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291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삼성전자 갤럭시 버즈 FE 블루투스 이어폰
    68,990 원
  • 로켓배송 삼성전자 갤럭시 버즈 FE 블루투스 이어폰
    68,990 원
  • 로켓배송 종근당 철분 엽산 비타민D 플러스
    20,170 원
  • 삼성전자 갤럭시탭S9 FE 플러스 128/256GB 태블릿PC
    589,000 원
  • 로켓배송 비타할로 철분
    12,490 원
  • 로켓배송 신지모루 풀커버 강화유리 액정보호필름 2p
    14,95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02-09

    가성비로 유명한 종합비타민 라이프 익스텐션 투퍼데이 특가가 나왔습니다.우주패스 장바구니 쿠폰 적용 시 1만원도 안합니다!!전 2통 구매했습니다 ㅎㅎ

  • 퀘이사존

    2022-02-03

    [SIFE] 커스텀 이어플러그 딥슬립(46%↓) [SIFE] 커스텀 이어플러그 데일리(30%↓) [SIFE] 커스텀 이어플러그 딥슬립/데일리 세트(40%↓) 📌혜택2

  • 퀘이사존

    2022-02-02

    트윗의 내용에 따르면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의 자회사이자 제니맥스 미디어(베데스다 소프트웍스) 산하 개발사인 이드 소프트웨어가 게임 제작 31주년에 대한 축하 트윗을 공개하였다고 합니다. "이드 소프트웨어에서 게임을 만든지 31주년을 축하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수년간 열정과 영감을 준 놀라운 플레이어 커뮤니티에 감사드립니다. 우리 스튜디오에서 모은 재능과 우리가 앞으로 가지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이보다 더 흥분할 수 없습니다." 이 트윗에 내용에 대해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CEO인 마이크 이바라가 이에 대한 트윗을 공개하였습니다."이드 소프트웨어는 확실하게 대학생 시절이었던 저에게 게이밍으로 큰 영향을 끼쳤고, 계속 발전할 개발사입니다. 31주년을 축하드리며, 오랫동안 즐거움을 줘서 고맙습니다. 또 다른 31주년을 위하여!"

  • 퀘이사존

    2022-01-27

    https://m.qoo10.com/gmkt.inc/Mobile/Goods/Goods.aspx?goodscode=697430453&banner_no=185296현재 그린과 핑크가 남은 상태입니다.삼성 15%할인 쿠폰 받으시고 적용하시면 507,380원이 나오고Q코인 환산시 381.33Q가 나옵니다.390Q = 467,090원이고381.33/390 = 0.97776923080.9777692308×467,090=456,706.23원입니다.만약 하나카드 경유하셔서  Q코인 구매시 10% 페이백 더 받으시면(최대 3만원)426,706.23원 정도 나올겁니다. 큐텐이 만약 원화 결재시 이중환전을 적용한다면 Q코인 구매할 때 달러로 계산시 좀 더 떨어지겠네요.혹시나 그럴 일은 없겠지만 수익링크면 말해주세요. 수정할게요.

  • 퀘이사존

    2022-01-22

    2022년 1월 18일, 마이크로소프트의 액티비전 블리자드 인수 발표에 대해서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 전문 포커싱 트위터인 클로브릴이 제작한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의 퍼스트 파티 개발자 조직 전체 인포그래픽이 올라왔습니다. [엑스박스 게임 스튜디오 + 제니맥스 미디어(베데스다 소프트웍스) + 액티비전 블리자드(액티비전 퍼블리싱 +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 킹)]

