 장착합니다. 하단에는 저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나사 구멍을 구성했으며, HDD와 SSD를 1개씩 지원합니다.[저장장치 호환성] 전면: HDD x 1 EA, SSD x 1 EA, 측면 가림막: SSD x 1 EA    전면에서 좌측으로 이어지는 부분에 가림막이 하나 있습니다. 해당 가림막과 전면에도 저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데요. 자세한 건 조립편에서 살펴보겠습니다. [우측 공간] 메인보드 장착부 뒷면: 약 11 mm,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뒷면: 약 18 mm    우측 공간은 약 11 mm와 18 mm로 상당히 좁습니다. 파워서플라이를 케이블은 내부에 정리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두께 THICKNESS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조립 BUILD[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GIGABYTE B660M AORUS ELITE D4, 그래픽카드 : PowerColor 라데온 RX 6600 XT Red Devil D6 8GB, 파워서플라이 : SuperFlower SF-850P14XE LEGION GX PRO GOLD[파워서플라이 호환성] 최대 가용 공간: 260 mm [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권장 길이: 255 mm    파워서플라이 앞 공간을 활용하여 케이블을 정리하면 됩니다. 지저분해 보일 순 있으나, 측면 패널이 내부가 안 보이는 금속 패널이기에 큰 문제가 되진 않습니다. 두께가 2.5 슬롯인 그래픽카드를 사용해도 하단에 HDD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RX 6600 XT Red Devil은 길이가 약 251 mm고, 남는 공간은 약 9 mm입니다. 최대 공간은 약 260 mm지만, 장착할 때 필요한 여유 공간을 고려하여 최대 255 mm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저장장치 호환성] HDD x 2 EA & SSD x 4 EA    케이스 크기에 비해 다수의 저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최대 6개를 지원하며, 서로 간섭 없이 장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면에 장착 시 공기 흐름을 방해하고, 측면에 장착하면 그래픽카드 보조전원 케이블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점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좌측도 금속 패널로 막혀있습니다. PC 부품 중 RGB LED가 적용된 제품이 있다면, 전면 메시 패널 사이로 간접 조명 효과처럼 일부만 보입니다. 쿨링테스트 COOLING TEST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번외 테스트 EXTRA TEST    SKULL M10에 최대 높이 160 mm인 CPU 공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 프리셋 이외에 타워형 CPU 쿨러로 추가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쿨러는 DEEPCOOL AG400이며, 가격은 2만 3천원으로 보급형 제품입니다. 앞서 진행한 기본 테스트에서 CPU 쿨러만 바꿨습니다.요약 SUMMARY- 전면 에어홀이 절반만 타공됨- 상단 파워보다는 하단 파워 방식을 선호+ 353.5(H) x 190(W) x 305(D) mm의 미니 타워 케이스+ 측면 패널이 배불뚝이가 아닌 패널 구성+ 120 mm 쿨링팬 3개(전면 2개, 후면 1개) 기본 제공+ 저장 장치 최대 6개 까지 지원+ 2만 원대 부담없는 가격* 본문에 첨부한 제품 사진은 눌러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로고가 없는 사진은 해당 제품 브랜드 자료입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20

    ASUS TUF GAMING ESD-T1A 영상   ASUS TUF GAMING ESD-T1A     USB Type-C 포트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 퀘이사존

    2023-02-20

    ASUS TUF Gaming Z790-PLUS WIFI 인텍앤컴퍼니     ASUS의 메인스트림, TUF Gaming 브랜드의 기원은 Sabertooth 메인보드입니다.

