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텍앤'의 검색 결과 입니다. ( 950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에이수스 PRIME B660M-K D4 인텍앤컴퍼니
    146,000 원
  • [비앤티] 띠벽지 패널시트 몰딩 무늬목 몰딩시트지 부분보수시트 창문보수시트 현관문패널시트(10cm * 10M)
    12,900 원
  • 로켓배송 에이수스 PRIME H610M-K D4 인텍앤컴퍼니
    101,000 원
  • [비앤티] 띠벽지 패널시트몰딩 무늬목 몰딩시트 부분보수시트 창문보수시트 현관문패널시트(10cm*5M)
    7,900 원
  • 에이수스 인텔 CPU용 메인보드 PRIME H510M-K (인텍앤컴퍼니)
    101,500 원
  • 로켓배송 ASUS GT730 4H SL 2GD5
    150,00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04-21

    ▲ 자세한 제품 사진 보러 가기믿고 쓰는  TUF Gaming    군에서 사용하는 군용 제품은 일반 제품과는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신뢰도, 내구성과 안전에 심혈을 기울인다는 점입니다. 군 작전은 현장과 날씨를 가리지 않는데요. 산, 바다, 평원, 사막, 극지까지 어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내구성만큼은 일반 제품에 비해 뛰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 보니 당연히 군용에 디자인은 전혀 상관이 없어집니다. 오직 실용적인 이유로 설계되며, 외부 도색도 최대한 적에게 발각되지 않기 위한 위장 무늬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군용 제품만의 특징이 밀리터리 마니아에게는 멋지게 보이는 요소가 되죠.    PC 컴포넌트 브랜드 중에도 이러한 특징을 최대한 반영한 브랜드가 존재하는데, 바로 ASUS TUF Gaming입니다. TUF Gaming은 Sabertooth라는 브랜드에서 시작했습니다. Sabertooth는 군용 제품에도 쓸 수 있을 정도로 신뢰도가 높은 부품을 사용했고, 내구성이 뛰어남을 강조했는데요. 이러한 특징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브랜드 명칭은 바뀌었지만, 아직도 TUF Gaming 제품을 구매하면 구성품에 신뢰성이 높음을 인증하는 특별한 카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UF Gaming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이라고 할 수 있겠죠. 대신 RGB LED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ROG STRIX 그래픽카드 같은 제품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줍니다. 어두운 색, 금속 재질에 RGB LED 효과는 적게 사용해, 화려하진 않아도 중후한 멋이 있습니다.    현재 TUF Gaming 그래픽카드는 지포스 30 시리즈 그래픽카드에 이르러 앞서 언급한 특징들 덕분에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TUF Gaming 특유의 투박하면서도 중후한 디자인, 그리고 신뢰도까지. 말 그대로 군용 제품에서 찾을 수 있는 특징을 그대로 계승했다 할 법합니다. 이번 칼럼에서 살펴볼 TUF Gaming 그래픽카드는 NVIDIA의 새로운 최고 등급 GPU인 RTX 3090 Ti를 탑재했습니다. 신뢰도 높은 TUF Gaming 브랜드와 RTX 3090 Ti가 만난 그래픽카드는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디자인 방향성은 지금까지 살펴본 지포스 30 시리즈 TUF Gaming 그래픽카드와 다르지 않습니다. 대신, 450 W에 달하는 TGP를 냉각할 수 있도록 쿨링 설루션 크기가 커졌습니다. 지금까지의 TUF Gaming 그래픽카드는 90 mm 쿨링팬 3개를 사용했다면, 이번 RTX 3090 Ti에서는 100 mm 쿨링팬 3개를 사용했습니다. 100 mm 쿨링팬은 테두리에 가이드를 적용해서 바람의 직진성을 높여주는 Axial-tech 쿨링팬입니다. 또한, 거대해진 히트싱크를 착실히 지지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검은색 알루미늄 프레임을 갖췄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측면 TUF Gaming 로고에서 RGB LED 효과가 점등합니다. 기본 효과는 무지개이며, RGB LED 효과는 아래에서 설명할 Armoury Crate 소프트웨어에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브래킷을 제외하고 실측한 크기는 길이 325 mm, 너비 155 mm, 두께 3.2 슬롯입니다. 보조전원은 새롭게 바뀐 16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8+8+8핀을 16핀으로 변환해주는 케이블을 제공합니다. 출력 포트는 DisplayPort 1.4a 3개, HDMI 2.1 2개를 지원합니다. 최근 그래픽카드에는 기본적으로 DisplayPort 3개와 HDMI 1개만 제공해, HDMI가 더 필요한 사용자는 젠더 등 추가 장치를 사용해야 하는데요. 이 제품은 HDMI를 1개 더 제공해, 다중 디스플레이 환경을 좀 더 여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I/O 브래킷에는 산화에 강한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했습니다.    