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디아블로 4 베타 CPU 벤치마크
디아블로 3가 출시한 2012년 5월 15일로부터 곧 11년 차가 됩니다. 저는 그때 전역한 지 얼마 안 된 대학생이었는데, 디아블로 3를 플레이하느라 1교시 강의를 거의 들어가지 못해서 해당 학기를 망쳤던 기억이 납니다. 그런데 어느새 그 후속작인 디아블로 4 출시가 임박했습니다. 2023년 6월 6일. 잊어서는 안되겠죠? 하지만 그 이전에 디아블로 4를 맛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습니다. 오픈 베타기간이 시작되었기 때문입니다. 오픈 베타는 두 가지로 나뉘는데, 디아블로 4 사전 구매자를 대상으로 한 오픈 베타 얼리 액세스, 그리고 제한을 두지 않은 오픈 베타입니다. 퀘이사존에서는 이 오픈 베타 얼리 액세스기간을 통해 기대작인 디아블로 4의 성능을 측정해 보았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CPU에 집중한 테스트입니다.
* 디아블로 4 오픈 베타 기간
오픈 베타 얼리 액세스는 한국 시간 3월 18일 오전 1시에 시작되어 3월 21일 오전 4시에 끝납니다.
오픈 베타는 한국 시간 3월 25일 오전 1시에 시작되어 3월 28일 오전 4시에 끝납니다.

디아블로 4 오픈 베타 시스템 사양입니다. 최신 게임임에도 사양이 굉장히 낮습니다. CPU는 디아블로 3와 출시일이 얼마 차이 나지 않는 2013년에 출시한 하스웰 4코어 CPU인 코어 i5-4670K와 2017년에 출시한 1세대 젠 4코어 라이젠 3 1300X면 권장 사양을 충족합니다. 그래픽카드는 2014년 말에 출시한 지포스 GTX 970, 퀘이사존과 생일이 비슷한 2016년에 출시한 라이젠 RX 470입니다.
테스트 시스템 TEST SYSTEM

인텔과 AMD 양사의 CPU 16종씩, 총 32종을 준비했습니다. 인텔은 10세대 코어 시리즈부터, AMD는 젠2 라이젠 3000 시리즈부터 테스트했습니다. CPU 중 라이젠 7 7800X3D의 성능을 간접 체험해보기 위해 라이젠 9 7950X3D의 3D V-캐시가 없는 CCD를 비활성화하여 비교군에 추가해 보았습니다. 3D V-캐시가 없는 CCD만 비활성화했을 뿐 다른 설정은 건들지 않았으므로 실제 출시할 라이젠 7 7800X3D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후원사 협찬

▲ 디앤디컴 제공: ASRock X670E Taichi 디앤디컴

▲ ASUS 제공: ASUS ROG STRIX Z790-F GAMING

▲ NVIDIA 제공: NVIDIA GeForce RTX 4090 Founders Edition

▲ 브라보텍 제공: NZXT KRAKEN Z63 RGB 280 mm

▲ 뉴젠씨앤티 제공: SuperFlower SF-1000F14PE LEADEX VI PRO PLATINUM
게임 옵션 설정 GAME OPTION SETTINGS


테스트 옵션은 수직동기를 해제하고 최고 옵션인 높음 프리셋을 설정했습니다. DLSS 옵션은 설정하지 않았고 게임 내 FPS 제한을 최대인 400으로 해제했습니다.
* 주의!

높은 그래픽 옵션을 주면서 게임을 원활하게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은 사양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일부 게임은 그래픽카드 메모리가 부족하면 옵션을 높이지 못하도록 강제로 제한을 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디아블로 4도 이와 비슷한데, 한 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그래픽카드 메모리가 아닌 시스템 메모리 용량에 따라 옵션에 제한이 걸려 있습니다. 시스템 메모리가 16 GB라면 텍스처 품질 옵션을 중간 이상으로 올릴 수 없습니다. 여기에 8 GB 메모리를 추가해서 24 GB가 되어야 비로소 최고 옵션인 높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24 GB 메모리는 일반적인 구성이 아니므로, 결국 32 GB 시스템 메모리 사용자만 텍스처 품질 '높음'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아직 베타이므로 정식 버전에서도 똑같이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디아블로 4를 준비한다면 시스템 메모리를 넉넉하게 준비하는 게 좋겠습니다.

해상도는 CPU 성능의 변별력을 높일 수 있는 FHD 1920x1080와 고해상도인 UHD(4K) 3840x2160을 테스트했습니다. FHD 해상도는 32종 CPU 전체를 테스트했고, UHD 해상도에서는 최신 인텔 13세대, 라이젠 7000 시리즈 전부와 퀘이사존에서 보유하고 있는 세대별 최상위 모델을 테스트했습니다. 최상위는 아니지만 게임에 특화된 라이젠 7 5800X3D 역시 UHD 테스트에 추가했습니다.
테스트 구간 TEST SECTION
테스트 구간은 캐릭터 생성 시 재생되는 컷신을 선정했습니다. 측정 구간은 실제 게임 플레이 보다 다소 부하가 크므로 실제 플레이 시에는 테스트 결과보다 더 높은 FPS가 측정될 수 있습니다.
* 아래부터는 게임 테스트 결과로 이어집니다.
* 본 콘텐츠는 오픈 베타 테스트 결과이므로 정식 버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FHD 1920x1080


