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측정'의 검색 결과 입니다. ( 52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모모 [국내당일배송]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 온도측정기 CHECK01 1개, 1개
    24,800 원
  • 로켓배송 제로스큐 비접촉 온도계 -50~380도 건전지 포함
    19,980 원
  • 로켓배송 레이저 적외선 온도계 GM-320
    11,200 원
  • 카스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 IT700-1, 1개, 혼합색상
    84,850 원
  • 로켓배송 알로베베 아기 유아 목욕 물 온도측정 우주인 탕온도계 KC인증
    10,500 원
  • 로켓배송 아큐템 비접촉 적외선 온도계 JC-T01
    28,90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2024-05-29

    애프터버너에서는 cpu온도가 50도인데Z73 lcd창에선 40도로 나오네요.어떤게 맞는건가요?

  • 2024-04-08

    인텔 14500을 최근에 조립했는데 그럴필요없지만 그냥 디자인때문에 리안리 수냉을 달았습니다.인터넷 유투브 감상하는데 CPU온도가  29~40도 사이를 왔다갔다 하네요.그런데 이전에 조립한 라이젠 7600에 공랭쿨러를 단 놈은같은 상황에서 39~50도를 왔다갔다 하네요.작업이나 게임을 안하기 때문에 더 이상 확인은 못해봤는데....인텔이 작업하면 확 올라가고 평상시는 온도가 더 낮은 걸까요?아니면 측정방식이 다르다고 하는데 그것때문에 더 낮게 측정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 2024-02-13

    게임돌리시는 분이나 이런저런 작업 돌리는 분들 영상 보면화면에 컴퓨터 온도나 팬속도 등등 상태가 보이던데 이건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건가요 아니면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는건가요??

  • 퀘이사존

    2024-01-12

    아틱 PRO(빗자루 방열판)시작 온도 22도최고 온도 32도 +10도석기시대 유물 V1R시작 온도 24.8도최대 온도 27.8도 +3도 아쉽게도 제 보드(x670e 스틸레전드)에서는 1.43까지밖에 전압이 올라가지 않아서 대충 사용하고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시작온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서멀패드를 좀 더 좋은 걸 써서 그런지는 몰라도 상당한 온도차이가 있네요 이정도면 드라군 방열판이랑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드라군과 빗자루 차이가 2~3도라고 어디서 주어들었거든요. 단점은 방열판 크기가 너무 커서 케이스에 따라 호환이 불가능(거대한 걸 좋아하는 저한테는 장점 그리고 총 열수용력은 높을 듯..) 그리고 방열판과 히트파이프 사이에 서멀구리스를 바른 후 나사로 조여야 한다는 것 때문에 재장착 시 불편함 정도가 있는 듯 합니다.

  • 2023-03-20

    이번에 케이스를 커스텀하면서 케이스 내부에 CPU 및 GPU의 온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두고 싶은 욕심이 생겼습니다.구글링을 좀 해보니 아래 링크 제품이 뜨던데... 혹시 해당 제품 사용해보신분 있으실가요?? 후기를 찾아 볼수가 없더라구요http://m.11st.co.kr/products/m/5270517789수냉은 아직 시기상조라서, 원래 Alseye의 cpu 공랭(https://prod.danawa.com/info/?pcode=16843061&cate=11336857)을 살가하다가, 관련 리뷰 글들을 보고 포기했거든요..어떤분은 별도의 작은 디스플레이를 구매해서 AIDA64 측정표를 디스플레이에 띄우고 케이스안에 집어 넣던데..이렇게 해야하나 싶기도 하고...어렵네요

  • 2023-01-17

    쓰시는거 있으면 추천좀 부탁드려요!

  • 퀘이사존

    2023-01-14

    게임도중 온도체크한다고 스크린샷찍엇습니다근데 빨간박스 친것처럼 온도 표시가 안되는건 왜그런가요 ??