듀얼 BIOS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측면에는 BIOS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어, 왼쪽은 P(Performance) MODE, 오른쪽은 Q(Quiet) MODE입니다. 쿨링팬 RPM 설정만 달라지고 부스트 클록이나 전압 등 나머지 기본 설정은 모두 동일합니다.    GPU와 메모리, 전원부 일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6 mm 히트파이프 6개를 통해 알루미늄 방열핀으로 전달됩니다. GPU 베이스 테두리를 감싸는 히트싱크는 따로 분리되는데, 여기에도 히트파이프 1개가 삽입되어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전체를 지지하는 검은색 알루미늄 프레임도 일부 전원부 부품을 식히기 위해 서멀 패드를 부착했습니다. 금속 백플레이트에도 서멀 패드를 잊지 않았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ASUS 자체 설계 기판으로 전원부는 21 페이즈입니다. 모스펫은 Monolithic Power Systems MP86957 70A Dr.MOS를 사용했습니다. 커패시터는 Panasonic 알루미늄 폴리머 제품입니다.    ASUS Armoury Crate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연결한 모든 ASUS 장치의 RGB LED 효과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이번 제품도 TUF-RTX3090TI라는 이름으로 호환 장치 중 하나로 나타납니다.    Aura 효과 탭으로 이동하면 앞서 선택한 호환 장치의 RGB LED 효과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무지개나 색 순환을 비롯해 다양한 효과를 지원합니다.     ASUS 그래픽카드의 클록, 쿨링팬, 모니터링은 GPU Tweak II 소프트웨어로 설정합니다. 쿨링팬 설정 항목에서 User Define 버튼을 누르면 그래픽카드 후면 오른쪽에 있는 외부 쿨링팬을 설정합니다. Simple Mode에서는 프리셋 지정된 OC Mode와 Silent Mode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 있는 Gaming Booster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시스템을 최적화해서 시스템 자원을 게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여기에 추가로 제로팬 기능을 켜고 끄거나, 자동 오버클록 스캔 기능을 지원합니다.    NVIDIA에서 가장 최근 `등장한 지포스 RTX 30 시리즈는 튜링(Turing) 아키텍처를 사용하던 이전 세대에서 암페어(Ampere) 아키텍처로 전환하면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래픽카드 핵심 요소인 연산 유닛에 FP32 유닛이 1:1로 추가되어 CUDA 코어가 이전 세대 대비 2배 수준으로 늘었습니다. 게다가 레이트레이싱이나 AI 연산과 같이 전문적인 계산을 위한 ASIC 코어 역시 이전 세대보다 한층 더 발전했죠. 상위 모델에 한해서는 이전보다 빨라진 GDDR6X 메모리가 탑재되는 등 처리 속도를 올리기 위한 여러 시도가 들어갔습니다. NVIDIA 주장대로 거대한 도약을 성공적으로 해낸 셈인데, 특히 조금 더 현실적인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기고자 하는 게이머에게는 향상된 RTX 처리 성능이 큰 의미로 다가오지 않을까 합니다.    현세대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제품은 지포스 RTX 3090으로, 10,496 CUDA 코어와 GDDR6X 24GB라는 거대한 VRAM을 지닌 최강 게이밍 카드입니다. 이 밖에도 RTX 3080 Ti, RTX 3080이나 RTX 3070 Ti, RTX 3070, RTX 3060 Ti, RTX 3060, RTX 3050까지 플래그십에서 메인스트림까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습니다.    아키텍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 이어지는 지포스 30 시리즈 테크 데이 칼럼에서 확인 가능하니 참고 바랍니다.지포스 30 시리즈 테크 데이 보러 가기    ASUS TUF Gaming 지포스 RTX 3090 Ti O24G OC 24GB의 GPU-Z 정보입니다. 표기상 부스트 클록은 1,920 MHz로, 이는 RTX 3090 Ti 기본 부스트 클록(1,860 MHz)보다 60 MHz 높습니다.    테스트에 추가 오버클록을 적용한 결과도 첨부했습니다. 코어 클록은 120 MHz, 메모리 클록은 700 MHz(유효 클록 1,400 MHz)를 추가로 인가할 수 있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오버클록을 적용할 때 중요하게 여기는 파워 타깃(파워 리밋)은 15%만큼 높여서 516 W까지 해제할 수 있습니다. 퀘이사존에 입고된 한 개 제품의 오버클록 결과이므로 모든 제품이 이 정도로 오버클록 된다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레이트레이싱을 제외한 5종 게임 평균 성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결과입니다. RTX 3090 FE의 성능을 100%로 두고 비교했을 때, 고해상도로 갈수록 격차가 커집니다. P MODE는 FHD에서 성능이 3.4%, QHD에서 5.7%, UHD에서 8.2% 높습니다. Q MODE에서는 근소하게 낮은 성능을 보였습니다.     