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안녕하세요, QM중독입니다.
지난 2019년 말 코로나 발병 이후, 국가 간 이동이 통제되고 많은 행사들이 온라인으로 대체되었습니다. PC 하드웨어를 비롯한 수많은 IT 제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여러분에게 전해드릴 기회를 잃어버려 그동안 상당히 아쉬웠는데요. 최근 들어 거의 대부분의 국가가 거리두기를 비롯한 방역 조치를 완화하면서 모처럼 AMD의 새로운 RDNA 3 아키텍처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7900 XTX와 RX 7900 XT를 공개하는 미국 라스베이거스 행사에 참석하였습니다.
조금 전 '차세대 라데온 발표 임박!! AMD EVENT 실시간 중계!!'[링크]를 통해서 라데온 RX 7900 XTX와 XT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셨을 텐데요. 공식 키 노트와 함께 현장에서만 미리 살펴볼 수 있었던 실제 제품 이미지까지 빠르게 만나보시죠.
키 노트 소개
AMD는 RDNA 3를 공개하며 그들의 목표를 선보였습니다. 그중 가장 첫 번째는 와트당 성능, 그리고 RX 6000 시리즈에서 고전했던 고해상도에서의 게이밍 성능, 끝으로 차세대 게임 경험을 도입한다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자신들이 부족했던 것을 보완하고 흔히 말하는 전성비를 노리는 현실적인 노선을 잡았습니다. 그리고 와트당 성능비는 AMD가 RDNA의 세대를 거듭하면서 지속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성이기도 한데요. 이번 RDNA 3는 RDNA 2 대비 와트당 성능비를 최대 54% 끌어올렸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RDNA 3에 적용된 칩렛 디자인은 기존의 모놀리식 구조와 달리 그래픽 영역과 메모리 영역의 2종(GCD & MCD)으로 구성된 새로운 패키징인데요. AMD는 CPU 제품군인 라이젠에서 칩렛 디자인을 먼저 선보인 바 있습니다. 그래픽 연산을 담당하는 GCD(Graphics Compute Die)는 5nm 공정의 300 ㎟의 크기이며, 메모리 캐시가 포함된 6 nm 공정의 MCD(Memory Cache Die)는 총 6개로 각각 37 ㎟의 면적입니다.
이날 공개된 라데온 RX 7900 XTX와 RX 7900 XT는 이런 독특한 다이 구조로 인해 무엇보다 인터커넥트의 대역폭이 중요하다 할 수 있는데요. AMD는 64비트 메모리 컨트롤러와 2세대 인피니티 캐시가 탑재된 MCD의 최대 대역폭이 RDNA 2보다 대폭 개선된 초당 5.3 TB의 대역폭을 가진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지난 RX 6000 시리즈 제품군이 4K와 같은 고해상도 영역에서 메모리 대역폭 제한 등의 요인으로 추정되는 (저해상도 대비) 성능 제한을 경험한 바 있었기 때문에 이번 대역폭 향상은 앞서 목표했던 고해상도 영역의 게이밍 성능과 어느 정도 연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nm 공정의 GCD는 공정 개선과 새로운 설계를 바탕으로 기존 대비 ㎟ 당 165% 많은 트랜지스터를 탑재했습니다. 또한 듀얼 이슈 스트림 프로세서와 AI 액셀러레이터, 2세대 레이 트레이싱 액셀러레이터가 탑재되어 그동안 라데온 제품군이 약세를 면치 못했던 레이트레이싱에서 CU 당 최대 50%의 성능 향상을 보여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물론 여느 제조사 발표와 마찬가지로 위 자료의 수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추후에 퀘이사존 벤치마크를 통해서 실제 게임 성능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동안 그래픽카드의 게이밍 성능은 세대를 거듭하며 비약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은 아니더라도 고해상도 영역에서도 뛰어난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고성능 VGA를 사용할 때 현재의 디스플레이 포트 1.4에서는 제대로 된 프레임을 뿌려줄 수 없는 한계에 봉착하게 될 것입니다. 아직 라데온 RX 7900 XTX가 모든 게임에서 그런 성능을 보여주지 않더라도 경쟁사보다 먼저 차세대 규격을 도입하며 업계를 선도하는 것은 칭찬받아 마땅합니다.