  • 퀘이사존

    CPU/메인보드/램

    램온도측정

    2023-01-14

    tm5 끝내고 두군데 비교해봤는데 최고온도가 다르네요눈으로 한번씩보는데63.8도까지 찍힌적은없는거같네요 ;;

  • 2023-01-14

    온도측정을 위해 nzxt cam , HWmonitor 이렇게 두가지 프로그램을 동시에 틀어 놓고 측정을 하는데 두 프로그램의 측정값이 너무 많이 차이가 나서 뭐가 정확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07

    13900K P60 E48 U53 풀코어기준에서  셋팅 테스트해보았습니다.QHD 240 3울트라 기준이며DDR5 8533MHZ CL34 47 47 32 480EVGA FTW3 3080TI  3DMARK FIRE STRIKE 테스트시 평균,맥스값온도와 비슷하게 나오네요MO-RA3 420PRO에서 테스트하였습니다.실온 26도수온 14도평프 3501%LOW 2790.1% LOW 배그 패치이후 100아래로 나오는것은 아직 안고쳐진듯합니다.3DMARK 기준 GPU 25도평균 최고 28도정션온도 66도핫스팟온도 36.3도입니다.글카가 이제는 한물좀 가버린 3080TI라서 피직스 값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지만,나름 3080TI 기준에서는 아주 잘나온 상타급 치는거 같습니다.604850셋팅 기본 프로필값도 한번 씨네벤치돌려보았습니다.상시 고정적으로 45000대 나옵니다. 10분간 스로틀주고 통과한값입니다 