  • 퀘이사존

    2023-02-20

     darkFlash 화이트 시스템     최근 화이트 컬러로 시스템을 꾸미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20

    한편, 제가 처음 Dell 모니터에 매료된 제품은 UltraSharp U3011이었습니다. 2010년 당시에는 큰 크기에 속했고, 16 : 10 비율과 WQXGA를 지원해 해상도도

  • 퀘이사존

    2023-02-17

    바로 이번 칼럼에서 소개할 정림전자 GMASTAR JE242L6745가 그 주인공입니다. 최대 165 Hz 주사율을 지원해 부드러운 움직임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15

    [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ASUS ROG STRIX B760-A GAMING WIFI D4, 그래픽카드 : ASUS ROG STRIX 지포스 RTX 4080 O16G

  • 퀘이사존

    2023-02-13

    파노라마 강화유리는 유지하고 타워 형태로 만들었다!    여러분은 어떤 PC 케이스를 좋아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독특한 케이스를 선호합니다. 남들과는 다른 느낌으로 제 PC를 표현하고 싶기 때문이죠. 최근엔 개성이 강한 케이스들이 많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제가 관심 있게 보는 모델은 바로 HYTE Y60입니다. 퀘이사 칼럼 및 리포트를 통해 3번(White, Black, Hakos Baelz) 소개했던 제품인데요. 파노라마 강화유리를 적용하여 어항처럼 내부가 훤히 보이는 독특한 매력이 특징입니다. 이런 HYTE에서 2023년 새로운 제품을 하나 선보였는데요. 칼럼 주인공이기도 한 HYTE Y40입니다.    듀얼 체임버 방식인 Y60과 달리 일반 타워형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조금 더 평범해지긴 했지만, 핵심인 파노라마 강화유리는 물론 스트라이프 패턴까지 유지하였죠. 단, 강화유리 패널은 3면이 아닌 2면 구성하여 비슷하면서도 다른 느낌입니다. 외형뿐만 아니라 내부 구성에도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하는데, 본문에서 자세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기본 구성] 제품 설명서, 케이블 타이, 오디오 Y 케이블, 조립용 나사[패널 구성] 전면 : 강화유리, 좌측면 : 강화유리, 우측면 : 금속+일부 에어홀       듀얼 체임버 구조인 Y60과 달리 일반 타워형 케이스와 비슷해졌습니다. 파노라마 강화유리는 그대로 유지했지만, 모서리 부분이 사라지면서 3면이 아닌 2면 구성입니다. 컬러는 블랙, 화이트, 레드 3가지로 출시했습니다. 칼럼에선 화이트 모델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좌측 패널] 강화유리 재질,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    강화유리 패널은 볼 헤드 & 클램프 방식으로 고정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 측면에 틈을 당겨 간편히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우측 패널] 금속 재질+일부 에어홀,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    우측 패널도 좌측 강화유리 패널과 동일한 고정 방식이라 탈착이 간편합니다. Y60과 동일하게 에어홀은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디자인하였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패널 내부 디자인이 독특한데요. 스트라이프 패턴 쪽엔 먼지 필터가 내장되어 있고, 패턴 없는 곳은 HYTE 로고가 중앙에 빨려 들어가는 듯한 느낌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나루토에 등장하는 토비 가면이 떠오르는 디자인....[전면 패널] 강화유리 재질[I/O 포트 구성] HD Audio & MIC, USB 3.2 Gen1x1 Type-A x 2, Power, USB 3.2 Gen2x1 Type-C x 1▲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상단 패널] 금속 재질+일부 에어홀,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    우측 패널과 동일하게 스트라이프 패턴 및 볼 헤드 & 클램프 고정 방식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하단 먼지 필터] 슬라이드 방식    Y40 하단부는 Y60처럼 지지대가 길게 앞뒤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먼지 필터는 Y60과 다르게 슬라이드를 적용하였습니다.  