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vme'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864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마이크론 Crucial P3 M.2 2280 NVMe SSD, P3, 2048GB
    168,000 원
  • 로켓배송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138,870 원
  • 로켓배송 SK하이닉스 GOLD P31 NVMe SSD
    80,460 원
  • 로켓배송 -공식- 마이크론 Crucial P3 Plus 500GB M.2 NVMe GEN4 SSD 대원CTS, P3 PLUS M.2, 500GB
    65,500 원
  • 로켓배송 마이크론 Crucial P3 PLUS M.2 2280 NVMe SSD
    65,500 원
  • SK하이닉스 Platinum P41 M.2 NVMe SSD (GEN4/TLC/PS5 호환)+고정나사, P41_2TB
    289,00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12-25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 드릴 제품은 컬러풀 CN600 PRO M.2 NVMe 512GB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25

    컬러풀 CN600 PRO M.2 NVME 512GB 최근에는 M.2 NVMe SSD가 저장 장치의 대세가 되었죠.

  • 퀘이사존

    2022-12-20

    기본 장착된 SSD 용량(약 667GB)의 한계로 용량을 증설하고자 할 때, 여분으로 남겨놓은 M.2 NVMe 슬롯에 새로운 PS5 SSD를 설치하여 용량을 확장할 수 있죠.

  • 퀘이사존

    2022-12-20

    ■  마이크론 Crucial P3 Plus M.2 4TB NVMe SSD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19

    지금부터 살펴볼 마이크론 Crucial P5 Plus M.2 NVMe 대원씨티에스는 PCIe 4.0 드라이브로 500G / 1TB / 2TB가 발매되어 있는데요.

  • 퀘이사존

    2022-12-13

    마이크론 Crucial P3 m.2 NVMe 1TB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13

    이번 포스팅에서는 NVMe SSD CRUCIAL® P3를 소개해드리려고 하는데요.

  • 퀘이사존

    2022-12-11

    Sabrent는 256GB, 512GB 및 1TB 크기로 제공되는 Rocket SSD의 M.2 2230 크기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예상할 수 있듯이 DRAM-less의 제품입니다. 컨트롤러는 Phison-E21 컨트롤러가 그리고 Micron B47 NAND 플래시(96단)가 사용되었습니다.Sabrent는 드라이브의 순차 읽기 속도가 최대 5,000MB/s이고 순차 쓰기 속도가 최대 4,300MB/s인 것으로 평가합니다. 읽기 IOPS는 최대 450K로 평가되며 쓰기 IOPS는 최대 920K로 드라이브 크기에 따라 다릅니다. 512MB 드라이브가 전반적으로 최고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드라이브는 200, 300 및 600TBW 등급이며 5년 보증이 제공됩니다. 지금까지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07

    Micron은 클라이언트 2550 NVMe M.2 SSD 라인업에 탑재된 고급 232단 NAND 기술의 출하를 시작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01

    (이미지 제공: Tomshardware) Phison의 차세대 E26 PCIe Gen5 NVMe M.2 SSD 컨트롤러 기반 SSD가 지연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01

    덕분에 NVMe 고성능 SSD의 가격도 예전에 비해 많이 내려와서 선택의 폭도 넓어졌죠.

  • 퀘이사존

    2022-11-29

    컬러풀 CN600 PRO M.2 NVME 512GB 보러가기! 컬러풀 CN600 PRO M.2 NVME 256GB 보러가기!  

  • 퀘이사존

    2022-11-28

    NVMe SSD 특성상 동작시 발열이 심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고품질 구리 방열판을 탑재하여 효과적인 열 방출로 인한 안정적인 성능 유지가 가능한데요, 간혹 방열판이 없는 저가 제품의

  • 퀘이사존

    2022-11-28

    PNY XLR8 CS3140 Gen4 M.2 NVMe (1TB) 소개 이번에

  • 퀘이사존

    2022-11-27

    Nextorage의 PCIe Gen5 NVMe SSD는 Gen4 SSD에 비해 전송률이 35% 향상되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24

    M.2 NVMe SSD는 PC, 노트북, PS5까지 다양한 장치에서 사용 중이며     HDD에 저장된 데이터를 M.2 NVme SSD로 옮겨서 사용해 보세요.       