RX 7900 시리즈는 업계 최초로 UHBR 13.5 규격을 충족하는 디스플레이 포트 2.1을 탑재하여 최대 54 Gbps의 대역폭을 제공하며 4K 해상도에서 480 Hz, 8K 해상도에서 165 Hz를 지원합니다. 또한 듀얼 미디어 엔진을 통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AV1 인코딩과 디코딩을 최대 8K 60 fps까지 지원합니다.
RDNA 3는 셰이더 클록과 프론트 엔드 클록을 다르게 설정한 디커플드 클록을 적용했는데요. 이를 통해 최대 25%의 전력 감소 효과를 내고 프론트 엔드 클록은 15% 향상된 2.5 GHz의 클록 스피드를 지녔습니다.
종합적으로 RDNA 3는 15% 더 높은 클록과 54% 더 높은 와트당 성능, 최대 2.7배에 달하는 대역폭 그리고 RDNA 2의 23 TFLOPS 대비 61 TFLOPS로 크게 향상된 연산 성능, 4K 이상의 게임밍을 위한 디스플레이포트 2.1 지원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AMD는 라데온 6000 시리즈의 플래그십 제품인 RX 6950 XT와 RX 7900 XTX의 4K 게이밍 성능을 비교하였는데요.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2, 와치독: 리전, 바이오하자드 빌리지, 메트로 엑소더스에서 1.5배, 둠 이터널에서 1.6배, 사이버펑크 2077에서 최대 1.7배에 달하는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분명 뛰어난 성능 향상임은 분명한데요. 개발사의 발표 자료는 참고하시되 추후 벤치마크를 꼭 확인하시고, 지난 RX 6000 시리즈가 4K 해상도에서 성능 하락이 다소 크게 다가왔었기 때문에 이번 RDNA 3 제품군에서는 그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보시는 것도 벤치마크를 보는 관전 포인트 중 하나일 것입니다.
이번 발표에서 가장 많은 분이 기대하는 RX 7900 XTX는 96개의 CU, 2.3 GHz의 게임 클록, 24 GB 용량의 384-bit GDDR6 메모리, 디스플레이포트 2.1, AV1 인코드/디코드, 355W의 TBP를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생 격인 라데온 RX 7900 XT는 84개의 CU, 2GHz의 게임 클록, 20 GB 용량의 320-bit GDDR6 메모리, 디스플레이포트 2.1, AV1 인코드/디코드, 300W의 TBP가 특징입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경쟁사의 플래그십 제품인 RTX 4090은 그 거대한 크기로 인해 일반적인 케이스 사용자라면 케이스를 교체하고 다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됩니다. 또한 표기 방법에 차이가 있어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는 없으나 RTX 4090은 450W의 TGP로 인해 850W, 혹은 1000W 이상의 고용량 파워 서플라이를 필요로 하는데요. 이로 인해 케이스뿐만 아니라 파워 서플라이의 추가 구입이 필요하기도 했던 만큼 RX 7900 XTX의 355W와 RX 7900 XT의 300W의 TBP는 상대적으로 준수한 편이며, 287 mm의 길이는 일반적인 ATX 케이스에 충분히 장착 가능한 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AMD가 RDNA 2 대비 최대 54% 뛰어난 전성비를 내세우고 있는 만큼 어느 정도의 전력 효율을 보일지 역시 추후 벤치마크를 재밌게 살펴보는 재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라데온 RX 7000 시리즈에 탑재된 디스플레이포트 2.1로 인해 1440p 해상도에서 900 Hz, 4K 해상도에서 480 Hz, 8K 해상도에서 165 Hz를 지원합니다. 디스플레이포트 2.1은 차세대 규격인 만큼 아직 시중에 이를 탑재한 모니터가 없는 상태인데요. 삼성, LG, 델, 에이수스, 에이서에서 2023년 초에 공개할 예정입니다. 시기상 2023년 CES에서 많은 제품 소식을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초의 8K 울트라 와이드 모니터로 출시하는 삼성 오디세이 Neo G9. 울트라 와이드라서 온전한 8K는 아니...
