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이닉스 A-다이, 흑금치 오버클록 테스트
DDR4 시절, 메모리 오버클록은 '삼성전자 B-다이 시금치'라는 공식 아닌 공식이 적용되고 있었습니다. B-다이는 메모리 칩을 뜻하며, 시금치는 메모리 기판 색이 초록색이라 붙은 별명이었죠. DDR5가 대중화되면서 다시금 오버클록 메모리로 주목받는 제품이 생겼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전통의 메모리 강호, 삼성이 아닙니다. DDR5 시대에는 하이닉스 메모리가 입소문을 타고 오버클록 메모리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의 인기가 대단한데, 일부 판매점은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만 골라서 판매하고 있을 정도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그중에서도 KLEVV의 '흑금치'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를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KLEVV는 회사 특성상 하이닉스 칩을 주로 사용하는데, 검은색 기판으로 흑금치라는 별명이 붙었습니다. 단순히 메모리 2개만 뽑아서 적당히 오버클록하고 테스트하면 그다지 재미가 없겠죠. KLEVV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 10개의 오버클록 잠재력과 방열판이 없는 메모리에서 쿨링팬을 설치했을 때의 변화, 마지막으로 메모리 클록에 따른 12종 게임, 3개 해상도에서의 성능 차이를 테스트했습니다. 10개 메모리 중 5개는 5,600 MHz JEDEC 표준, 5개는 7,600 MHz XMP 메모리로 선택하여 같은 A-다이이면서 JEDEC 표준과 XMP 메모리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KLEVV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 KLEVV Hynix A-DIE MEMORY

□ 5,600 MHz JEDEC Standard



▲ UEFI 메뉴의 메모리 정보

▲ HWiNFO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정보
□ 7,600 MHz CL36-46-46-86 XMP



▲ UEFI 메뉴의 메모리 정보

▲ HWiNFO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정보
두 제품 모두 메모리 칩은 H5CG48AGBD로 같지만, 5,600 MHz는 JEDEC 표준, 7,600 MHz는 XMP 프로파일을 지원하는 오버클록 메모리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같은 A-다이를 사용한 5,600 JEDEC 표준 메모리와 7,600 XMP 메모리의 오버클록 잠재력 및 최대 오버클록 성능을 테스트하는 데 알맞은 비교군입니다.
KLEVV 메모리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 확인법
HOW TO CHECK KLEVV MEMORY Hynix A-die

일반적인 메모리 칩에는 제조사의 파트넘버나 시리얼넘버, 제조일 같은 표기가 되어있습니다. KLEVV 메모리의 하이닉스 A-다이는 이 칩에 적힌 마킹을 보면 알 수 있는데, 위 사진에서 DRAM 칩의 H5CG48AGBD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각 알파벳과 숫자는 여러 의미가 있지만, 우리에게 중요한 A-다이에 대한 정보는 오른쪽 네 번째 알파벳에 담겨있습니다. H5CG48AGBD의 오른쪽 네 번째라면 알파벳 A인데, 이것이 A-다이 칩을 뜻합니다.
DDR5 메모리는 자체적으로 통합 전력 회로,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 Circuits를 가지고 있습니다. DDR4는 메인보드에 있었죠. 이에 따라 많은 부분이 바뀌었는데, 대표적으로 PMIC 모델에 따라 전압을 1.435 V를 초과하여 높일 수 없는 락이 걸려있습니다. 일반적인 환경이라면 1.435 V보다 높게 전압을 인가하지 않겠지만, 오버클록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Richtek, Renesas, MPS, TI 등 다양한 제조사가 있으나, 같은 제조사라도 모델에 따라 락Lock과 언락Unlock이 나뉘어 있어 자신이 본격적으로 오버클록을 시도하고자 한다면 A-다이 뿐 아니라 PMIC도 확인해야 합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DDR5 메모리는 5,600 MHz에 Renesas P8911, 7,600 MHz에 Richtek OD PMIC를 사용하여 모두 메모리 전압이 언락되어있습니다.
테스트 시스템 TEST SYSTEM