오늘날 TV나 극장에서 만날 수 있는 각종 영상물(영화, 드라마, 광고 등)에는 다양한 컴퓨터 그래픽, 우리에게 익숙한 용어로 CG가 첨가됩니다. CG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실적인 여건(촬영 조건, 환경, 기후, 가상 생명체나 물체 등)이나 배우에게 들어가는 비용, 위험성(폭발과 같은 고난도 스턴트 등)과 같은 복합적인 문제를 해소할 목적이 큽니다. 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품질로 CG를 삽입한다면 몰입감을 해치고 조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최대한 현실과 비슷하게 만드는 게 중요한데, 현실성을 더해주는 CG 요소 중 하나는 바로 레이트레이싱(Ray Tracing, 광선 추적)입니다.    레이트레이싱은 표현 그대로 광선, 즉 빛을 발하는 물체로부터 발산하는 빛이 어떤 경로로 이동하는지를 그대로 보여주는 데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빛을 추적하는 게 어떻게 현실감을 주는지 궁금하실 수 있는데, 레이트레이싱이 접목됨으로 인해 가장 두드러지게 보이는 표현 차이 중 하나는 바로 사물 반사입니다. 그간 일반적인 게임에서는 유리나 금속 재질과 같은 사물에 반사되는 물체를 미리 렌더된 화상으로 대체하거나 여러 기법을 이용해 눈속임해 왔습니다. 레이트레이싱은 매우 높은 시스템 성능을 요구해왔고, 비교적 최근까지도 실시간 렌더링에는 상당한 제약이 뒤따랐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NVIDIA에서 RT 코어를 탑재하면서부터는 얘기가 달라졌습니다. 레이트레이싱 처리를 위한 전용 RT 코어가 탑재되면서 레이트레이싱 성능을 비약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었고, 후발주자로 따라온 AMD 역시 레이트레이싱을 앞으로 게임 산업을 이끌어갈 중요 기술로 받아들이고 RA(Ray Accelerator) 코어를 탑재하기 시작했습니다.    조금 더 현실에 가까운 그래픽을 표현하고자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이 고군분투하는 가운데, 게이머 입장에서는 사양을 깎아 먹는 주원인으로 여겨 이를 잘 활용하지 않는 경우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레이트레이싱 처리를 위한 성능은 더욱더 가속화될 테고, 머지않은 시점에서는 진정한 의미로 누구나 레이트레이싱 옵션을 활성화해서 조금 더 현실적인 그래픽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합니다. 레이트레이싱 테스트 분야에서는 3DMark Port Royal 테스트와 레이트레이싱 지원 게임 성능을 함께 측정해보았습니다.레이트레이싱 & RTX 소개 칼럼 보러 가기언리얼 레이트레이싱 테크 데모 영상​* FE: Founders Edition | Ref.: Reference 게임 그래프 0.1%, 1% Low Framerate란?(눌러서 펼치기)     일반적인 FPS 측정 툴은 1초라는 시간 간격을 두고 FPS 수치를 기록합니다. 이는 우리가 흔히 FPS 레이트로 보는 수치가 FPS, 즉 초당 프레임 수(Frame per Second)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FPS 수치로 프레임을 기록할 경우 FPS 수치가 간헐적으로 떨어지는 끊김 현상, 스터터링(Stuttering)을 제대로 체크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에서 FPS 수치는 60 FPS 이상을 가리키고 있지만, 낮게 느껴지는 현상이 여기에서 기인합니다. 이런 순간적인 FPS 드롭을 감지해내기 위해서는 PresentMon 계열 툴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NVIDIA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FrameView나 AMD에서 제공하는 OCAT 역시 PresentMon 계열 FPS 측정 도구입니다. PresentMon과 같이 FPS 타임을 기록할 수 있는 툴을 이용하면 벤치마크를 진행하는 동안 생성되는 모든 FPS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렇게 측정된 원시 값(RAW Data)을 활용해 조금 더 원론적인 의미의 FPS 수치를 다양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0.1%나 1% 같은 수치는 이렇게 측정해낸 모든 FPS 수치를 백분위로 환산했을 때 하위 0.1% 및 1%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록한 값입니다. 0.1% Low Framerate는 게임을 즐기면서 체감할 수 있는 FPS 드롭 수치, 1% Low Framerate는 일반적인 FPS 측정 툴이 잡아내는 최소 FPS 수치라고 이해한다면 그래프를 읽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 NVIDIA Founders Edition(파운더스 에디션)에 대해    NVIDIA 파운더스 에디션의 평가를 다시 내려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파운더스 에디션=레퍼런스로 여기고 있었는데요. 20 시리즈에서 이례적으로 파운더스 에디션에 플라워 타입 쿨링 설루션, 팩토리 오버클록을 적용하고 출시가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하면서 이런 고정관념에 금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최신인 30 시리즈에 이르러서는 그래픽카드 제조사들이 일반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독특한 쿨링 설루션과 미려한 디자인을 적용했습니다. 