  • 퀘이사존

    2022-11-03

    PC를 구성하면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ALSEYE는 2008년 설립된 기업으로, 전문적인 쿨링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하고 있으며 높은 가성비를 지닌 알스아이만의 독특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워터 펌프에 CPU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수랭 쿨러인 ALSEYE MAX M360 Plus ARGB를 알아보겠습니다. ALSEYE MAX Mxxx Plus 시리즈는 240, 360 2가지 규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CPU온도 측정이 되는 수랭 쿨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 제품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설치나 USB 연결 없이 제품 자체 센서로 CPU온도를 측정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고효율, 저소음의 파워풀한 펌프를 장착해 쿨링 퍼포먼스를 높이기 위한 설계를 했다고 하니 이번 리뷰에서 냉각 성능까지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얼마 전 ALSEYE에서 내놓은 'M120D Plus' 공랭 쿨러를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 겁니다. 맞습니다. 그 제품의 수랭 쿨러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알스아이 MAX M360 Plus는 화이트 구성을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해 화이트 버전의 제품도 함께 출시했습니다.제품 정보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요, 제품 박스에 기재된 FAN의 성능 수치와 다나와에 공개된 FAN 성능이 조금 다릅니다. 박스에 기재된 사양이 좀 더 좋은 편인데 이 점은 유통사에 문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보급형 수랭 라디에이터는 W자형 고밀도 핀 높이가 16mm인데 MAX M360 Plus는 고밀도 방열핀 높이가 20mm인 고성능 라디에이터를 사용해 열을 배출하는 면적이 넓습니다.15만 원이라는 가격은 보급형과 고급형 그 사이에 위치한 가격 책정입니다. 좋게 말하면 틈새시장이고 나쁘게 말하면 어중간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3년의 무상 보증 기간이 보다 아쉽게 다가옵니다. 비슷한 가격대 제품은 5년 정도의 보증 기간을 제공하기 때문이죠. 독특한 디스플레이 워터 블럭과 강력한 냉각 성능이 구매 포인트로 작용할지가 관건이겠네요.패키지 및 언박싱블랙 제품이다 보니 제품 박스도 블랙 컬러입니다. 박스 전면에는 M360 Plus의 아이덴티티인 디스플레이 워터 블럭을 강조하고 있네요. 아! 당연하게도 워터 블럭에 있는 2개의 세로 라인과 쿨링 팬은 ARGB를 지원합니다.박스 뒷면에는 제품 사양이 자세하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상기 안내했듯 다나와에 공개된 FAN 성능과는 조금 다른 수치입니다. 뭐, 둘 다 준수한 성능임은 마찬가지입니다.박스 전체가 비닐로 1차 봉인, 테이프로 2차 봉인 처리되어 있습니다. 재포장 걱정은 없겠네요.개봉하면 여느 수랭 쿨러와 다르지 않은 포장 방식을 보여주고 있습니다.라디에이터 - 워터 블럭, 3개의 쿨링 팬(ALSEYE M120-P)입니다.구성품으로 제공되는 부품들이 꽤나 많습니다. 그만큼 다양한 소켓과 호환된다는 말이겠죠.워터 블럭에 장착하는 브라켓입니다. 나사로 장착하는 방식이 아니고 끼워 넣는 형태라 조립 과정이 보다 간단해졌네요. NZXT 크라켄 시리즈도 브라켓과 워터 블럭을 끼워서 결합하는 방식이죠.LGA 1700용 백플레이트 및 나사 및 설명서는 별도로 포장되어 있습니다. 설명서를 잘 읽어보니 AMD AM4나 intel LGA115X 소켓이 LGA 1700보다 조립이 조금 더 편한 것 같습니다. 저는 인텔 12세대를 사용하기에 LGA 1700 소켓 용인 위 부품을 사용했습니다.메인보드에 5V RGB 커넥터가 없는 사용자를 위해 SATA ARGB 컨트롤러를 제공됩니다.함께 제공되는 'T8 서멀 구리스'입니다. 열전도율이 12.5 w/m-k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줍니다. 서멀이 꾸덕꾸덕한 편이라 펴 바르기 위한 주걱도 동봉되어 있네요. 주걱 없이 콩알 짜기 하셔도 무방합니다.제품 디테일위 이미지에 기재된 M120-P의 정보는 다나와에 공개된 FAN 성능입니다. 제품 박스와는 조금 다르긴 하네요. 풍압이 좀 더 높으면 좋긴 하겠는데 이 정도면 라디용으로 쓰기에 문제없습니다. 어... 그런데 팬 케이블이 슬리빙 처리된 것은 장점인데 꽤나 깁니다. 케이스의 뒷 공간이 넉넉하지 않다면 선 정리에 신경 써주서야 하겠군요. 팬에는 4PIN 및 5V ARGB 커넥터(Y자, 암수)가 달려 있습니다.인해전술(...)일까요? 6~9개의 블레이드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팬과는 다르게 11개의 블레이드가 보입니다. 각 모서리에는 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줄이기 위해 고무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팬 프레임이 직(정) 사각형이 아니라 실제로 라디에이터에 장착했을 때 팬과 팬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모양새입니다. 이러면 풍절음이 생길 수도 있는데 라디 팬 디자인으로는 조금 아쉽네요.워터 블럭의 높이가 83mm로 일반적인 일체형 수랭 쿨러보다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성능 좋은 3단계 모터를 넣어서 일까요, 이유는 모르겠군요. 커버를 벗겨볼까 고민을 많이 했지만 AS가 날아갈까 겁이 나 참았습니다.워터 블럭(펌프 유닛)에는 3PIN 및 5V ARGB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워터 블럭에 온도가 표시되는 수랭 쿨러는 USB 커넥터가 있어서 메인보드 내 USB 2.0 포트와 연결해 온도 정보를 제공받습니다. 이와 다르게 ALSEYE MAX M360 Plus ARGB는 워터 펌프에 내장된 자체 온도 센서로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측정되는 온도가 정확하기만 하다면 케이블 연결이 간단한 지금 방식이 더 선호될 것 같네요.구리 베이스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입니다. 반드시 보호 필름을 제거하고 장착하셔야 합니다.일반적인 미들 타워 케이스에 장착하기 무리 없는 튜브 길이입니다.튜브는 부드럽다기보다는 좀 뻣뻣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사진 촬영이 힘들었습니다.)일반적인 360mm 규격 일체형 수랭 쿨러 라디에이터와 비슷한 구성으로 라디에이터 높이는 27mm이며, W자형 고밀도 핀 높이를 20mm로 높게 설계해 열을 배출하는 면적을 넓혔습니다.라디에이터 측면에는 ALSEYE 로고로 포인트를 주었습니다.장착 과정장착에 사용된 시스템 구성입니다.보통은 사진으로 장착 과정을 소개 드리는데, 영상 리뷰에서 실제 장착 과정을 보고 도움을 받은 분들이 꽤 있으셔서 장착 과정은 영상으로 안내합니다. 설명서를 숙지하고 조립을 시작하니 장착을 완료하는데 15분 정도 걸렸습니다.조립 과정은 다른 일체형 수랭 쿨러와 비슷하거나 좀 더 간편했습니다. 다만 워터 블럭 디스플레이가 정해진 방향으로만 나오기 때문에 튜브 위치를 항상 3시 방향으로 조립해야 한다는 점이 조금 아쉽네요. 소프트웨어나 버튼을 통해 디스플레이 출력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ASROCK B660M PRO RS 기준으로 메인보드의 1번 램슬롯과 펌프는 간섭이 없었습니다. 다른 메인보드도 비슷할거라 생각되며 풀뱅크 장착도 문제없어 보입니다.사진에서는 디스플레이 온도가 이상하게 보일 때가 있지만 실제로는 온도 표기가 잘됩니다. 디스플레이 좌우로 세로로 된 ARGB LED가 점등됩니다.앗! 테스트 과정에서 발견한 사실인데, 공랭 쿨러인 'M120D Plus'와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에 표기된 CPU온도와 실제 온도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PU에 부하를 주는 프로그램을 오래 가동할수록 온도 차이는 줄어들긴 했지만 그래도 실제 온도보다 꾸준히 낮게 측정되더라고요. 이 점 감안하고 디스플레이의 온도를 보셔야 할 것 같네요. 5분 빠른 고장 난 시계를 보는 것처럼 대하면 될 것 같습니다.온도가 정확하게 측정되지 않는 이유를 찾았습니다. 번쩍이는 초록색 불빛에서 센서의 존재를 알 수 있는데요, 타제품처럼 보드의 USB 포트에 연결해 정확한 정보를 얻어오는 방식으로 개선되면 좋겠습니다.광량이 높은 편이며 색 표현도 우수해서 화려한 시스템을 꾸미기에 적합합니다.성능 테스트(냉각 및 소음)실내 온도 25도 기준, 인텔 i5-12500 CPU를 전력 제한 해제(200W)하고 아래와 같은 벤치 테스트를 진행하고 최고 온도를 측정하였습니다. 1. CINEBENCH R23 멀티 10분 * 3회 중 최고 온도 2. OCCT CPU TEST 극한 및 AVX2 적용보드에서 인텔 i5-12500의 전력 제한을 해제(200W)해 주었기에 벤치 테스트 진행시 올코어 4.1GHz로 꾸준히 작동되었습니다. 1번 벤치, 2번 벤치 결과 최고 온도는 53도로 측정되었습니다. Z보드에 12세대 K 모델을 오버클럭 해서 사용하기에도 괜찮은 수준의 쿨링 퍼포먼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교군으로 LGA 1700 소켓에서 1티어급 공랭 쿨러인 써멀라이트 Peerless Assasin 120으로 동일 조건, 동일 벤치 테스트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이때, 최고 온도는 61도를 보여주었기에 확실히 공랭과 수랭 쿨러의 냉각 성능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측면 강화유리 패널을 닫고, 50cm 떨어진 곳에서 소음을 들었을 때, 임의로 팬 속도를 높여 풀로드시키지 않는 이상 팬 소음이 크게 들리지 않았습니다. 제가 사용해 본 NZXT KRAKEN이나 EVGA CLC 시리즈에서 제공하는 번들 팬보다 팬 소음은 낮았습니다. 다만 뽑기 탓인지 워터 블럭에서 간헐적인 공기 거품 소리나 냉각수가 이동하는 소리가 들리긴 했는데 실제 사용에서 거슬리지 않을 정도 크기의 소음이었습니다. 종합 평가 및 사용자 추천 http://prod.danawa.com/info/?pcode=17928998