UEFI는 기본 설정으로 둔 상태에서 메모리 클록, 타이밍, 전압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4,800 MHz와 5,600 MHz는 JEDEC 표준이며, 7,600 MHz는 XMP, 8,200 MHz는 최고 오버클록 설정입니다. 쿨링팬 유무에 따른 변화 테스트를 제외하면 모든 테스트에서 메모리에 쿨링팬을 설치했습니다.
오버클록 설정 OC SETTINGS


오버클록은 CL값을 36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가장 높은 클록을 찾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여러 수치를 시도해 본 결과 8,200 MHz CL36-50-49-100, VDD/VDDQ 전압을 1.66 V로 설정했습니다. UEFI 메뉴에서 High DRAM Voltage Mode를 활성화하지 않으면 1.435 V 이상으로 설정할 수 없으므로 해당 항목을 활성화했습니다.
* 같은 하이닉스 A-다이 메모리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메모리 오버클록 잠재력뿐 아니라 CPU, 메인보드 등 기타 요소에 따라 해당 오버클록 값을 설정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메모리별 오버클록 한계 OC LIMITS BY MEMORY


위 오버클록 설정에서 5,600 JEDEC 메모리와 7,600 XMP 메모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했습니다. 테스트에 사용된 모든 메모리가 일단 8,000 MHz CL36까지는 TM5 테스트를 통과했습니다. 8,200 MHz CL36은 10개 메모리 모두 윈도우 부팅까지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다만 TM5 5사이클 테스트에서 5,600 JEDEC 메모리는 1개만 통과했으며, 7,600 MHz는 3개가 통과했습니다. 이 결과만 보면 7,600 XMP 메모리의 오버클록 잠재력이 더 높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각각 5개씩의 소량만 테스트했으므로 샘플 개수가 늘어나면 차이가 없거나 역전될 수도 있습니다.
액티브 쿨링 유무에 따른 차이
DIFFERENCES WITH OR WITHOUT ACTIVE COOLING






* 140 mm NZXT AP140 쿨링팬(1,800 RPM)을 설치한 후 Cyberpunk 2077 게임을 10분 간 구동한 HWiNFO 센서 결과입니다.
메모리 클록이 4,100 MHz로 표기되어 있는데, DDR 메모리의 유효 클록은 그 두 배인 8,200 MHz가 됩니다. 클록, VDD, VDDQ 전압, 전체 전력은 쿨링팬 유무에 따라 차이가 거의 없지만, 온도는 차이가 큽니다. 쿨링팬이 없으면 50℃를 넘어 60℃ 근처까지 올라가던 메모리 온도가 쿨링팬을 설치하면 40℃아래로 내려갑니다. 방열판이 없는 메모리임에도 쿨링팬 유무의 차이가 제법 크네요. 테스트는 오픈된 환경에서 시행되었으므로 일반적인 케이스에 조립되었다면 온도는 더 높아질 겁니다.
테스트에서는 쿨링팬 유무에 따라 오버클록이 실패하는 일은 없었지만, 메모리 전압을 1.4 V 이상으로 높이는 오버클록을 시도한다면 온도에 신경 써야 합니다. 메모리를 비롯한 반도체는 온도가 높아질수록 전기 효율이 떨어지고 오버클록을 실패할 확률이 높집니다. 거기에 최근 그래픽카드는 오른쪽 후면이 뚫려서 뜨거운 공기가 그대로 뒤로 빠져서 메모리로 향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전보다 메모리를 방열판이나 쿨링팬으로 식혀줘야 할 필요성은 더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CPU 오버클록을 시도할 때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좋은 쿨러를 사용하는 일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래 내용부터는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로 이어집니다.
항목별 구체적인 테스트 결과는 세부 페이지에서 확인해 주세요.
AIDA64 메모리 벤치마크 AIDA64 MEMORY BENCHMARK


12종 게임 3종 해상도 성능 12 GAMES 3 RESOLUTION PERFORMANCE



4,800 CL40 기준 FHD 해상도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