  • 퀘이사존

    2022-01-20

    만 65세이상만 가입할 수 있는 요금제입니다, 요금대비 데이터 제공량, 통화/문자 제공도 꽤나 널널한편이고 월 요금 대비 사은품도 꽤나 좋은거 같습니다. 부모님 연세가 만 65세가 넘으셨다면 충분히 추천드릴만 할 것 같습니다. 각 통신사 별 시니어 분들 요금을 살펴보니 KT 22,000원/선약 16,500원 데이터 500MB, 영상통화 100분, 국내 음성통화 30% 할인(2만원 내 조절사용) SKT 19,800원/선약 14,850원 데이터 400MB, SKT 고객간 통화 무제한, 문자 무제한LG 16,500원/선약 12,375원 데이터 300MB, 통화 70분, 문자 100건 이 정도로 저렴한 시니어 요금제는 뭔가 사용하기 애매모호한 그런 느낌입니다. 안그래도 요즘 어른들 유튜브나 동영상 등 자주 보시는데 자칫하다가 과금되기도 싶고요. 스카이라이프 알뜰폰 찾아보니 14,900원 데이터 8GB(소진시 1mbps 무제한) , 통화/문자 무제한 10,900원 데이터 4GB(소진시 1mbps 무제한). 통화 문자 무제한 정도면 이용 할 수 있네요. 위에 말씀드린 요금제 2개가 동영상시청이나 데이터 사용이 조금 있으신 분들께 괜찮은거 같고 7,400원 데이터 2GB(소진시 400Kbps 무제한), 통화/문자 무제한 4,900원 데이터 500MB(소진시 400Kbps 무제한), 통화/문자 각 300분 300건 입니다. 사용습관에 따라서 요금제를 정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린 4개의 요금제 중 위에 2개 요금제는 신세계 상품권 4만원, GS25 1천원 아래 2개 요금제는 신세계 상품권 2만원, GS25 1천원 사은품을 준다고 합니다. 1/31일 이전 개통 후 2월말까지 유지하면 사은품 지급된다고 하네요

  • 퀘이사존

    2022-01-19

    SharewareOnSale에서 비트디펜더 독일페이지를 통해 180일 간 5개 장치에서 무료로 사용 할 수 있게 배포중입니다.