먼지 필터 분리 방향이 다르니 이점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라이저 케이블] PCIe 4.0 지원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은 외부 패널과 동일하게 스트라이프 패턴이 적용되었습니다. HYTE Y40은 케이스 내부에 기본적으로 라이저 케이블을 제공합니다.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부분은 플라스틱 구조물로 디자인하였고, 측면에 'HYTE' 로고로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PCI 슬롯] 수직 4 슬롯,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슬롯 사이에 프레임이 있는 부분 개방형 / 수평 7 슬롯, LP 규격,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슬롯 사이에 프레임이 있는 부분 개방형    수평과 수직 슬롯 2가지가 있지만, 수평 PCI 슬롯은 LPLow-Profile 규격 제품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그래픽카드는 수직 슬롯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수직 슬롯이 3개 제공되던 HYTE Y60과 다르게 Y40은 4개를 제공하여 조금 더 호환성이 좋아졌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쿨링팬 호환성] 상단 : 120 mm x 3 EA, 측면 : 140 mm x 2 EA or 120 mm x 2 EA, 후면 : 120 mm x 1 EA[라디에이터 호환성] 상단 : 360 mm, 측면 : 280 / 240 mm, 후면 :120 mm[기본 번들팬] 후면 : 120 mm Non-LED 팬 x 1 EA출처 : 서린씨앤아이 HYTE Y40 공식 DB[저장 장치 호환성] 저장 장치 브래킷 : HDD x 1 EA or SSD x 2 EA    저장 장치 브래킷은 모양이 독특한데요. 독특한 모양만큼 HDD를 장착할 때 약간 대각선으로 비스듬하게 장착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쿨링팬 호환성] 하단 : 140 mm x 1 EA or 120 mm x 1 EA[기본 번들팬] 하단 : 120 mm Non-LED 팬 x 1 EA    Y40은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안쪽 하단에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기본 번들팬이 1개 내장되어 있는데 파워서플라이를 바로 옆에 장착하다 보니 케이블 정리가 미흡할 시 간섭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은 양측면과 전면 상단에 있는 고정나사를 모두 풀어줘야 분리할 수 있습니다. 분리하지 않아도 시스템 조립에 문제없으니 그대로 두고 작업하시는 걸 추천합니다.[선 정리 공간] 28 mm[메인보드 PCB와 상단 사이 간격] 23 mm    메인보드 PCB와 상당 사이 간격이 협소한 편입니다. 라디에이터 장착과 관련해선 조립 파트에서 이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강화유리는 약 3.8T, 섀시는 약 0.8~0.9T로 두꺼운 편에 속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NZXT N7 B550 Matte White, 그래픽카드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ULTRA OC 16GB White, 수랭 쿨러 : Thermalright FROZEN HORIZON 360 ARGB 서린 화이트, 파워서플라이 : Fractal Design Ion+ 2 760W Platinum[상단 라디에이터 호환성] 360 mm[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길이 422 mm[최대 저장 장치 개수] HDD x 1 EA or SSD x 2 EA[파워서플라이 가용 공간] 기본 : 224 mm (제조사 권장 파워서플라이 최대 길이) / 244 mm (실측 시 가용 공간)    조립 결과 상단 라디에이터는 360 mm 규격이 딱 맞게 들어갑니다. 라디에이터 장착부와 메인보드 사이의 간격이(위에서 봤을 때 기준) 넓어서 장착에 크게 무리가 없습니다. 다만, 메인보드 PCB와 케이스 상단 간격이 좁다 보니 높이가 높은 메모리 사용 시 간섭이 생길 수 있어 사전에 호환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화이트 부품으로만 구성을 하는 것도 좋지만, Y40의 내부는 블랙, 외부는 화이트이니 투톤 컬러로 조합하여 제품을 꾸미는 것도 괜찮습니다. 