  • 2022-10-26

    4090 12핀 하이파워커넥터의 녹아내림은 제 경험상 커넥터 규격의 문제가 아니라 핀 단자 연결부의 접촉 불량으로 발열이 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제가 8PIN + 6PIN을 연결한 상태에서 480W로 과하게 구동시켰을 때 슬리빙 케이블이 녹아 내렸었는데 정말 비슷하게 +12V 핀 주위로 녹아내립니다. 이건 슬리빙 케이블의 단면이 작아서 발열이 발생했고 결국 열에 가장 약한 플라스틱 부분이 녹아 내린 것 입니다. 커넥터 규격의 문제였다면 이미 대량으로 불량이 났을 꺼라서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다만 커넥터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배선 압착부도 작습니다. 결국 당겨짐에 의해 변형이 되면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지 못해 발열이 되죠. 가능하면 장력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무리하게 휘거나 비틀지 않고 자연스럽게 결착하신다면 전혀 문제될 일이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제가 과도하게 OC을 하는 스타일이라서 커넥터 녹이고 더 이상 슬리빙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지 않지만 항상 GPU를 새로 장착할 때 풀로드 걸고 배선과 커넥터 온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8PIN기준 280W를 공급해도 상온대비 4도 이내 온도 상승은 미미합니다.물론 GPU가 허용하는 전류 이상이 사용되면 PCB쪽 커넥터 온도가 올라 거꾸로 배선으로 열이 전달되기도 합니다.너무 걱정하지 마시라는 취지에서 글을 남겨봅니다. 단  무리하게 휘거나 비틀지는 마세요.그리고 간단하게는 손으로 살짝 만져보면 발열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니 걱정되시면 풀로드 상태에서 커넥터를 아주 살짝 만져보세요. 문제가 될 정도면 70도 이상 온도가 상승합니다.