  • 퀘이사존

    2022-01-18

    안녕하세요, 레이볼트 입니다.  오늘은 제가 정말 사랑하는 브랜드죠! 써멀라이트의 동착적인 아이디어와 쿨링 아이덴티티가 담긴 패키지! TR-GCSF PLUS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써멀라이트 TL-9015B 쿨링팬 패키지의 리뷰입니다.써멀라이트는 쿨러 명가인데 왠 쌩뚱맞은 지지대냐구요?? 이번 리뷰의 결과에서 이 제품이 탄생한 이유를 한번 확인해 보시죠!오늘 리뷰의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목차1. 패키지 구성 2. 설치 / 호환성 검토 3. 지지대 / 쿨링 효과는? 4. ARGB 튜닝 5. 총평 1. 패키지 구성 제가 추천하는 이번 패키지의 구성은 Thermalright TR-GCSF PLUS ARGB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그에 장착이 가능한 써멀라이트 TL-9015B 92밀리 쿨링팬 두개의 구성입니다. 먼저 만나볼 그래픽카드 지지대는 최근 써멀라이트의 패키징과 유사하게 화려한 프린팅이 되어있습니다.  패키지 각 면에는 지지대의 사용 예시와 간단한 스펙이 명시되어있습니다.지지대의 효과 이외에도 ARGB LED, 팬 장착 기능 등 주요 특징이 프린팅 되어 있네요.  패키지를 개봉 해 보면 이렇게 완충제에 싸인 검정색상의 지지대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지지대는 정면에서 보면 이런 모습입니다. 깔끔한 블랙 색상에 반투명 LED와 써멀라이트 로고가 디자인 포인트가 되겠네요.보통 시중의 지지대가 케이스 하부에 자석식으로 고정하고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방식을 택하는데 비해 써멀라이트의 제품은 좌우로 길고 PCI 슬롯을 사용해 장착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케이스 강화유리로 노출되는 전면은 무광 플라스틱 소재이고 후면은 금속으로 된 견고한 프레임이네요. 뒷면의 프레임에는 최대 92mm, 두께 25mm 규계의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이 있습니다. 22년 1월 현시점에서 시중에 판매중인 그래픽카드 지지대 중 쿨링팬의 장착이 가능한 제품은 오늘 소개드리는 Thermalright TR-GCSF PLUS ARGB가 유일합니다. 뒷면의 프레임에는 최대 92mm, 두께 25mm 규계의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라켓이 있습니다. 22년 1월 현시점에서 시중에 판매중인 그래픽카드 지지대 중 쿨링팬의 장착이 가능한 제품은 오늘 소개드리는 Thermalright TR-GCSF PLUS ARGB가 유일합니다. 최대 두개의 쿨링팬을 장착할 경우 팬간 결합을 위한 추가 구성품도 두개 포함되어있네요. 지지대 끝쪽에는 이렇게 지지 구조물의 위치를 조정하는 길다란 홀이 가공되어있습니다. 이곳에 이 구조물을 결합하여 지지 높이와 지지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해 두었네요. LED부분은 길다란 바 형태와 함께 게이지와 유사한 디자인을 적용했네요. 후에 LED 점등 후 더 자세한 모습을 영상으로 확인해 보죠. 5V ARGB 연동은 제품에있는 3Pin 커넥터로 제어할 수 있으며 점퍼 케이블이 제공되어 커넥터의 수를 보전할 수 있습니다. 본체 외 별도 구성품을 살펴보면 지지대를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핸드스크류 볼트/너트 세 세트와 깊이 조절용 고무패드 두개, 그리고 쿨링팬 장착시 쓸 나사 12개가 동봉되어있습니다. 이어서 살펴볼 패키지는 써멀라이트의 TL-B9015B 쿨링팬 입니다.블랙 색상의 92mm, 두께 15mm의 슬림 팬 인데요, 아무래도 장착 방식이 PCI슬롯을 사용하다 보니 타 제품들과의 간섭을 줄이기엔 이처럼 슬림한 쿨링팬이 딱 제격이겠죠? 서린씨앤아이 유통 제품은 꼭 정식 홀로그램 마크가 있습니다. 구매하실때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죠? 쿨링팬은 작고 가볍습니다. 올 블랙의 디자인에 9개의 얇은 블레이드가 달린 팬이죠. 유량 42.58 CFM 풍압 1.33 mmH2O, 소음 22.4DBA를 자랑하는 팬으로 왠만치 저렴한 120mm 쿨링팬 수준의 성능이라 할 수 있는 작지만 강한 쿨링팬 입니다. 21년 6월 출시되었으며 그레이, 화이트, 블랙, 레드 총 4가지 모델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선택지까지 다양한 점이 또 다른 장점이네요. PWM제어가 가능하기에 메인보드에 연결하거나 ASUS의 하이엔드급 그래픽 카드들에서 보았듯 그래픽 카드의 PWM 팬 단자와 연결하면 보다 효과적인 쿨링 제어가 가능한 제품입니다. 구성품으로는 특이하게 장 나사 4개와 너트가 제공됩니다. 샌드위치 구성에 딱 좋을것 같은 악세사리네요. 이 외에도 일반적인 나사와 진동 방지 및 외관을 위한 실리콘 패드가 동봉되어 있습니다.자 그럼 이제 조립을 하러 가 볼까요 ? 2. 설치 / 호환성 검토 패키지를 본격적으로 설치하기에 앞서, 쿨링팬을 적용하려한다면 당연히 팬과 지지대를 결합해 주는게 우선입니다. 