파노라마 강화유리 덕분에 내부를 훤히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기본 쿨링팬은 모두 Non-LED 제품이니 연출에 사용한 LIAN LI UNI FAN SL120 V2 WHITE와 같은 화려한 LED 제품을 사용하여 빌드하면 더 멋진 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9월 30일 작성 기준 케이스 칼럼부터 ATX 및 Mini-ITX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스템에 다소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 테스트에 사용되었던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 그래픽카드의 서멀 재도포 작업을 진행하여 이전보다 온도 효율이 더 좋아졌습니다. 이점을 참고하시어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2022년 10월 7일 이후 칼럼부터 테스트에 사용한 일체형 수랭 쿨러가 Fractal Design Lumen S24 RGB에서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모델로 변경되었습니다.     ATX 규격 이상 케이스는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다면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CPU는 Intel Core i9-9900K(MCE ON)를 사용합니다. Mini-ITX 케이스는 Intel Core i7-10700K를 장착하여 NOCTUA NH-L12S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수랭 쿨러 장착 가능한 케이스의 경우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를 장착하여 진행합니다.) 공통사항으로는 PWM 모드 Normal(Standard) 프리셋과 GD900 서멀컴파운드 사용입니다.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는 Cyberpunk 2077를 10분간 구동하면서 HWiNFO를 통해 측정된 값입니다.     위 구성이 퀘이사존 케이스 쿨링 테스트 공식 프리셋이지만, 콘셉트나 구조가 특별하여 내부적으로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시나리오 추가 혹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조립 연출에 사용한 CPU 쿨러와 쿨링 테스트에 사용하는 CPU 쿨러는 다른 제품입니다. 쿨링 테스트는 위에서 언급한 CPU 쿨러 2종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있으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2022/2/24부터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라면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이며 쿨링팬은 기본 구성 외에 추가하지 않았습니다.     쿨링 테스트를 진행 결과, CPU 스로틀링, 급격한 GPU 부스트 클록 하락 등 이상 현상은 없었습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파노라마 강화유리는 유지하면서, 조금 더 보편적인 타워 디자인 적용    HYTE Y60의 가장 큰 특징은 강화유리 패널 사이에 프레임 없는 파노라마 디자인을 적용했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내부를 시원하게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특히나 내부를 RGB LED 부품으로 구성한다면 화려한 연출을 더욱 뽐낼 수 있죠. Y40는 2면 파노라마 강화유리 패널 구성으로 Y60보다 1면이 줄었지만, 'DNA'는 그대로 이어갔습니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고려해 이번에는 듀얼 체임버가 아닌 일반적인 타워형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PCIe 4.0 라이저 케이블 제공, 늘어난 PCI 슬롯    Y40도 기존 Y60처럼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이 기본입니다. 수직 장착을 할 수 있게 PCIe 4.0 라이저 케이블을 기본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로 케이블을 구매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직 슬롯도 4개로 구성한 덕분에, 최근 부쩍 두꺼워진 RTX 40 시리즈 그래픽카드도 대부분 문제없이 장착할 수 있죠. 라이저 케이블의 메인보드 결착부는 각 모델에 맞는 컬러를 적용한 플라스틱 구조물로 마감하여 깔끔합니다.  · 시스템 내부가 시원하게 보였으면 좋겠다 · 화려한 RGB LED 시스템을 꾸미고 싶다 · 그래픽카드를 수직 장착할 생각이다  · LP 타입이 아닌 다양한 확장카드를 사용한다. · 상단 수랭 쿨러와 함께 높이가 높은 메모리를 사용한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08

