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치마크 종합 요약 BENCHMARK CONCLUSION

■ 라이젠 9 7950X3D 대비 99% 게임 성능
가격이 무려 250 달러나 높은 라이젠 9 7950X3D와 동급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는 게임 성능을 발휘한다. 가격 대 성능 비로는 압도적 우위. FHD 기준, 바이오하자드 RE:4, 호그와트 레거시에서는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지만, 사이버펑크 2077에서는 성능이 낮다. 특히 평균보다 1% Low의 하락이 큰데, 7950X3D에서 3D V-캐시가 없는 CCD를 비활성화했을 때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8코어라는 물리적인 한계에서 오는 차이로 판단된다. 분명 7800X3D는 가격 대 성능 비로 7950X3D보다 우월하지만, 사이버펑크 2077의 예처럼 멀티코어 활용성이 높아질 미래를 생각하면 7950X3D가 낭비라고 할 수는 없다.
■ 라이젠 7 5800X3D보다 16.2% 높은 성능
같은 출시가를 가진 라이젠 7 5800X3D보다 FHD 해상도 기준 평균 약 16.2% 높은 성능으로 그 뒤를 잇기에 부족함이 없다. 성능 차이가 없는 콜 오브 듀티: 모던 워페어 II를 제외하면 테스트로 진행한 게임에서 전반적으로 더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온도와 소비전력이 소폭 높아지긴 했지만, 성능 향상 폭과 비교하면 감수할 만한 수치다. 물론 5800X3D는 출시된 지 오랜 시간이 지나 가격이 많이 내려갔으므로 7800X3D의 출시가가 얼마나 현실적일지 두고 봐야 한다.
■ DX11 게임의 강세, DX12 게임의 성능 향상은 적다
3D V-캐시가 없는 라이젠 7 7700X와 비교하면 DX11 게임에서 큰 폭의 성능 향상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DX12에서는 상대적으로 성능 향상이 크지 않다. 캐시 메모리에 영향이 큰, 간단하게 말해 CPU 최적화가 부족하여 병목 현상이 발생하는 DX11 게임에서는 3D V-캐시의 효능을 십분 발휘할 수 있지만, 반대로 최신 API인 DX12 게임에서는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 3D V-캐시가 탑재된 오직 하나의 CCD
라이젠 9 7950X3D와 7900X3D는 3D V-캐시가 탑재된 CCD와 그렇지 않은 CCD로 나뉘어서 드라이버 설치나 바이오스 설정 등을 신경 써야 하는데, 라이젠 7 7800X3D는 이전 세대인 라이젠 7 5800X3D와 마찬가지로 3D V-캐시가 탑재된 CCD를 1개만 가지고 있어 신경 써야 할 부분이 거의 없다. 7950X3D나 7900X3D, E-Core를 내장한 인텔 CPU처럼 서로 다른 특성의 코어 두 종류를 가진 CPU에 대한 거부감이 있다면, 7800X3D는 좋은 선택이다.
■ 3D V-캐시 CCD 클록이 라이젠 9 7950X3D보다 낮다
라이젠 9 7950X3D에서 3D V-캐시가 없는 CCD를 비활성화 한 번외 테스트에서 라이젠 7 7800X3D는 미세하게 성능이 낮다. 그 이유는 같은 3D V-캐시를 탑재한 CCD임에도 클록이 낮기 때문인데, 사이버펑크 2077 한 개 게임의 테스트 결과이긴 하지만, 3D V-캐시 CCD 기준으로 라이젠 9 7950X3D는 평균 5.0 GHz로 작동하는 반면, 라이젠 7 7800X3D는 그보다 100 MHz 낮다.
■ 라이젠 9 7950X3D보다 낮은 소비전력과 온도
동급 게임 성능을 발휘하는 라이젠 9 7950X3D보다 당연하겠지만, 소비전력과 온도가 모두 낮다. TDP는 120 W로 같지만, 물리적인 코어 수가 절반에 불과하기 때문. 이는 더 낮은 성능의 쿨러, 메인보드, 파워서플라이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 된다. 하드웨어 가격이 부쩍 비싸진 최근 시장 상황에서는 환영할만한 요소. 3D V-캐시가 없는 라이젠 7 7700X와 비교하면 동급의 온도와 소비전력을 기록한다.
■ 제한적인 오버클록
다른 3D V-캐시 제품과 마찬가지로 오버클록이 제한적이다. CCD 위에 3D V-캐시가 올라간 구조로 인해 열 관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 대신 커브 옵티마이저와 PBO를 적용하여 성능 향상을 노려볼 수 있다. 기본 클록이 낮은 만큼 시도해볼 만하다.