팬의 결합은 취향껏 하시면 되는데, 기본적으로 그래픽카드 지지대에 제공되는 나사산이 있는 볼트를 사용하셔도 무방하며 TL-B9015B 쿨링팬에 들어있는 장 나사를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지지대쪽에 총 4개의 볼트를, 지지대 반대편에는 기호에 따라 추가 브라켓을 장착해 주시면 되겠습니다.92mm 팬을 결합하고 나니 제품의 깊이가 약 105mm정도 되는데 사용자의 메인보드, 케이스, SSD 방열판이나 그래픽카드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약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간섭이 있다면 우선 팬 중간에 부착하는 브라켓을 제거해 주는게 좋겠네요. 92mm 팬은 가볍기 때문에 한쪽만 지지하더라도 충분히 안정감을 갖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장 나사와 너트를 사용하면 이처럼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팬의 프레임에 손상이 적기때문에 저는 이런 방식의 장착을 더 선호하게 되더라구요. 이번 패키지의 본연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그래픽 카드를 지지하는 것이죠?? 하지만 그 그래픽 카드의 구조와 두께, 깊이가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에 특성에 따라서 지지대의 설치 위치를 조정해 주어야 합니다.오늘 소개드리는 써멀라이트 지지대에서는 위 사진에서 보이는 고무 재질의 범퍼를 사용해 그 장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범퍼는 약 6mm정도의 두께로 두개가 제공되는데 본 그래픽 카드 지지대를 고려하는 분들이시라면 참고하실 부분은 아래 이미지를 통해 설명드릴게요. 좌측의 그래픽 카드는 미들레인지급 그래픽카드로 직경이 큰 2팬이 적용된 제품이라 깊이가 13.5cm로 꽤나 깊은 편입니다. 우측의 그래픽 카드는 하이엔드급 그래픽카드로 직경이 작은 3개의 팬이 적용된 제품이라 깊이가 오히려 낮은 급의 그래픽카드보다 얕은 12.7cm이죠.쉽게 설명드리자면 사용자의 그래픽카드가 3팬 제품인지 2팬 제품인지에 따라 깊이가 결정된다고 볼 수 있는데, 지지대의 설치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방식이 이 고무 범퍼 두개이다 보니 깊이가 깊은 2팬 그래픽카드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아쉬움이 남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상황은 조립 후 이미지를 통해 설명드릴게요. 케이스에 장착할 땐 PCI 슬롯 3개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 아래부분 3곳의 볼트를 제거해 주고 다음과 같이 준비를 한 후에 장착을 시작합니다. 범퍼에는 양면테이프가 이미 부착되어있어서 쉽게 제품 또는 PCI 슬롯 커버에 부착하여 조립 작업 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장착이 완료된 모습을 보면 오른쪽과 같이 마무리 됩니다. 케이스마다 차이가 있지만 제가 사용중인 Antec DF700 같은 경우는 PCI 슬롯 커버가 있는 타입이라 장착 시 커버를 통과해야하는 난이도가 살짝 증가하긴 합니다.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견고하게, 흔들림이나 처짐 없이 강하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3. 지지대 / 쿨링 효과는? 지지대를 결합 후 그래픽카드를 본격적으로 지지하기 전에 장착 전 모습을 확인해 보도록 할까요? 제가 테스트에 사용한 그래픽카드는 미들레인지급, 2팬이 적용된 라데온 5600XT 제품입니다. 깊이가 135mm로 전형적인 2팬 그래픽카드의 형태라고 할 수 있는데요. 미들레인지급 그래픽카드임에도, 지지대가 없으면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그래픽카드 자체 무게때문에 처짐이 있습니다.. 메인보드의 PCI 슬롯이 견고하고 지지력이 강한 제품이라 하더라도 카드가 크고 무거울 수록 이러한 처짐은 심해지게 마련이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더러 제품에도 당연히 좋을리가 없겠죠?? 그래서 오늘의 패키지, 써멀라이트 그래픽카드 지지대를 사용해 지지를 완료한 모습입니다. 지지대 설치 전 (좌) / 지지대 적용 후 (우) 확실하게 지지대 사용 전 후가 비교되시나요 ?? 그래픽카드의 기울임을 확실하게 잡아주는 모습을 위에 올려둔 수평계를 통해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앞선 설치/호환성에서 설명드렸던 대로 2팬이 적용되어 깊이가 깊은 그래픽카드이다 보니 지지점이 그래픽카드의 모서리 부분이 아니라 1.5cm정도 안으로 들어가 위치하게 됩니다. 제 경우에는 하우징에 지지점을 잡아줄 수 있었지만, 사용자의 그래픽카드 크기와 구조에 따라서 그래픽카드의 쿨링팬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겠네요. 그런 경우라면 그래픽카드의 중앙부와 같이 간섭이 없는 지지 위치를 찾아 지지용 구조물을 설정해 주어야 겠습니다. 