    [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메인보드 : ASRock Z790 PRO RS, 그래픽카드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ULTRA OC 16GB White,

  • 퀘이사존

    2023-02-08

    ASUS는 2006년 ROG (Republic Of Gamers) 브랜드 출시 후 꾸준히 자신들의 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2-07

    색다른 컬러가 부담스럽다면?    최근 PC 시장을 보면 컬러가 다양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C 케이스는 Black과 White를 동시에 출시하는 경우가 늘었으며, 일부 제품은 White 단독으로 출시하기도 하는데요. 아무래도 깔끔하고 화려함이 돋보이는 White 콘셉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간혹 일부 PC 케이스 제조사는 차별화를 위해 '색다른 컬러'를 출시하기도 합니다. SSUPD MESHROOM S Peacock Blue    최근 칼럼으로 소개해드린 PC 케이스 중, 컬러가 독특했던 제품을 뽑자면 당연 SSUPD MESHROOM S Peacock Blue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말 그대로 '공작새의 푸른 빛'을 케이스에 사용하여 일반 Blue보다 눈이 편하면서도 묘한 매력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호불호가 갈리는 걸까요? 어디든 무난히 어울리는 Black이 가장 인기가 많았으며 Fossil Gray와 함께 한동안 품절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1월 13일 재입고를 알리며 판매를 재개했는데요. 그런 의미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Black 모델은 어떤 매력이 있을지 리포트를 통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조립 4. LED 5.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크기] 362 x 167 x 247 mm(H x W x D)[패널 구성] 전면: 메시 /  좌측: 메시 / 우측: 메시 / 상단: 메시[I/O 포트 구성] USB 3.2 Gen1 Type-A x 2 EA, USB 3.2 Gen2 Type-C x 1 EA[Power 버튼 위치] 후면    MESHROOM S는 후면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네 면을 메시 패널로 구성했는데요. 프레임+메시가 아닌 패널 전체가 메시로 되어 있습니다. USB 포트는 상단에 배치했지만, Power 버튼만 후면으로 옮겼습니다. 덕분에 상단 I/O 포트가 좀 더 간결해 보이네요.    Peacock Blue는 메시 패널만 컬러를 적용했으며, 내부 섀시는 Black 그대로였습니다. 물론 후면에서 바라볼 일은 적지만, 두 가지 컬러가 모두 보이기에 '두 개를 합친' 느낌이 들었죠. 반면 Charcoal Black 모델은 메시와 내부 섀시가 같은 Black이라 일체감이 강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패널 고정 방식] 볼 헤드 & 클램프 [먼지 필터] 제공 안 함    모든 패널을 별도의 도구가 필요 없는 원터치 방식으로 구성했습니다. 패널 내부에 먼지 필터를 제공하지 않지만, 에어홀이 먼지 필터와 유사하여 어느 정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쿨링팬 호환성] 전면: 140 mm x 2 EA or 120 mm x 2 EA, 측면: 140 mm x 2 EA or 120 mm x 2 EA, 상단: 120 mm x 1 EA(멀티 브래킷 사용, 15T 이하)[라디에이터 호환성] 전면: 최대 280 / 240 mm 규격, 측면: 최대 280 / 240 mm 규격[공랭 CPU 쿨러 호환성] 3슬롯 모드: 높이 73 mm, 4슬롯 모드: 높이 53 mm    MESHROOM S는 섀시 내부에 있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메인보드와 파워서플라이를 좌측에, 그래픽카드를 우측에 장착하는 듀얼 체임버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MESHLICIOUS는 전면에만 쿨링팬/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었지만, MESHROOM S는 측면에도 장착할 수 있도록 브래킷을 추가하였습니다.SSUPD MESHROOM S Peacock Blue 내부 보러가기    내부 구조는 MESHROOM S Peacock Blue와 같으므로 세부 사항은 기존 칼럼을 참고하시고, 이번 리포트에서는 주요 포인트만 다시 확인해 보겠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MESHROOM S는 PCI-E 4.0 라이저 케이블도 기본 제공하는데요. 사용하는 메인보드와 그래픽카드 장착 방법에 따라 175 / 270 / 380 mm 라이저 케이블을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점은 참고 바랍니다.    내부 프레임과 브래킷 등은 전부 분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MESHROOM S는 3슬롯 모드(기본)에서 4슬롯 모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메인보드 I/O 포트 가이드와 파워서플라이 브래킷에 있는 긴 구멍이 위 사진과 같은 방향으로 오도록 장착해줍니다. 내부 프레임에 금속 막대(상단)를 짧은 금속 막대(기본 구성품 제공)로 교체 후 앞서 확인한 긴 구멍에 프레임이 제대로 결착되었는지 확인 후 나사로 고정합니다.    마지막으로 PCI 브래킷을 옮겨주면 4슬롯 모드가 완성됩니다. 내부 프레임이 약 20 mm 이동했기에, 장착할 수 있는 공랭 CPU 쿨러의 높이가 53 mm로 줄어들고, SFX 파워서플라이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신 그래픽카드를 최대 길이 336 mm까지, 두께 4슬롯 까지 장착할 수 있습니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