  • 퀘이사존

    2022-11-23

    클레브, 신규 M.2 NVMe SSD 3종 출시 메인스트림 시장의 마니아층 맞춤형 제품 홍콩, 2022년 11월 23일 - 에센코어가 선보인 신흥 메모리 브랜드 KLEVV가

  • 퀘이사존
  • 퀘이사존

    2022-11-20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530씨게이트는 HDD로 유명한 제조사로 NAS에 들어가는 HDD부터 고용량 SSD까지 다양한 저장 장치를 취급하는 제조사입니다.박스를 살펴보면 PCIe Gen4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용량은 무려 4TB입니다. 제가 2017년도에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NAS가 있는데, 총용량이 14TB입니다. 거의 7년간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이 2.6TB인 것을 생각하면 4TB는 어마어마한 사이즈라고 생각됩니다. ​ 제가 NAS를 운영하는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 백업 때문인데요. 저장 장치가 고장 났을 때를 대비하여 RAID를 구성하여 운영 중에 있습니다. SSD를 사용하는 분들도 이런 점이 가장 걱정스러울 텐데, 씨게이트는 데이터 복구 성공률 90% 이상을 자랑하는 레스큐 데이터 복구 서비스를 기본으로 3년간 지원해 줍니다. 데이터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높은 확률로 복구가 가능합니다. ​ 또한 씨게이트의 전용 소프트웨어인 SeaTools를 활용하면 SSD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 관리가 가능하며, 보증 기간이 업계 최대인 5년이나 되기 때문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하드보다 상대적으로 가볍고 충격에 강하기 때문에 포장에서 자유롭지만, 그래도 혹시 모를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방지 포장이 잘 되어 있네요.기판은 검은색으로 되어 있어 PC의 내부가 보이는 통유리 케이스에 장착해도 외관상 멋진 내부 모습을 만들 수 있습니다. 물론 방열판을 설치한다면 보이지는 않겠지만, 녹색보다는 검은색이 시크하고 고급스러운 것 같습니다. ​ 수명을 살펴보면 180만 MTBF, 5100TBW 을 가지고 있습니다. MTBF란 평균고장간격을 의미하는데, 수리가 가능한 고장 발생이 최초 발생 후 다음 고장 나는 데까지 걸리는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TBW는 총 쓰기가 가능한 용량으로 5100TB의 용량을 쓸 수 있다는 뜻으로, 하루 100GB 씩 100년을 사용하면 3650TB가 나옵니다. 위 두 내용을 본다면 사실상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수명을 가지고 있습니다.장착하기장착은 매우 쉽습니다. PC의 경우 메인보드에 장착하면 되며, 노트북의 뒤판을 열면 저장 장치를 꼽을 수 있는 슬롯이 있는데 장착해 주면 됩니다.장착 방법은 우측의 연결단자 부분을 체결하고 좌측에 볼트로 고정해 주면 됩니다. 볼트로 고정하는 게 좀 귀찮기 때문에 최근에는 쉽게 장착이 가능한 보드도 출시되는 것 같습니다. ​ 저는 PC에 장착했습니다.제 성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에서 PCIe 4.0 규격을 지원해 주어야 합니다. B급 보드를 구매하면 대부분 지원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다양한 작업에 활용이 가능PC의 속도가 빨라진 계기는 아마도 SSD의 탄생이 아닐까 합니다. 컴퓨터에서 가장 딜레이가 발생하는 부품이 HDD였고, SSD의 등장으로 부팅 속도가 10초 미만으로 줄어들게 되었습니다. 또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문서 실행 시 로딩 시간이 기하급수적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한때 애플의 맥북이 빨랐던 이유도 일반적인 노트북들이 HDD를 사용할 때 맥북에서는 SSD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빠른 속도에 용량까지 크기 때문에 어떠한 작업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 특히 최근에는 윈도우10 에서 윈도우 11로 넘어가는 추세인데요. 파이어쿠다 530/530 히트싱크 제품은 윈도우 11기반의 쾌적한 PC 작업 환경 구축에 도움을 줍니다. ​ 먼저 포토샵 작업을 해보았는데요. 저는 워터마크나 대표 페이지를 만들 때 포토샵을 이용합니다.