지지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보통 하이엔드급일 경우가 많으니 3팬 그래픽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면 무리 없이 적용 가능하실것 같습니다. 다음은 그래픽카드 쿨링 서포트 성능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이번 패키지에 포함된 92mm 팬은 최대 2700RPM으로 동작하며 PWM을 지원하기에 메인보드 또는 별도 컨트롤러를 통해 그래픽카드의 온도에 따라 제어가 가능한데요, ASUS의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사용하면 아예 0 RPM으로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트렌드인 제로팬 기능과 유사한데요. 좌측의 이미지처럼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이미 낮아서 쿨링이 필요하지 않다면 정지시켜 둘 수도 있어서 좋았습니다. 아 참! 그리고 보통의 그래픽카드의 온도가 직접적으로 PWM제어와 연동되는 기능은 잘 제공되지 않는데, 우측 사진처럼 작년부터 출시되고 있는 ASUS의 상위 라인업, 하이엔드급 제품 (e.g., ASUS ROG STRIX 3080Ti 계열 등)에는 그래픽카드 온도와 직접적으로 연동이 가능한 PWM 단자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그래픽카드와 이번 써멀라이트 패키지의 조합이 가능하다면 ... 뭐 이건 완벽한 조합이 될 수 있다 할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쿨링 효과는 과연 어떨까요? 쿨링 성능에 대해서는 이번 써멀라이트 패키지 적용 전/후를 간단하게 비교하였으며, RPM의 경우 최대 RPM에서, 최대 부하에서의 가장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두가지 조건만을 비교했습니다. GPU 사용량 100%에서 10분간 구동하며 살펴본 데이터를 추출하여 평균과 최대 값을 비교해 보았는데요, 기본이 되는 GPU 코어 온도에서는 평균 3도의 감소 효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최대 온도의 경우 4도정도 감소 효과가 있네요.그래픽카드의 주요 부품 중 하나인 메모리 온도의 경우에도 평균 2.5도, 최대 온도의 경우 4도의 차이를 보여줍니다.이 정도라면 그래픽카드를 살짝 오버클러킹 해서 성능을 더 끌어올리더라도 충분히 쿨링을 통해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수준으로 게이밍 컴퓨터에 적용하면 딱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팬 소음의 경우 앞서 서술한 대로 0 RPM으로 설정하는 경우 소음도 0가 되며 최대 소음은 케이스에서 1m 이격된 위치에서 측정했을 때 39dBA로 일반적인 공랭이나 수랭식 쿨러들보다 조용한 수준이었습니다. VGA 온도와 직접적인 연동이 쉽지는 않겠지만 앞서 소개드렸던 ASUS 제품들과 연동시킨다면 정말 딱 필요한 경우에만 균형있게 사용할 수 있기에 소음은 전혀 우려할만한 대상이 아니었습니다.4. ARGB 효과 다음으로 알아본 내용은 이번 패키지의 또 다른 기능이죠! ARGB LED 튜닝 효과인데요, 지속되는 트렌드라고 할 수 있는 이 LED 튜닝 효과가 어떤지는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주요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ARGB 제어 SW와 동기화를 지원하기에 호환성에 걱정할 필요가 없고, 후에 소개드릴 Fractal Adjust 2 Controller와 같은 별도 컨트롤러를 통해서도 제어가 가능합니다.그래픽카드에 LED 효과가 없어서 아쉬웠던 분들이 이 영상을 보신다면, 이렇게 지지대를 통해 그 아쉬움을 달래보셔도 좋을 것 같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그래픽 지지효과 + 쿨링 효과에 튜닝 효과까지 더했으니 ..1타 3피 네요 ! 5. 총 평 이렇게 제가 너무나 좋아하는 써멀라이트의 신제품! 그래픽카드 지지대와 쿨링팬 패키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 리뷰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해 보자면 [제품의 장점] 제대로 된 지지력, 무거운 그래픽 카드를 든든하게 받쳐주는 구조 쿨링팬이 장착 되는 지지대! 하이엔드 그래픽 카드에 추가 쿨링을! 밋밋했던, 뭔가 아쉬웠던 내 PC에 ARGB LED를 추가! [추천 대상] 무거운 그래픽카드를 그냥 사용하고 계신 분들(2팬보다는 3팬이 더 적합) 그래픽 카드의 높은 온도가 걱정되는 분들 ARGB LED를 추가하고 싶은 분들 [추가 제품 관련 아이디어 제안] 장착 시 깊이 조절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구조물 / 악세사리 추가 쿨링팬용 PWM 데이지체인 케이블 추가 [본 리뷰 콘텐츠는 서린 서포터즈 4기 활동의 일환으로 서린씨앤아이를 통해 제공받은 제품을 어떠한 개입이나 제약없이 소개하였음을 밝힙니다.]