전원부는 이전 세대부터 레퍼런스라고는 보기 어려울 정도로 강화됐고요. NVIDIA 지포스 RTX 30 시리즈 파운더스 에디션은 웬만한 서브 밴더 그래픽카드보다 높은 게임, 쿨링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파운더스 에디션을 NVIDIA 자체 비레퍼 모델로 보아도 손색없는 수준이 되었다고 해도 무리는 아닙니다.​소음 측정에 쓰인 장비 (CR-152A)소비 전력 측정에 쓰인 장비 (왼쪽: HPM-100 Wattman, 오른쪽: NVIDIA PCAT 장비 소개 기사 링크)* 둠 이터널(UHD, ULTRA 옵션)을 10분간 구동한 후 최댓값입니다.* 둠 이터널(UHD, ULTRA 옵션)을 10분간 구동한 후 GPU-Z에 표기된 최대 RPM을 기준으로 쿨링팬을 설정하고 소음계를 그래픽카드에서 20 cm 이격 시켜 측정했습니다.소음원 사례별 소음 크기 (출처: 국가소음정보시스템)* Board Power Draw는 GPU-Z에서 표시되는 그래픽카드 소비전력입니다.열화상 카메라 온도 측정*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는 인간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대상 물체의 열 분포를 보여주는 카메라입니다. 같은 비접촉 방식인 열화상 온도계가 한 점의 온도만을 측정할 수 있지만, 열화상 카메라는 대상 물체 전체 온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온도의 높고 낮음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RTX 3090 Ti이 보여주는 터프함    RTX 3090 Ti는 현재 NVIDIA의 최정상 GPU입니다. TUF Gaming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팩토리 오버클록을 적용해 1,920 MHz를 달성했습니다. 덕분에 P MODE 기준 UHD 해상도에서 RTX 3090 FE보다 8.2%의 높은 성능을 보였습니다. 그야말로 최고 성능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최적입니다.    이전까지 NVIDIA GPU 중 최정상이었던 RTX 3090의 TGP는 350 W입니다. 이 때문에 RTX 3090을 냉각하기 위한 쿨링 설루션 크기도 상당했습니다. TUF Gaming 지포스 RTX 3090의 경우 길이는 298mm, 너비는 130mm였고 두께는 2.5 슬롯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TUF Gaming은 더욱 커졌습니다. 디자인 방향성은 그대로 유지한 채, 길이는 325 mm에 달하고, 두께는 3.2 슬롯입니다. 더 커진 건 히트싱크와 슈라우드만이 아니죠. 탑재한 쿨링팬도 90 mm이 아닌, 100 mm를 3개 탑재했습니다. 이 덕분에 TUF Gaming 그래픽카드의 중후함을 더욱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확실하게 특징이 두드러지는 듀얼 BIOS, P MODE와 Q MODE    RTX 3090 Ti는 성능과 함께 소비전력과 발열을 얻었으니 냉각 성능도 함께 유심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TUF Gaming RTX 3090 Ti는 듀얼 BIOS 기능을 탑재하여 P MODE와 Q MODE를 제공합니다. 두 BIOS 모드간 부스트 클록과 파워 타깃 설정은 같아서 성능 차이는 적지만 온도와 소음은 차이가 큽니다.    P MODE는 Performance의 약자로 쿨링팬 회전 속도가 높여 GPU 작동 온도를 낮게 유지합니다. P MODE에서 470 W에 가까운 전력을 소비하면서도 47.1 dBA의 소음 수치와 최대 GPU 온도는 67.1 ℃로 쿨링해냈습니다. 등급을 생각하면 그다지 높지 않은 결과입니다. 반면에 Q MODE는 Quiet라는 이름답게, P MODE보다 소음이 약 6 dBA 정도 줄어듭니다. 하지만 GPU 코어 최대 온도는 약 5 ℃ 상승하고, 부스트 클록이 약간 낮아집니다. 두 BIOS 모드 사이에 특징이 명확해서 저소음을 원하면 Q MODE를, 조금 더 낮은 온도를 원한다면 P MODE를 선택하면 됩니다.■ DP는 3개, HDMI는 무려 2개!    RTX 3090 Ti 그래픽카드를 돌아보면 대부분 HDMI 포트는 1개, DisplayPort는 3개 제공합니다. 간혹 HDMI 2개, DisplayPort 2개인 제품도 존재하는데요. 다중 디스플레이 환경과 VR 장치 연결 등 HDMI 포트가 다수 필요한 사용자라면 아쉬울 수 있습니다. 그런데 TUF Gaming RTX 3090 Ti은 DisplayPort 3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HDMI 포트를 2개로 늘렸습니다. 다른 그래픽카드 제조사들보다 디스플레이 출력이 1개 더 많은 셈이죠. TUF Gaming RTX 3090 Ti와 함께라면 다중 디스플레이 환경을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LED 데모 시스템은 Fractal Design Meshify 2 WHITE, Fractal Design Flex B-20, Fractal Design Lumen S24 RGB, GIGABYTE B550 VISION D, TeamGroup T-Force XTREEM ARGB로 조립되었습니다.  · 4K 게이밍 모니터를 사용한다. · HDMI 포트가 2개 있는 그래픽카드가 필요하다. · RGB LED 효과가 부담스럽지 않았으면 좋겠다. · 듀얼 BIOS로 낮은 온도 또는 저소음 설정을 선택하고 싶다.  · 길고 두꺼운 그래픽카드를 장착할 공간이 없다. · 1000 W 미만 용량의 파워서플라이를 쓰고 있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NVIDIA 엔비디아 GeForce 지포스 ASUS 에이수스 RTX3090Ti 3090Ti TUF TUFGaming 터프 터프게이밍

