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 기능 ADD-ONS
[스마트허브] 타이젠 OS를 기반으로 하는 삼성전자 스마트 제품군 사용자 경험입니다. 기본으로 OTT 서비스를 제공하며 앱스를 통해 내려받은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무선 리모컨에서 홈 버튼을 누르면 바로 호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설정한 OTT 서비스 혹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삼성 TV Plus] 삼성전자에서 제공하는 OTT 서비스입니다.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으로 앱 설치부터 이용까지 어떠한 비용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삼성 TV Plus에서 제공하는 채널과 프로그램은 계약한 각 파트너사에서 송출합니다.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는 삼성 TV Plus 애플리케이션을 기본으로 내장하고 있어 모니터를 TV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삼성 TV Plus는 웹사이트(바로 가기) 및 구글 플레이(바로 가기)를 통해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도 감상할 수 있습니다.
[OTT 서비스]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 서비스입니다. 지상파 방송과 가장 큰 차이점은 보고 싶은 프로그램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선택해서 시청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는 국내외 거의 모든 OTT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또한 스포티파이, 멜론, 벅스 등 음원 서비스도 지원합니다.
 

(하단 사진은 예시 입니다.)
[삼성 헬스] 삼성 헬스는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건강관리 서비스입니다. 도전 과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운동에 도움을 주는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후술할 웹캠을 사용한다면 내 모습과 영상을 비교하면서 정확한 자세를 잡으며 운동할 수도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삼성 계정을 동기화하면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연결하여 사용자 운동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며 걸음 수, 칼로리, 활동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싱스] 삼성전자가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플랫폼입니다. 기존에는 스마트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으나, 2022년형 스마트 모니터부터 기본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내장하여 리모컨으로 다양한 스마트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IoT를 통해 좀 더 편리하게 가전제품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또 모바일 기기 스마트싱스 애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 모니터를 연결하면 모바일 기기를 리모컨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순한 리모컨 역할 외에도 외부입력 기기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해 실행할 수 있으며 후술할 카메라 공유 기능을 사용하면 스마트폰을 웹캠처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좌 : 삼성 덱스 / 우 : 스크린 미러링
 
▲ 좌 : 에어플레이 2 / 우 : 크롬캐스트
[스마트폰 무선 연동]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는 스마트폰과 뛰어난 연동성을 자랑합니다. 삼성전자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덱스는 물론 스크린 미러링, 에어플레이 2, 크롬캐스트를 지원합니다.

[워크 스페이스] 스마트 모니터가 일반적인 다른 출력장치와 가장 크게 차별화되는 부분은 기기 단독으로 웹 검색 및 Office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2022년형 스마트 모니터부터 미디어와 워크스페이스를 분리해 더욱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워크스페이스에서는 Windows PC, macOS, Samsung DeX 연결 방법 및 Microsoft Office 365 등 웹 서비스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 왼쪽: Xbox Cloud Gaming / 오른쪽: GeForce Now
[게이밍 허브] Xbox나 PlayStation 게임 패드를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와 연결하면 컴퓨터나 콘솔 게임기가 없어도 클라우드를 통해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 게이밍 허브 화면에서는 자신이 설치한 클라우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PC, 콘솔 게임기 바로 가기를 표시해 빠르게 접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게이밍 허브 소개 영상 보러 가기
 
▲ 좌 : 스마트폰 카메라 연결 / 우 : 구글 미트
[카메라 연결] 삼성전자 스마트 모니터는 카메라 연결을 지원합니다. 기본적으로 USB 웹캠을 지원하며 지원 대상은 로지텍 C920/C922/C925/C930 등이 있습니다. USB 웹캠이 없다면 스마트폰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구글 미트를 지원하여 화상 및 음성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와 iOS, PC(웹사이트) 등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게임 모드] 게임 관련 설정과 기능을 모아둔 게임 모드를 제공합니다. PC나 콘솔 게임기 등 외부 기기를 연결했을 때만 작동하며 응답 시간, 화면 모드, 소리 출력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 시 전체 설정 메뉴에서 활성화할 수 있으며 이후 리모컨에서 재생/일시 정지 버튼을 길게 누르면 호출할 수 있습니다.

[울트라와이드 게임 뷰] 화면을 가로로 더 길게 표시하는 울트라 와이드 화면 비율을 지원합니다. 기본 패널이 16 : 9이기 때문에 울트라와이드 게임 뷰를 사용하면 레터박스가 생성되지만, 16 : 9 비율보다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해 스포츠 게임에서 유리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레이싱 게임에서도 더 넓은 화면을 표시해 좀 더 실감 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멀티뷰] 두 가지 입력 신호를 한 번에 표시하는 멀티뷰를 제공합니다. 흔히 부르는 화면 분할과 같은 기능인데 화면을 나눠주는 PBP(Picture by Picture)와 화면 안에 화면을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를 모두 지원합니다. PBP는 세로 2분할을 지원하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PIP는 화면 안에 작은 화면을 표시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서리에 화면을 위치할 수 있으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멀티뷰는 영상 입력 신호 2개를 표시하는 일반적인 화면 분할과 달리, 영상 입력 신호 1개와 스마트 허브 애플리케이션(일부에 한함) 1개를 표시합니다. 화면 구성을 사용자 임의로 설정해 프리셋으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USB-C] 노트북이나 모바일 기기는 USB-C 단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isplayPort Alternate Mode를 지원하는 기기라면 USB-C 단자를 통해 연결하고 화면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하나로 화면 출력과 고속 충전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깔끔하고 편리합니다.
[빅스비 음성 명령]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명령하면 이를 인식해 실행으로 옮깁니다.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모니터인 만큼 무선 리모컨으로 활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는데, 빅스비를 사용한다면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호환 액세서리] 모니터 후면에는 200 x 200 mm VESA 마운트를 제공하여 기본 스탠드 이외에도 다른 액세서리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은 일명 삼탠바이미로 통하는 스탠딩 거치대를 활용한 모습입니다. 액세서리를 적절히 활용하면 다양한 환경에 어울리는 인테리어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기둥 뒤에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는 구멍을 제공해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스탠드에서 제공하는 액세서리 거치대를 활용하면 셋톱박스 등 주변 기기를 쉽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상파 방송이나 IPTV를 시청하는 소비자도 많습니다.

스마트 모니터에 내장한 스마트 허브는 화면 방향을 감지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표시합니다. 피벗 가능한 스탠드를 활용하면 큼지막한 43형 화면에서 세로 콘텐츠(유튜브 쇼츠, 모바일 게임, 웹서핑 등)를 실감나게 즐길 수 있습니다.

보통 이러한 액세서리는 바닥에 바퀴가 달린 경우가 많은데, 이를 활용하면 무거운 모니터도 집안 어디든지 손쉽게 옮길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