먼저 평균 FPS를 기준으로 정렬했습니다. 먼저 드는 생각은 평균 FPS 한정으로 생각보다 CPU 등급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입니다. 인텔 CPU가 상위에 위치하고 있기는 하지만, 등급이 역전되기도 하는 등 순위에 크게 연연할 필요는 없어 보입니다. 게이밍 특화로 출시한 AMD의 3D V-캐시 탑재 모델들이 눈에 띌 정도의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네요. 다만 라이젠 7 7800X3D의 성능을 짐작해보기 위해 라이젠 9 7950X3D의 3D V-캐시가 없는 CCD를 비활성화 했을 때는 AMD CPU 중에서 가장 위에 있습니다.
1% Low는 CPU 별로 차이가 큽니다. 어떤 일관성이 보이기도 합니다. 특별하게 언급해야 할 CPU는 라이젠 7 5700X입니다. 유독 1% Low 수치가 낮은데, 수차례 테스트에서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이유는 8코어이면서 65 W로 제한된 TDP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특정 구간에서 FPS가 급격하게 떨어지는데, PBO 옵션을 활성화하면 상위 CPU인 5800X에 근접한 성능으로 나오므로 해당 CPU를 사용 중이면서 디아블로 4를 기대하고 계다면 PBO 옵션을 필수적으로 활성화해야겠습니다.


1% Low 값만 추려서 다시 그래프를 만들어봤습니다. 이렇게 보니 CPU 등급별로 적절하게 줄 세워집니다. 인텔 12, 13세대 CPU가 상위권에 있기는 하지만, P-Core가 8개 이상인 모델에 한정되며, P-Core가 6개인 코어 i5 급은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보다 약간 낮습니다. 여전히 AMD 3D V-캐시 탑재 모델은 뚜렷한 우위를 점하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라이젠 9 7950X3D에서 3D V-캐시가 없는 CCD를 비활성화하여 라이젠 7 7800X3D의 성능을 간접적으로 체험해보기 위한 설정이 AMD CPU 중 가장 뛰어나긴 하지만, 역시 기대했던 만큼의 향상은 아닙니다.

성능이 아닌 CPU 세대별로 그룹을 나눴습니다. 평균 FPS는 차이가 크지 않고 1% Low에서 등급에 따른 차이가 확실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4K/UHD 3840x2160


다음은 고해상도인 3840x2160, 4K 해상도 성능입니다. 인텔 12, 13세대 CPU가 AMD 라이젠 CPU보다 위에 있기는 하지만, 최상위 일부 모델을 제외하면 오차범위라고 해도 될 정도로 미미한 차이입니다. 반대로 구형인 인텔 10, 11세대 CPU는 가장 아래에 있습니다. 물론 차이가 크지는 않군요.

3840x2160 해상도는 세대별로 그룹을 나누어도 특별한 차이는 없습니다.
벤치마크 종합 요약 BENCHMARK CONCLUSION

■ FHD 해상도에서는 인텔 12, 13세대 코어 i7, i9 CPU가 우위
FHD 해상도에서 평균 FPS는 CPU에 따른 격차가 크지 않지만, 눈여겨봐야 하는 건 1% Low framerate입니다. 1% Low에서는 평균 FPS와 달리 CPU에 따른 격차가 보이는데, P-Core가 8개인 인텔 12, 13세대 코어 i7, i9 CPU가 AMD 라이젠 7000 시리즈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줍니다. 반면 P-Core가 6개인 코어 i5 급은 상위 모델보다 1% Low 수치가 낮습니다. 이로 디아블로 4에서 최고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8개의 물리 코어가 유리하다고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3D V-캐시가 탑재된 CCD 코어가 6개뿐인 라이젠 9 7900X3D의 1% Low 성능이 유독 낮다는 점으로 어느 정도 뒷받침됩니다.
■ 고해상도에서는 CPU 간 격차가 적다
CPU보다 그래픽카드의 영향력이 커지는 3840x2160 고해상도에서는 사실상 CPU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최신 CPU든, 2세대 이전 CPU든 숫자로 나타낸 수치가 아니라면 거의 느끼기 어려운 차이입니다. 자신이 고해상도 모니터로 게임을 즐긴다면 CPU보다는 함께 등록된 그래픽카드 벤치마크를 보고 업그레이드 여부를 판단하는 게 좋습니다.
■ AMD 3D V-캐시 탑재 CPU는 뚜렷한 강세를 보이지 못한다
게이밍 특화 CPU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AMD 3D V-캐시 탑재 모델, 라이젠 9 7950X3D, 7900X3D, 라이젠 7 5800X3D는 예상 외로 큰 힘을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디아블로 4가 DX12 게임이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이는 라이젠 9 7950X3D 벤치마크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CPU 병목현상이 크지 않고 최적화가 잘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풀 옵션을 주기 위해서는 시스템 메모리 24 GB 이상 필요
디아블로 4를 테스트하면서 한 가지 재미있는 증상을 발견했습니다. 시스템 메모리 용량에 따라서 텍스처 품질 옵션을 최대로 높일 수 없었습니다. 메모리를 8 GB 2개만 장착해서 16 GB일 때는 텍스처 옵션을 최대 중간까지만 올릴 수 있고, 여기에 8 GB를 1개 추가해서 24 GB를 만들어야 최고 옵션인 높음까지 줄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16 GB에 만족하고 있더라도 디아블로 4를 최고 옵션으로 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메모리 증설이 필요합니다.
※ 참고: 디아블로 4 패치 노트 내용 업데이트(링크)

▲ 얼리 액세스 베타 이후 시작될 오픈 베타에서는 16 GB RAM에서 높음 텍스처 옵션 설정 불가 문제를 수정했다고 한다
* 본 콘텐츠는 오픈 베타 테스트 결과이므로 정식 버전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