  • 퀘이사존

    2022-04-19

    일단 AS를 받으려고 인텍앤컴퍼니에 문의전화를 했습니다. 문의결과 택배로 보내주면 받아서 점검해보고 증상이 있으면 리퍼비시로 보내준다고 하더군요.

  • 퀘이사존

    2022-04-15

    하지만 최근 인텍앤컴퍼니에서 킹스톤 브랜드를 공식 론칭하고 여러 이벤트와 기획전을 여는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4-14

    메인보드, Kingston RAM 행사제품 구매 인증 시 모바일상품권 증정 - 3가지 이벤트 제품 구매 인증 시 고급 서멀컴파운드, ASUS 한정판 굿즈 추가 증정 인텍앤컴퍼니

  • 퀘이사존

    2022-04-11

    ASUS TUF Gaming B560M-PLUS 인텍앤컴퍼니 미개봉 제품 판매합니다.

  • 2022-04-09

    인텍앤컴퍼니 리퍼 메인보드 괜찮은거 오나요 아니면 뽑기운인가요...

  • 퀘이사존

    2022-04-08

             - 컴퓨존에서 인텍앤컴퍼니 유통제품 ASUS VZ24EHE 모니터 특가이벤트 진행          - 4월 8일부터 한정 수량 소진시까지 이벤트 진행 ASUS

  • 퀘이사존

    2022-04-07

    게시글 등록시간 기준 재고 10개 있습니다.

  • 2022-04-06

    위 메인보드에 HDMI 포트 1.4 or 2.0뭘 사용하든 상관없나요?추가 질문으로어떤 모니터든 HDMI 포트만 있다면 1.4 or 2.0 아무거나 상관없나요?

  • 퀘이사존

    2022-03-28

    itx로 변경해서 판매합니다 

  • 퀘이사존

    2022-03-28

    itx로 변경해서 판매합니다 

  • 퀘이사존

    2022-03-26

    와이파이 없는 모델이고 롯카적용시 가격입니다.아수스 보드는 진짜 할인 안하네요 ㅠㅠ저는 와이파이모델 쓰고 있지만 가격대비 품질 상당해서 만족해서 쓰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3-26

    와이파이 없는 모델이고 롯카적용시 가격입니다.아수스 보드는 진짜 할인 안하네요 ㅠㅠ저는 와이파이모델 쓰고 있지만 가격대비 품질 상당해서 만족해서 쓰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3-25