그래픽 품질 저하는 줄이고 더 높은 프레임을 구현하는 기술인 FSR(FidelityFX Super Resolution)은 NVIDIA의 DLSS에 대응하는 기술인데요. 라데온 및 타 GPU, 크로스 플랫폼이며 오픈 소스다 보니 지원하는 게임 수가 빠르게 증가하여 현재 216개의 게임에서 FSR을 활용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e스포츠가 활성화되어 있는 에이펙스 레전드, 오버워치 2, 발로란트의 경우 라데온 RX 7900 XTX는 1440p 해상도(QHD)에서 각 게임이 지원하는 최고 프레임의 한계까지 프레임을 뽑아주며 쾌적한 플레이를 제공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 3 게임은 4K 해상도에서도 높은 프레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데요. 그 외로 히트맨 3, 콜 오브 듀티: 모던워페어 2, F1 22는 FSR을 활성화하여 275 fps를 넘어서는 성능을 자랑합니다. 하지만 기존의 디스플레이포트 1.4에서는 대역폭의 한계로 240 Hz까지 지원하기 때문에 240 fps를 넘을 수 없는데요. RX 7900 XTX는 디스플레이포트 2.1을 지원하기 때문에 그 이상의 프레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죠. 반대로 생각하면 현재 괴물 같은 성능을 자랑하는 RTX 4090의 성능이 더 뛰어나더라도 디스플레이포트 1.4의 한계로 일부 게임에서 RX 7900 XTX보다 낮은 성능을 보여줄 수밖에 없게 됩니다.
앞서와 마찬가지로 8K 울트라 와이드와 8K 해상도에서 역시 디스플레이포트 1.4는 최대 주사율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더 높은 프레임을 이끌어 낼 수 없게 됩니다.
지난 RX 6950 XT의 경우 4K 해상도에서 레이트레이싱을 켤 경우 급격한 성능 저하로 인해 FSR을 활성화하더라도 60 fps를 밑돌았는데요. RX 7900 XTX는 드디어 60 fps를 넘어서는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하드웨어 마니아는 예외일 수 있지만, 많은 분이 고성능 그래픽카드를 구입하는 이유는 바로 게임을 보다 쾌적하게 즐기기 위해서입니다. 고성능 그래픽카드가 더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것은 당연한데요. 단지 그래픽카드의 성능뿐만 아니라 게임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더 높은 성능을 이끌어내기도 합니다. AMD는 데드 스페이스의 정신적 후속작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칼리스토 프로토콜' 및 파이널판타지 15 제작진이 야심 차게 준비한 '포스포큰'과 테크니컬 파트너십을 맺어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 게임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줄 수 있겠죠?
AMD는 특정 게임에 대한 협력 이외에도 유비소프트의 스노우드롭 엔진과도 테크니컬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데요. 이 엔진이 사용된 대표작으로는 디비전 시리즈가 있으며, 현재 개발 중인 스플린터 셀 리메이크와 아바타: 프론티어 오브 판도라 같은 AAA급 타이틀 역시 스노우드롭 엔진으로 개발 중입니다.
물론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게임 엔진 중 하나인 언리얼 엔진 5 역시 최적화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앞서와 다르게 테크니컬 파트너십 관계가 아니라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엔진인 만큼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여기시는 것이 좋습니다.
NVIDIA가 DLSS 3을 공개해서일까요? 예상하지 못했던 소식도 접할 수 있었는데요. 게임을 위한 플루이드 모션 기술을 활용하여 DLSS 3처럼 프레임 보간 기술이 적용된 FSR 3.0을 공개했습니다. 2023년에 선보일 예정이며 기존 FSR 2.0 대비 최대 2배의 프레임 향상이 가능하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정리하면 AMD는 RDNA 3 아키텍처가 적용된 RX 7900 XTX | XT 제품을 가장 진보한 그래픽카드라고 자평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대비 낮은 355W의 TBP와 2.5 슬롯, 짧은 길이로 인해 업그레이드가 쉽고 차세대 규격인 디스플레이포트 2.1을 도입하여 8K 165 Hz 등 고해상도에서도 높은 주사율을 제공하며 24 GB의 넉넉한 메모리로 게임뿐만 아니라 메모리를 많이 활용하는 작업에서도 강점이 있음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2023년 1분기에 출시 예정인 AMD HYPR-RX는 원 클릭으로 프레임을 높이고 레이턴시를 줄여주는 기술입니다. 다잉 라이트 2 등에서 지연 시간을 1/3 수준으로 줄이고 최대 85%의 프레임 향상을 보여준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를 위한 AV1 인코드 액셀러레이터가 탑재된 RDNA 3 미디어 엔진은 FFmpeg의 8K 트랜스코딩에서 최대 7배까지 빨라진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라이젠과 라데온을 사용하여 4K 멀티스트림 트랜스코딩 속도가 30% 증가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무엇보다 민감한 것는 바로 가격인데요. 라데온 RX 7900 XTX는 경쟁 제품이라 여겨지는 RTX 4080 보다 무려 $200 저렴한 $999라는 파격적인 정가를 공개하여 행사장에서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다만 RX 7900 XT는 $899의 가격으로 인해 RX 7900 XTX 제품의 그늘에 가리는 모양새였습니다. 이 제품들은 2022년 12월 13일, 국내 기준으로 12월 14일경 출시 예정이며, RX 7900 XTX와 RX 7900 XT의 자세한 성능은 이 때 공개될 퀘이사존 벤치마크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라데온 RX 7900 XTX 레퍼런스 외형
RX 7900 XTX ref. 전면입니다. 2줄의 LED가 점등되며 상당히 깔끔한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측면 방열판은 라데온의 키 컬러라고 할 수 있는 블랙 + 레드로 도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디테일한 마감은 꽤 인상적입니다.