  • 퀘이사존

    2022-01-13

    TSMC는 여전히 1세대 3nm 공정으로 FinFET 공정을 사용하고 있어 올 하반기에 양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1-06

    데스크탑 Chrome용 확장 프로그램인 Avira Browser Safety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1.

  • 2022-01-04

    자세한 사항은 링크를 눌러주세요.

  • 퀘이사존

    2022-01-04

    (영어 영상) 삼성이 CES 2022에서 갤럭시 S21 FE를 공개했습니다. 1월 11일 출시, 시작가격은 699불입니다.

  • 퀘이사존

    2022-01-03

    출처 리더스시스템즈 공식블로그 https://blog.naver.com/leaderssystem/222608365040 지포스 3070FE 추가 물량 판매 소식(물량:100개

  • 퀘이사존

    2022-01-01

    12th Gen Intel® Core™ Series Processors support GIGABYTE Z690 UD D4 인텔 12세대가 출시된지 얼마 안됬는데도 불구하고 뛰어난 게이밍 성능을 제공한다는 테스트 결과들이 하드웨어 커뮤니티에 올라오기 시작하면서 12세대 견적을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고, 어떻게 오버클러킹을 해야하는지 물어보시는 분들도 많더군요. 아직 상위칩셋인 Z690칩셋을 사용한 Z보드 밖에 출시되지 않았고, 보드 뿐만 아니라 DDR4 메모리의 두배 가격에 달하는 DDR5 메모리를 사용한다는 부분이 하이엔드 유저들에게는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가성비 혹은 저렴한 라인을 원하는 분들에게는 진입장벽으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 오늘 소개드릴 기가바이트 Z690 UD DDR4 메인보드는 이전에도 계속 출시됬던 보급형 라인업에 붙는 Ultra Durable 시리즈로 현재 20만원 중반대의 비교적 저렴한 가격대와 제품이름에서 알수 있듯이 DDR4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가격이 부담스러웠던 유저분들에게는 좋은 선택지로 보이는데, 반대급부로 저렴하니 성능이 별로일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가격과 성능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는지 아래 리뷰에서 확인하시죠. ​ ​ ​ GIGABYTE Z690 UD D4 제품소개 ▲ Z690 UD DDR4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DDR4 메모리를 지원하는데, 만약 DDR5를 사용하고 싶다면 일반 Z690 UD라는 모델도 있습니다. 그만큼 이 제품을 나타내는 특징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다음으로 Ultra Durable이라는 컨셉에 맞게 무려 16+1+2 파워 페이즈가 적용되어있고, 그외에는 Z690칩셋이 지원하는 부분들을 탑제하였는데, 대표적으로 PCIe 5.0 x16 SMD 슬롯, 3개의 PCIe 4.0 x4 M.2 커넥터, USB 3.2 Gen2x2 타입 C, 그리고 2.5GbE 랜이 있습니다. ▲ 구성품은 상당히 단조로웠는데, 사용자 설명서와 SATA 케이블 2개 그리고 M.2나사들이 제공되었습니다. ▲ 혹시모를 재포장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구매후에는 필히 보드와 박스에 적힌 시리얼 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해주어야겠죠. ▲ PCB 색상은 짙은 고동색이며, 방열판 및 슬롯들은 검은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위에 전체적으로 흰색 삼각형과 사선 패턴으로 꾸며주었습니다. 슬롯들과 커넥터들의 위치가 일반적인 ATX 메인보드에서 흔히 사용되는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서 이질감은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한가지 언급하자면 저같이 컴퓨터를 가지고 노는걸 좋아하는 분들은 BIOS 초기화를 위해 동전 베터리를 빼는 경우가 많은데, 베터리가 칩셋 방열판 아래 위치하여 빼고 끼우기가 편리해 보였습니다. ▲ 고급스럽지는 않지만 일체형 I/O 쉴드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PS/2 포트가 눈에 띄는데, 사실 요즘에는 자주 쓰이지 않아서 좀 의아했습니다. 그외에도 다양한 USB 포트를 제공하고 있는데, 먼저 타입 A는 검정색의 USB 2.0(480Mbps)이 4개, 파란색의 USB 3.2 Gen1(5Gbps)이 4개, 붉은색의 USB 3.2 Gen2(10Gbps)가 1개로 총 7개가 있으며, 타입 C의 경우 USB 3.2 Gen2x2(20Gbps)를 지원합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이더넷은 2.5Gbps의 대역폭을 제공합니다. 