    나 아직 현역이야~    인텔 엘더레이크는 이기종 코어를 적용하여 사용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그와 더불어 새로운 골든 코브 아키텍처와 인텔 7 공정을 적용한 덕분에 이전 세대에 비해서 비약적인 성능 향상을 보여줬습니다. 14 nm 공정을 몇 세대 간 푹 고아 낸 끝에 등장한 완전히 새로운 세대였기에, 기존 인텔 프로세서를 애용하던 소비자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이렇듯 인텔의 새로운 전환점처럼 보이는 엘더레이크 프로세서는 처음으로 DDR5 메모리를 채택한 프로세서이기도 합니다.    DDR5는 이론상 DDR4보다 낮은 전력 소모와 높은 작동 속도를 보장하여 비약적인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메모리는 어디까지나 응용 프로그램의 일시적인 로딩,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등에 활용하는 기억장치라서 절대적 용량이 중요합니다. 즉, 소비자 입장에선 단위 용량 당 가격을 눈여겨볼 수밖에 없습니다. 빠른 속도도 중요하지만 용량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병목 현상을 최대한 억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DDR5는 이 지점에서 약점이 있습니다. 등장한 이후로 시간이 꽤 흘렀지만, 여전히 수급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가격은 두말할 필요가 없겠죠.    합리적인 가격으로 PC를 꾸리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DDR4는 여전히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제품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단일 8 GB 기준으로 가격이 대략 2배 정도 차이 나니 결코 그냥 지나칠 수치는 아닙니다. 더군다나 AMD 프로세서 사용자라면 당장 DDR5를 선택할 수도 없으니, DDR4 수요가 지금까지도 꾸준한 건 당연한 결과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수많은 브랜드는 DDR5 제품을 출시하는 동시에 DDR4도 꾸준히 선보이고 있으며, 이번 칼럼에서 살펴볼 킹스톤도 마찬가지입니다. KINGSTON    킹스톤은 1987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창립하여 올해로 35주년을 맞이하는 브랜드입니다. 초기 DRAM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USB 메모리와 SD 카드 그리고 SSD까지 여러 저장 장치를 취급하고 있는데요. 2021년 한 해 동안 가장 많은 SSD를 출하했을 만큼 세계적으로 많이 찾는 브랜드입니다. 그런데 국내에서만큼은 세계적인 인지도가 잘 드러나지 않는 거 같은데요. 아무래도 이미 국내 브랜드가 저장 장치 시장에서 공격적인 행보를 보여오고 있기에 해외 브랜드는 상대적으로 힘을 못 쓰고 있는 건 아닐지 추측합니다. 그럼에도 공격적인 마케팅과 지속적인 노출을 통해 국내 입지를 넓혀가는 경우도 있으니, 마냥 낙심할 필요는 없습니다.    FURY는 높은 성능이 필요한 게이머들을 위해 탄생한 킹스톤의 하위 브랜드입니다. 저장 장치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브랜드답게, 크게 메모리와 NVMe SSD로 나뉘는데요. 두 제품군 모두 일반적인 제품과 비교해서 원활한 발열 해소를 위해 방열판을 사용하고, 필요하다면 RGB LED도 마다하지 않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중 강렬한 외형을 뽐내는 Renegade 메모리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칼럼에서는 원활한 성능 비교를 위해 듀얼 채널로 구성 후 진행하였습니다.     패키지 색상은 검은색과 흰색 그리고 빨간색을 사용했습니다. 게이밍을 강조한 라인업이라면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는 색상인데요. 킹스톤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입니다. 다만 다른 점이 있다면 흰색을 가장 많은 부위에 사용해서 상대적으로 산뜻한 느낌이 듭니다. 전면에는 메모리 이미지를 큼지막하게 프린트하고, 위로는 메모리 제품명을, 아래로는 KINGSTON FURY 라인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메모리 이미지 바로 아래에는 RGB-SYNC 지원을 의미하는 로고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뒷면은 상당히 간결하게 만들었습니다. 제품과 관련된 이야기나 특징을 길게 나열하는 대신 곳곳에 여백을 두고 RGB LED가 점등한 모습을 보여주는 등 외형에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    메모리 사양은 구석에 부착한 스티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칼럼에 사용한 메모리는 8 GB 1개로 구성돼있으며, 3,600 MHz, CL16, 1.35 V로 작동합니다. 다만, 메모리의 최대 성능을 끌어내기 위해 테스트에서는 본 제품을 2개 사용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겉 상자 안에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메모리를 보호하기 위해 플라스틱 구조물을 사용했습니다. 구성품은 메모리 본 품과 사용 설명서 그리고 KINGSTON FURY 스티커를 제공합니다.    Renegade(변절자)를 메모리 이름에 사용해서 그런지, 방열판 외형이 상당히 공격적입니다. 당장이라도 정해진 규칙을 깨부수고 무리에서 벗어날 거처럼 보입니다. 메모리 방열판은 크게 두 구역으로 나뉩니다. 무광으로 마감 처리한 부분과 헤어라인 패턴을 사용해 금속 질감을 살린 부분으로 말이죠. 똑같은 금속 재질임에도 마감에 따라 질감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서 독특합니다. 앞선 마감으로 인해 미세한 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어두운 무채색을 사용했습니다. 이로 인해 흰색을 주로 사용한 패키지와는 또 다른 분위기를 보여줍니다. 그와 반대로 방열판에 새긴 글귀는 은색 혹은 흰색을 사용해서 눈에 확 띕니다. 방열판 한가운데 양각으로 각인한 KINGSTON FURY는 본 제품의 정체성을 확고히 보여줍니다. 폰트 디자인도 방열판 마감과 유사하게 선이 분명하고 직선을 주로 사용해서 전체적으로 조화롭습니다.    방열판 각 끝에는 메모리를 나타내는 문구를 각인했습니다. 좌측에는 본 메모리의 세대를 나타내는 DDR4를, 우측에는 메모리 제품 이름인 Renegade를 새겼습니다. 방열판 전체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작다 보니 눈에 확 띄지는 않지만, 자칫 심심해 보일 수 있는 방열판에 작은 포인트가 됩니다.    RGB LED가 발광하는 부분도 평범하지 않습니다. 양옆으로 복잡한 형상을 한방열판이 살짝살짝 보이는 게 인상적입니다. 그리고 LED 바를 가로지르는 마감도 기존 튜닝 메모리에서는 보기 어려운 독특한 디자인입니다. 좌우 측면은 방열판이 메모리 PCB보다 짧고 별다른 추가 마감을 하지 않아 간결하고 깔끔하게 마무리했습니다. 실제로 PC에 장착하고 나면 잘 안 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니, 단순하게 마감했다고 해서 아쉬울 건 없습니다.     공격적으로 마감한 방열판 디자인 덕분에 밀리터리 감성을 자극하는 ASUS TUF 시리즈 마더보드와 장착했을 때 상당히 잘 어울립니다. RGB LED 바는 점등하는 면적이 넓다고 할 순 없지만, 광량이 충분하고 전환하는 효과도 자연스럽습니다. LED 효과는 ASUS, GIGABYTE, MSI, ASRock 등 마더보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RGB-SYNC를 통해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만일, 사용하는 마더보드가 RGB-SYNC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킹스톤에서 제공하는 FURY CTRL 소프트웨어를 통해 별도로 메모리의 LED 효과를 바꿀 수 있습니다.