※ 4월 6일 오후 1시, 사이버펑크 2077 게임 관련 수정 사항 안내

라이젠 7 7800X3D의 사이버펑크 2077 게임 로드 테스트 결과를 추가로 검토한 결과 5개 코어(10 스레드)에만 정상적으로 부하를 주고 3개 코어(6 스레드)에 부하가 없는 현상을 발견했습니다. 반면 라이젠 9 7950X3D는 3D V-캐시가 있는 CCD의 8개 코어와 3D V-캐시가 없는 CCD의 1개 코어까지 더해서 총 9개 코어(18 스레드)에 부하를 주고 있었습니다. 8개 코어를 가진 라이젠 7 7800X3D는 정상적이라면 모든 코어에 부하를 주어야 함에도 3개 코어에 부하를 주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정상적인 게임 성능을 다시 알아보기 위해 추가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기본적으로 CPU를 변경할 때마다 칩세트 드라이버를 삭제 후 재설치하고 있었으므로 드라이버를 삭제, 재설치하는 방법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라이젠 7800X3D 시스템에 윈도우 11을 새로 설치한 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라이젠 7 7800X3D가 가진 모든 코어에 정상적으로 부하를 주고 있음을 확인했고, 사이버펑크 2077 FHD 해상도 성능 테스트 및 클록, 온도, 소비전력 테스트를 다시 진행하여 그래프와 내용을 수정했습니다. QHD 및 UHD도 테스트했으나 오차범위 내로 차이가 없었습니다.
▼ 수정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눌러서 펼치기)
1. 사이버펑크 2077 FHD 해상도 그래프 7800X3D 항목
Avg FPS: 203.3→211.2
1% Low: 111→113
2. 15종 게임 FHD 해상도 그래프 7800X3D 항목
Avg FPS: 98.7%→99.0%
1% Low: 96.7%→96.9%
3. 성능 비교: 7800X3D vs. 챕터 비교 표 4개 및 그래프 4개
vs. 13900KS: 103.0%→103.2%
vs. 7950X3D: 98.7%→99.0%
vs. 5800X3D: 115.9%→116.2%
vs. 7700X: 113.2%→113.5%
4. 사이버펑크 2077 커브 옵티마이저 + PBO & 7950X3D 일반 CCD 비활성화 그래프
7800X3D CO+PBO Enabled
Avg FPS: 205.7→221.5
1% Low: 111→120
7800X3D
Avg FPS: 203.3→211.2
1% Low: 111→113
7950X3D Normal CCD Disabled
Avg FPS: 203.3→217.7
1% Low: 107→120
5. 부스트 클록 게임 그래프
7800X3D
Avg: 4,627 MHz→4,938 MHz
6. CPU 온도 게임 그래프
7800X3D
Avg: 68.6 ℃→69.4 ℃
Peak: 74.5 ℃→74.1 ℃
7. 게임 전체 소비전력, 평균 패키지 파워, 평균 GPU 전력 그래프
Total Power Consumption
7800X3D Cyberpunk 2077
Avg: 375.9 W→392.5 W
Peak: 391.0 W→409.9 W
CPU Package Average Power
7800X3D
Cyberpunk2077: 59.2 W→65.3 W
GPU Average Power
7800X3D: 221.6 W→229.5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