최근 지포스 RTX 4090의 전원 케이블 이슈가 뜨거운 감자인데요. RX 7900 XTX는 8핀 전원 커넥터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백패널
DP 2.1 포트를 비롯해 USB 타입 C, HDMI 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 8K 디스플레이도 현장에서 미리 엿볼 수 있었습니다. 조만간 만나볼 수 있겠죠?
그런데!!! RX 7900 XT는 전면 LED가 없...
$100에 성능 차이와 LED 미탑재라면 레퍼런스 모델 구입 희망자는 RX 7900 XTX로 몰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GCD와 6개의 MCD를 볼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칩렛 디자인 GPU, Navi 31
이제 Q&A 등 다음 세션 참여 예정인데요. 아직 더 많은 내용은 공유 받지 못했거니와 공유 받더라도 이후 내용은 엠바고로 묶여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해드리지 못해 아쉽습니다. RX 7900 XTX | XT의 키노트와 레퍼런스 제품이 궁금했던 여러분께 작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999, 라데온 RX 7900 XTX 24GB ㄷㄷㄷㅈ!!
댓글: 76개
4K가 신세계라고 불리는 이유
구형 FHD가 최신 4K로 바뀌는 매직!
이노스 IoT 501 스마트 홈 IP 카메라
우리 집 재산을 책임질 작고 귀여운 카메라
ASUS 브랜드와 화이트 컬러로 '깔맞춤' 하자!
ASUS 부품으로 만드는 화이트 시스템은 어떤 느낌일까?
Seagate Star Wars Special Edition FireCuda HDD 데이터복구 (2TB)
오랜 옛날에, 머나먼 은하계에서는....
Audeze Penrose 게이밍 헤드셋 측정 리포트
지금 시점에도 매력적인 Penrose 헤드셋 측정을 진행해 봤습니다
GIGABYTE Z790 UD 제이씨현
오버는 하고 싶은데 주머니가 가볍다
ALSEYE M120D PLUS - Single Tower Air Cooler
온도가 표시되는 공랭 쿨러
카멜마운트 고든 디자인 GDA2DS
독특한 소재로 분위기 상승! 디자인 모니터 암
ASRock Z790 Pro RS D5
ASRock 메인스트림은 역시 Pro
잘만 ZM-HPS610 게이밍 헤드셋
USB로 부가 기능을, 3.5 mm로 호환성을 챙겼다
애즈락과 소닉의 컬래버? ASRock B760M 스틸레전드, 그리고 PG SONIC
스틸레전드에 소닉 컬래버레이션?
삼성전자 오디세이 G5 S32CG510 동명에스앤디
커브드를 싫어하는 당신, 평면 VA 게이밍 모니터는 어떠한가?
[CES 2023] Ryzen 7000X3D로 시작하는 AMD의 2023년
CES 2023 행사를 통해 보는 AMD의 신제품
[CES 2023] NVIDIA가 준비하는 2023년
CES 2023 행사를 통해 보는 NVIDIA의 신제품
마이크로닉스, 2023년을 이끌 대표 파워서플라이 라인업
대표 모델 CLASSIC II로 시작하여, ASTRO II GD까지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업무와 게임을 놓칠 수 없다면?
4K가 신세계라고 불리는 이유가 있다
LG의 다 차려진 OLED 밥상
단독) 국내에 없는 화이트 스트릭스 PC
우주선을 연상시키는 풀 타워형 PC 케이스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