마더보드가 RGB SYNC를 지원하지 않더라도 FURY CTRL을 활용해 직접 LED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XMP는 eXtreme Memory Profile의 줄임말로 메모리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입니다. 따라서 JEDEC 표준을 꼭 준수하지 않아도 되며, 대체로 복잡한 오버클록 과정 없이 손쉽게 높은 클록과 낮은 타이밍을 얻을 수 있도록 설정하죠. 이 XMP는 DDR3 때 처음으로 지원을 시작했으며, DDR4는 XMP 2.0을 사용합니다. 대부분 XMP는 한 종류를 지원하기 마련인데, FURY DDR4-3600 CL16 Renegade RGB는 두 가지 프로파일을 제공합니다. 첫 번째는 높은 클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두 번째는 낮은 타이밍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칼럼에서는 3,600 MHz로 작동하는 첫 번째 프로파일을 활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칼럼에 사용한 KINGSTON FURY DDR4-3600 CL16 Renegade RGB 메모리는 3,600 MHz로 작동하며 타이밍은 16-20-20-39(tCL-tRCD-tRP-tRAS)입니다. 전압은 1.35 V로 인가합니다. Thaiphoon Burner로 메모리 사양을 확인한 결과 메모리 칩은 SK 하이닉스에서 생산하였으며, 파트 넘버는 H5AN8G8NDJR-UHC(D-die)입니다. 메모리 뱅크 그룹은 4개이며, 각 그룹당 뱅크 4개씩 할당하여 총 뱅크 개수는 16개입니다. 온도 센서는 탑재하지 않았습니다.      퀘이사존에 입고된 메모리 패키지 2개를 활용하여 추가 오버클록을 진행했습니다. 4,000 MHz까지 높일 수 있었는데, XMP 프로파일과 비교하면 11.1%, JEDEC 3,200 MHz와 비교하면 25% 더 높은 수치입니다. Gear 1 모드로 이만한 클록에 도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 메모리 타이밍은 16-22-22-52(CL-tRCD-tRP-tRAS)로 XMP 프로파일과 비교했을 때 tRCD, tRP, tRAS는 값이 소폭 높지만, CL은 동일한 16으로 안정화되어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전압은 1.45 V로 높였습니다. Gear 2 모드는 Gear 1 모드 대비 두드러지는 차이가 없어 테스트를 생략하였습니다. 오버클록 안정화 테스트는 AIDA64 Extreme 시스템 안정성 검사를 활용해 20분간 진행했습니다. 단, 본 결과는 패키지 2개로만 시도한 결과이며 같은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생산 주차, 사용한 칩 세트, 시스템 사양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12월부터 메모리 테스트에 Windows 11 운영체제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성능 코어(Performance Core)와 효율 코어(Efficiency Core)를 정상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코어를 활성화한 상태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메모리 기본 성능은 AIDA64 Extreme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벤치마크를 활용했습니다. 메모리 작동 속도에 따라 눈에 띄는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XMP 2.0을 적용한 3,600 MHz에서는 2,133 MHz와 비교했을 때 60.4% 향상된 복사 속도를 보여주며 지연 시간은 29.3% 짧습니다.    메모리를 4,000 MHz까지 오버클록 하면 2,133 MHz 대비 복사 속도는 77.2% 빨라지고, 지연 시간은 39.7% 짧아집니다. AIDA64는 메모리가 발휘할 수 있는 성능을 온전히 보여주는 테스트이며, 실사용 시 큰 차이가 없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각종 소프트웨어와 게임 테스트도 함께 진행했는데요. 이어서 보도록 하죠.    압축, 인코딩, 렌더링 등 부하가 많이 생기는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메모리 성능을 가늠했습니다. XMP 2.0을 적용하여 3,600 MHz로 작동할 때는 2,133 MHz와 비교하여 19.6%, 오버클록 하여 4,000 MHz 작동할 때는 22.8% 성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본 AIDA64 Extreme 테스트 결과보다는 차이가 작습니다. 소프트웨어별 성능 차이를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메모리 벤치마크 및 렌더링 테스트 보러 가기    게임 테스트는 파 크라이 6와 배틀그라운드, 레인보우 식스 시즈를 활용했습니다. 평균을 내면 압축, 인코딩, 렌더링 테스트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각각 게임별로 살펴보면 유의미한 차이를 찾아볼 수 있는데요. 특히 배틀그라운드는 타 게임과 비교해서 극명한 차이를 보여줬습니다. 따라서 평소 즐기는 게임에 따라 체감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게임별 테스트 결과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게임 종합 성능 보러 가기■ 새로운 브랜드는 언제나 환영이야    과거 DDR3 메모리 시절 킹스톤 메모리를 사용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 사용하는 메모리와 달리 RGB LED는커녕 LED 바 없이 알루미늄 방열판만 탑재한 모델이었는데요. 그래도 초록색 PCB가 적나라하게 드러나는 일반 메모리와 비교해서 까맣게 마감한 방열판과 PCB는 아주 고급스러워 보였습니다. 게다가 당시 2,400 MHz에 CL11로 작동하는 만큼 만족스러운 성능을 발휘했죠.    이런 추억이 깃든 브랜드라 그런지 칼럼을 통해 킹스톤을 다시 마주했을 때 참 반가웠습니다. 여전히 방열판은 그저 어두운 수준을 넘어서 새까맣게 만들어 중후한 느낌이 들고, 방열판도 선과 각이 살아있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물론 외형에 대한 평가는 보는 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소비자 입장에서 선택지가 하나 더 늘어나는 셈이니 마다할 이유는 없습니다. ■ 3,600 MHz CL16    메모리는 높은 작동 속도도 중요하지만, 게이밍 환경에서는 메모리 타이밍을 낮게 유지해야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합니다. 따라서 메모리를 선택할 때 클록과 타이밍을 고루 따져야만 하죠. XMP 2.0을 통해 3,600 MHz로 작동하는 DDR4 메모리는 대부분 타이밍이 CL18입니다. 그런데 KINGSTON FURY DDR4-3600 CL16 Renegade RGB는 작동 속도가 3,600 MHz이면서 동시에 CL16으로 작동합니다. 덕분에 UEFI에서 간단히 XMP 2.0을 적용하는 것만으로 JEDEC 2,133 MHz와 비교해서 압축, 인코딩, 렌더링 성능은 19.6%, 게임 성능은 12.8% 향상된 성능을 얻을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퀘이사존에 입고된 패키지 2개를 활용하여 추가 오버클록을 진행한 결과 Gear 1 모드로 4,000 MHz까지 도달했습니다. 게다가 tRCD, tRP, tRAS는 조금 풀어졌지만, CL 값은 16으로 유지했습니다. 타이밍은 유지하면서 클록은 높아진 덕분에 JEDEC 표준 메모리는 물론이고, XMP 2.0을 적용했을 때와 비교하더라도 눈에 띌 만큼 높은 성능 향상을 보여줬습니다.  · DDR5 가격이 부담스럽다. · 남들과는 다른 부품을 사용하고 싶다. · 각진 디자인을 선호한다. · RGB LED를 좋아한다.  · DDR5 메모리를 원한다. · 공랭 쿨러 간섭이 염려된다.  퀘이사존의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2022-03-22