사진을 불러와도 빠릿빠릿하게 불러와지며, 편집 시 버벅임도 없습니다. 아마도 저장 장치의 속도가 느렸다면 이미지 파일을 불러와 로딩하는데 엄청난 시간이 걸렸겠죠? ​ 다음은 이미지 작업입니다. 일부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는데, 다음은 GIF 파일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입니다.역시나 딜레이 없이 빠른 작업이 가능했습니다. ​ 다음은 가장 많은 혜택을 볼 수 있는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 활용입니다. 동영상 편집을 해본 사용자들은 알겠지만, 10분짜리 영상을 만드는데 수많은 자막과 편집점이 발생합니다. 또한 많은 이미지들도 불러와 사용해야 하고요. 저는 파이널 컷과 프리미어 프로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고용량 동영상 파일을 불러올 때도 빠르게 로딩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작업 환경도 쾌적했으며 가장 좋은 점은 동영상 파일이 아무리 커도 4TB의 저장 공간 덕분에 여유 있는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영상 편집을 자주 하시는 분들에게는 용량이 크면 클수록 좋죠. ​ 그 외에 3D 프로그램 작업 시에도 좋았습니다.물론 지금은 이베이에서 매킨토시를 구매하여 작업하고 있지만, 이전에는 3D 프린터를 통해 쉘을 만들어볼까도 생각해 봤었는데요. 당시에 만든 3D 파일을 불러와 편집하는데도 여유 있는 작업이 가능했습니다. 완료 후 저장 시에도 빠릿빠릿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 마지막으로 게임 플레이를 해보았는데요위의 작업들이 빠르고 좋았던 것처럼 게임 역시 매우 쾌적하게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로딩 바가 다 차는 데 1초도 걸리지 않았습니다.벤치마크 테스트마지막으로 벤치마크 측정 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사용한 프로그램은 크리스탈 디스크 마크로 저장 장치 테스트 시 많이 사용하는 툴입니다. FireCuda라는 3.63TB 용량의 E 드라이브를 테스트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4TB가 아닌 3.63TB로 표기되는 이유는 1Byte가 8bit이며, 제조사의 계산 방식 때문이지 용량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단일 파일 기준 읽기 최고 속도는 초당 7,492MB가 나왔으며, 쓰기 최고 속도는 6,876MB가 나왔습니다. 스펙만큼이나 빠른 속도를 보여주었는데, 동영상 파일 같은 단일 고용량 파일을 옮길 때 가장 효율이 좋은 것으로 보였습니다. 4K 동영상이나 3D 그래픽 편집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제품으로, 하드 유저에게 SSD 추천하기 좋은 제품인 것 같습니다. ​용량이 너무 과하다면 2TB와 1TB도 준비되어 있으며, 기본 국민 옵션인 500GB도 준비되어 있으니 아래 비교 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씨게이트 파이어쿠다 SSD 보러가기 >마치며...이번에는 씨게이트에서 출시한 빠르고 넉넉한 용량의 PCIe 4.0 SSD를 사용해 보았습니다.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공간이 여유 있기 때문에 파일을 관리하는데 매우 용이했습니다. 윈도우 설치용인 C 드라이브로 500GB를 할당해 주고, 나머지 용량은 D 드라이브나, E 드라이브로 파티션 하여 사용한다면 고용량 파일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슬림한 노트북에는 SSD 슬롯이 하나밖에 없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곳에 고용량으로 활용하기에도 안성맞춤이었습니다.개인적으로는 동영상 관련 업종에 계신 분들이나 소규모 회사에서 관리하는 PC에 사용할 SSD 추천 으로 좋은 제품인 것 같습니다. 대용량 SSD가 필요하다면 한번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업체로부터 제품 대여 및 원고료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14

    신제품 마이크론 크루셜 P3 Plus PCIe NVMe M.2 1TB SSD는 P5 Plus의 하위 모델로 중급부터 보급형 라인을 담당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