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이슈가 있긴 했지만, 12VHPWR 케이블 자체는 꽤 편리한 편입니다. 8핀 케이블을 여러 개 연결하는 것보다는 아무래도 12VHPWR 케이블 하나만 연결하는게 낫습니다. 다만 12VHPWR 케이블은 기존 8핀 케이블보다 아무래도 두꺼울 수 밖에 없어, 그래픽카드 설치 시 다소 강하게 구부려질 수 밖에 없었습니다. 8핀 변환 젠더를 써도 상황이 크게 달라지진 않지요.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몇몇 제조사에서는 ㄱ자 커넥터, 또는 L자 커넥터를 적용한 12VHPWR 케이블을 출시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기가바이트 역시 고민을 했었던 것 같습니다. RTX 4080이나 RTX 4090 비레퍼런스 모델들은 PCB 길이가 대개 쿨링 설루션의 2/3 또는 절반 수준이기 때문에 다소 비는 공간이 있었습니다. 그렇다고 쿨링 설루션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없는 상태에서 기가바이트는, 핀 블레이드와 백플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잘라낸 뒤 12VHPWR 전원 단자를 배치하여 케이블을 크게 구부리지 않아도 되게끔 설계하였습니다. 이는 케이블에 가해지던 부담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일부를 가려주어 좀 더 깔끔한 시스템 구성이 연출된다는 장점도 제공하는데요. 상당히 매력적인 특징을 갖춘 GIGABYTE 지포스 RTX 4080 WINDFORCE D6X 16GB 제이씨현 그래픽카드를 지금 살펴보시죠.
※ 퀘이사 리포트는 자세한 분석과 성능 측정이 이뤄지는 퀘이사 칼럼과 달리 특징과 기능을 중심으로 제품을 빠르고 가볍게 훑어보는 콘텐츠입니다. 이 점 고려해 아래 내용을 이어가시길 바랍니다.

▼ 제품 상세 스펙(눌러서 펼치기)

상자 & 구성품 BOX & COMPONENTS



[구성품] ANTI-SAG 브래킷 설치 가이드, 퀵 가이드 문서, 8핀 3개 변환 젠더, ANTI-SAG 브래킷
제품 외형 & 특징 PRODUCT DESIGN & FEATURE






[브래킷 제외 실측 크기] 길이 329 mm, 너비 135 mm, 두께 55 mm
전면 하우징과 쿨링팬에 검정색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금속 백플레이트에 짙은 회색이 적용되어 견고한 느낌을 줍니다. 쿨링팬 중앙에 기가바이트 로고가 있고 원형 헤어라인 무늬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핀 블레이드와 금속 백플레이트의 일부분이 안쪽으로 파여 있어, 전원 케이블 연결 시 크게 구부릴 필요가 없고 깔끔한 정리가 가능합니다.



[보조 전원] 16핀 1개(8핀 3개 변환 젠더 제공)
[듀얼 BIOS 스위치] OC, SILENT
[출력 포트] DisplayPort 1.4 3개, HDMI 2.1 1개
백플레이트 중간 영역에 듀얼 바이오스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바이오스(OC/SILENT)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DisplayPort 1.4 포트 3개, HDMI 2.1 포트 1개가 지원됩니다.
분해 TEARDOWN



[쿨링팬] 100 mm 3개
[히트싱크 방식] GPU, 전원부, 메모리 일체형
[히트파이프] 6 mm 7개



[전원부] 17 페이즈
[전원부 모스펫] Alpha & Omega AOZ5311NQI 55 A Dr.MOS
그래픽카드 성능 테스트 VGA BENCHMARK


[부스트 클록] 2,505 MHz (RTX 4080 레퍼런스 부스트 클록 2,505 MHz)
[TGP] 320 W (RTX 4080 레퍼런스 TGP 320 W)

[부스트 클록] 2,505 MHz (RTX 4080 레퍼런스 부스트 클록 2,505 MHz)
[TGP] 320 W (RTX 4080 레퍼런스 TGP 320 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