    3070ti 터프 라방취소매물 올라온거 보자마자 무지성으로 질러서 택배도착했습니다. 그런데 ㅅㅅㅈ님 유튜브에서 앞으로 3080 터프기준 상시가가 119만원에 판매한다고해서 지금 받은제품 반품할지 그냥 사용할지 고민되네요. 3070ti는 포인트적립까지 다 하면 96만원정도에 구매했습니다. 퀘존형님들 의견을 들어보고싶네요.

  • 그래픽카드

    인텍앤컴퍼니

    2022-03-19

    3080 초기 특가 99로 책정하면서 YSRP 막아준거야 고맙긴한데 그동안 팔레트채로 채굴업자한테 넘기다가 이제와서 재고 쌓이니까 특가특가도 경우없이 당일날 상위모델 더 저렴히 내놓고 (3070TI TUF 109 3080 99 사건)라방으로 영끌시키고 바로 2일 후 영끌가보다 더 저렴하게 상시가 책정하겠다물론 가격 내려주는거야 고마운데..참 어렵네요

  • 퀘이사존

    2022-03-17

    취소 물량이 많았나봅니다.어제 라방에서 특가로 풀렸던 글카들  다시 풀었네요스토어찜 5% 할인네페 적립 60,000~80,000원카드 적립  5%  KB국민/하나/농협 -> 4/10 까지 구매확정 시 4/20 지급3080 터프 매진 제외하고는 판매 유지되다가 나머지 모델들은 내렸네요. 남은 물량들은 조만간 더 할인된 가격으로 다시 올라오지않을까 기대해봅니다.

  • 퀘이사존

    2022-03-17

    취소 물량이 많았나봅니다.어제 라방에서 특가로 풀렸던 글카들  다시 풀었네요스토어찜 5% 할인네페 적립 60,000~80,000원카드 적립  5%  KB국민/하나/농협 -> 4/10 까지 구매확정 시 4/20 지급3080 터프 매진 제외하고는 판매 유지되다가 나머지 모델들은 내렸네요. 남은 물량들은 조만간 더 할인된 가격으로 다시 올라오지않을까 기대해봅니다.

  • 2022-03-17

    https://smartstore.naver.com/intechncompany/category/ALL?cp=1재고 다시 들어왔네요,어제 금액대에서 스토어 쿠폰 5% 적용 안된 가격인 것 같고카드 적립 5%는 적용 되는건지 뭔지 모르것네요 -----------------------------------------추가어제와 동일하게 KB NH 하나 카드는 네이버 자체 이벤트로 5% 추가 적립 가능(4월 20일 지급)하지만 스토어 5% 쿠폰은 1인 1회라 어제 구매 하신 분은 적용 안되는 것 같네요.취소 하신 분들은 어떨지 모르겠어요.

  • 퀘이사존

    2022-03-16

    걍정가고큰 메리트 없네요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