내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HDMI와 DP포트를 사용하여 연결 할 수 있으니, 요즘 나오는 대부분의 모니터와 호환이 될거라 예상됩니다. ▲ 보급형인데도 불구하고 상당한 전원부 숫자에 놀랐습니다. 무려 16+1+2 60A 전원부가 제공되었는데, 지난 Z590 UD보드가 12+1 50A전원부를 제공했던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이번 12세대의 경우 드디어 14나노 공정에서 10나노 기반인 인텔 7 미세공정이 도입되었습니다. 처음 도입하는 만큼 아직 공정이 성숙되지 못한 상태에서 성능을 높히기 위해 전력을 늘리고, 그에 따라 전원부가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적으로 기가바이트의 상위 보드인 어로스 마스터의 경우 19+1+2 105A 전원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전원부 갯수가 많으면 유리한점은 CPU에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원부 갯수 만큼 나눠서 부담하기 때문에 그 만큼 전력으로 인한 발열이 적어지겠죠. 이렇게 발열제어가 되면 발열로 인한 성능저하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원부의 발열 해소 돕기위해 전원부 외에도 방열판이 좌측과 상단에 위치해 있는데, 보급형이라고 믿기지 않을만큼 커다란 모습입니다. ▲ Z690 UD DDR4는 최대 5333MHz 클럭까지 오버클럭이 가능하다고해서 찾아보니, 현재 5333MHz XMP를 공식 지원하는 제품이 5개나 있는걸로 나오네요. 모두 동일하게 HyniX D다이라는게 흥미롭습니다. 이정도면 사실 DDR5부럽지 않은 속도라고 할 수 있는데, 리스트상 3번째에 위치한 팀그룹 8GB x 2제품이 한화로 약 38만원정도로 나오네요. ▲ 일반적으로 그래픽카드를 설치하는 최상단 PCIe x16 슬롯을 살펴보면, UD 아머라고 불리는 메탈 프레임이 보입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무려 128GB/s의 대역폭을 지닌 PCIe 5.0을 지원한다는 점인데, PCIe 경우 규격만 맞다면 하위버전은 당연히 호환이 되기때문에 PCIe 1.0 디바이스건 최신 그래픽카드들이 사용하는 PCIe 4.0건 가리지 않고 호환됩니다. ▲ 위에서 언급한것과 같이 M.2 소켓은 3개 모두 PCie 4.0을 지원하고 있으며, SATA 6G/s의 경우 6개의 커넥터를 지원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사실 Z690칩셋은 최대 8개의 SATA 커넥터를 지원할 수 있는데, 이번 UD 보드의 경우 6개만 있습니다. 지난 세대와 달라진 점을 하나 언급하자면, 예전에는 하단 M.2를 활성화시키면 SATA 2개가 사용불가로 바뀌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제는 그러한 제약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참, M.2 써멀가드는 1개만 기본제공되고 있습니다. ​ ​ ​ GIGABYTE Z690 UD D4 인스톨 ▲ 보급형 Z690보드에 가장 어울리는 짝꿍이 아닐까 생각이드는 인텔 코어i5-12세대 12600K (엘더레이크)를 사용하여 테스트를 해보고자합니다. ▲ 이번 600번대 보드들부터 다시 소켓크기가 달라졌는데, 인텔 12세대 CPU는 FCLGA1700 소켓이 사용되었습니다. 당연히 이전세대들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 CPU삽입시 주의사항으로 소켓커버를 벗기지 않고 설치한다는 점 정도가 있겠습니다. 보드의 핀이 휘면 정상작동 안될 수 있으니 조심 또 조심하도록 합니다. ▲ 구매전 주의사항으로는 CPU보조전원이 12 pin이 필요하니, 파워 서플라이가 이를 지원하는지 필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 조립시 당황스러웠던 점은 기존에 갖고있던 쿨러와 브라켓 사이즈가 맞지 않아서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몇몇 제조사의 경우 LGA1700 키트를 별도로 무료제공 혹은 판매를 하고 있으니, 이부분도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 ​ GIGABYTE Z690 UD D4 BIOS & 오버클럭 ▲ 바이오스에 진입하면 기본적인 장치 상태에 대해서 알 수 있습니다. 