  • 커스텀수랭/튜닝

    온도측정센서)

    2022-07-14

    펠티어 커수 도전하기위해 슬슬 자재를 모을려고 하다보니 시스템 구성을 구리로 해야할지 알루미늄으로 해야할지 고민됩니다마음 같아서는 열 전도성 때문에 구리로 시스템 구성하고 싶은데 외부라디에다가 자체 전원 공급하는 시스템 구성할꺼라 별도의 온도 측정 센서를 달려고 하는데 센서부분이 구리도 된게 찾기 어려워서 세팅하기 편한 알루미늄도 고민하게 됩니다구리로 된 온도 측정 센서 있다면 고민도 없이 구리시스템 갈텐데 어렵네요 ㅜㅜ

  • 퀘이사존

    2022-05-15

    어제 도착하고 오늘 박스 까봤네요. 서멀그리스 없이 본품만 주문했습니다.이전에 서멀구리스를 바를때 찍어둔 사진입니다. 너무 많이 발라서 양 옆으로 흘러나와서 CPU 밑으로 들어갈지도 모른다고 하시던데 얼마나 흘러 나왔는지 한번 봅시다 ㅎㅎ맞네요~ 엄청 많이 삐져 나왔습니다 ㅋㅋ하지만 CPU 밑으로 흘러 들어가진 않았습니다. 깨끗하네요 ㅎㅎ그건그렇고 이번에 아마존에서 구입한 CPU 뚜껑 잠수함 패치 되었다는 소문의 신형 12700K라서 그런지 중앙에 휜 흔적은 잘 안보입니다...(쿨러 쪽 서멀을 보면 살짝 보이는거 같기도 하고 )이때부터 불안해지기 시작했네요. 왠지 가이드 설치해도 효과가 없을거 같은 냄새가...소켓은 로테스 라고 적혀 있습니다.열 전달 효과 좀 더 있으라고 cpu와 닿는 부분에도 서멀 좀 발라줬습니다.이번에도 서멀을 떡칠했습니다. 어차피 옆으로 잘 퍼질테고 가이드 위로도 퍼져서 효과 좀 더 있으면 좋겠단 기분으로 말이죠 ^^;;설치 완료~ 설치해도 잘 안보입니다... 색깔 뭘로 할까 고민할 필요 없어요.이제 온도 테스트 들어갑니다.위 스샷은 가이드 설치전 화면입니다.실온 20.5도, 팬속 고정, 전력제한 최대 해제, 시네벤치 10분에서 온도는 72도 입니다.서멀구리스를 떡을 치고 꾹꾹 눌러 잘 퍼트려줘야 온도가 잘 잡힌다니까요 ㅋ위 스샷은 가이드 설치후 화면입니다. 실온 21.4도, 팬속 고정, 전력제한 최대 해제, 시네벤치 10분에서 온도는 70도 입니다...(잘 보면 CPU Core는 70도로 똑같고 CPU package 에서는 70도와 72도...)온도 차이는 -2도 입니다. 방 온도가 0.9도 올랐으니 잘 쳐줘도 -3도 떨어졌다고 보면 되겠네요.써멀 잘 퍼진거 봤을때 불안하더라니 역시나... ㅜㅜ평소에 온도 관리 잘되는 상태라면 가이드 설치한다고 효과 보긴 힘들거 같습니다.

  • 퀘이사존

    2022-03-09

    시네벤치하면서 온도측정해봤는데 정상인가요? 온도가 좀 높아보여서요~ 쿨러는 크라켄 x73 rgb 입니다. z690 토마호크 입니다    

  • 퀘이사존

    2022-01-15

    TRIAL 이라고 2개가 표시되는데 저게 뭔지 모르겠네용;

  • 2021-10-03

    기존에 사용하던게 라이센스가 만료되서...다들 결제해서 사용하시나요?아니면 다른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으신가요?

  • 퀘이사존

    2021-08-21

    혹시 현재 온도가 Value 인가요?

  • 퀘이사존

    2021-02-26

    측정계가 고장나서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