가장 먼저 English 버튼을 눌러서, 한국사람인 만큼 한국어로 바꿔줘야겠죠? ▲ 요즘은 대부분의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CPU 없이 보드의 바이오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Q-FLASH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스마트 팬 6 시스템 뷰어를 통해 팬속도를 온도에 맞춰서 7단계로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그 기준점이되는 부품을 어떤걸로 할지도 정할 수 있습니다. 디폴트로 CPU가 선택되어 있고, 통상적으로도 CPU를 기준으로 합니다. ​ ​ ■ 메모리 오버클럭 ▲ F2를 눌러서 Advanced Mode와 Easy 모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국민오버라고 불리는 3200Mhz는 가뿐히 들어가고, 최근 제조된 메모리들은 3400~3600Mhz도 들어가니 높히 넣었다가 한단계식 낮춰보시길 바랍니다. ▲ 11세대와 동일하게 통합 메모리 컨트롤러는 메모리 컨트롤러 클럭과 메모리 클럭을 1:1로 설정하는 Gear 1 모드와 1:2로 설정할 수 있는 Gear 2모드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DDR4-3600을 기준으로 한다면 Gear 1모드에선 메모리 컨트롤러 클럭과 메모리 클럭이 1800Mhz로 동일하지만, 기어 2모드에서는 메모리 클럭은 1800Mhz지만, 메모리 컨트롤러 클럭은 그 절반인 900Mhz로 동작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Gear 1모드보다는 Gear 2모드에서 클럭을 높히는게 더 쉽지만 장단이 있습니다. ▲ 그 다음은 메모리 채널 타이밍을 조절해주는데, 국민오버의 타이밍인 16-18-18-36으로 설정해줍니다. ▲ 마지막을 디램 전압은 국민오버에 사용되는 1.35V를 줍니다. ▲ 추가적으로 4000Mhz 이상으로 오버클럭하시는 분들은 CPU 시스템 에이전트 전압을 만저주는것도 좋은데요. 사진과 같이 1.35까지는 필요없을 가능성이 높고, 통상 1.2~1.3 사이면 안정화가 될것 입니다. 이 기능은 메모리 컨트롤러의 전압을 높혀 메모리 오버클럭 안정성에 도움을 줍니다. ▲ 최종적으로 확인하면 시스템 메모리 클럭은 DDR4-3600, Gear 모드는 1, 타이밍은 16-18-18-36, 그리고 전압은 1.35V를 주면 되겠습니다. ​ ​ ■ CPU 오버클럭 ▲ 오늘 제가 사용한 12600K는 6개의 P코어와 4개의 E코어를 지니고 있고, 각각 배수를 넣어줘야합니다. P코어는 50~52배수, E코어는 37~40배수 정도가 무난한 수준입니다. ▲ 50/40 배수정도라면 전압은 1.24~1.30정도를 주면되는데, 당연히 낮출수 있다면 더 낮추면 좋겠죠. ▲ AVX 명령어 사용시에 CPU 배수를 낮추고 싶지 않다면, 0으로 설정하시면됩니다. ▲ CPU/VRM 세팅에 들어가서 CPU Vcore Loadline Calibration을 터보로 설정해주는것이 통상적으로 CPU 인가전압에 가장 근접한 칼전압을 유지해주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Extreme과 Ultra의 경우 오버클럭 안정화는 더 높아지지만 온도가 상승한다는 단점이 있으니 적당 수준에서 타협점을 찾아야합니다. ▲ 오버클럭 맛만 보시려면 제가 한 오버클럭처럼 P코어 50배수, E코어 40배수, 1.24V만 넣고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 ​ ​ GIGABYTE Z690 UD D4 마무리 오늘은 기가바이트의 Z690 UD D4 메인보드를 살펴보았습니다. 보급형 보드지만 인텔의 Z칩셋을 달고 나온 만큼 기본기에 충실했습니다. 16+1+2 페이즈 디지털 파워 디자인과 풀커버 전원부 방열판, 견고한 메탈 프레임이 적용된 PCIe 슬롯과 PCIe 5.0 x16지원, 3개의 M.2 PCie 4.0지원 및 히트싱크 1개 제공, 그리고 DDR4 XMP 메모리 최대 5333MHz 지원까지 보기만 해도 든든한 구성입니다. 하드웨어 설명만으로는 제품 리뷰가 심심할것 같아서 간략한 오버클럭 방법도 소개해드렸는데, 너무 어렵다는 분들에게는 Hybrid Cores Optimization 기술에 대해 설명드리며 마무리 짓겠습니다. 상단에 CPU업그레이드를 누르면 프리셋된 유저 시나리오가 나오는데, 게이밍 모드는 E코어를 모두 비활성화 시켜서 게이밍 성능에는 타격을 안주면서 약 20% 파워를 낮춰 5℃정도 CPU온도를 낮춥니다. 최대 성능 모드는 P코어와 E코어를 최대 성능으로 향상시키는 자동 오버클럭 기능을 합니다. 물론 그에 따른 발열은 있겠지만요. 이상으로 기가바이트 Z690 UD D4의 리뷰를 마칩니다. ​ 본 후기는 GIGABYTE코리아로부터 제품 대여 및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 퀘이사존

    2021-12-31

    갤탭 S7 fe입니다  회원가입하시고 쿠폰 받아서 결제하시면 됩니다 자금당장 필요하신분 구매하시면 될거같습니다 

  • 퀘이사존

    2021-12-29

    파운더스 에디션이라 저렴하진 않지만 감성을 찾으시는분들에겐 괜찮아보입니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