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228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20,900 원
  • 로켓배송 듀라셀 알카라인 AA 건전지, 20개입, 1개
    13,900 원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38,600 원
  •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헤어에센스 상한머리 손상모 헤어로션 수분 모발 크림 + 사은품
    22,000 원
  • 로켓배송 코닥 알카라인 건전지 AA 벌크형
    5,990 원
  • 로켓배송 홈플래닛 알카라인 AA건전지
    8,89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3-01-09

    ASUS ROG AZOTH는 흔히 75%라고 칭하는 배열 중에선 평범한 축에 속합니다.

  • 퀘이사존

    2023-01-06

    듀얼 체임버라고 다 같지 않다     전 세계적으로 팬층이 두터운 브랜드로 ASUS ROG를 꼽을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3-01-05

    ▲ 자세한 제품 사진 보러 가기 ▲ GIGABYTE AORUS 지포스 RTX 4070 Ti Master 12GB 영상 감성을 가득 채운 그래픽카드     GIGABYTE

  • 퀘이사존

    2023-01-04

    ▲ ROG MAXIMUS Z790 HERO(왼쪽)와 Z690 HERO(오른쪽)     ASUS ROG MAXIMUS Z690과 Z790 HERO 메인보드를 보면 디자인의

  • 퀘이사존

    2023-01-03

    처음 소개해드리는 H770 칩세트 메인보드는 ASUS PRIME H770-PLUS D4 인텍앤컴퍼니입니다.

  • 퀘이사존

    2023-01-03

    ▲ 자세한 제품 사진,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 ASRock B760M 스틸레전드 WiFi D5 & PG SONIC 영상  * 연출 사진입니다

  • 퀘이사존

    2023-01-03

    메인스트림 시장을 꾸준히 지켜오던 에너지옵티머스에서도 230V EU BRONZE 인증을 받은 EXCEL CLASSIC 시리즈의 라인업을 500W부터 800W까지 구성했는데요. 600

  • 퀘이사존

    2023-01-03

    ▲ DEEPCOOL CH370 WHITE 영상 (링크)사방팔방이 사각형인 DEEPCOOL 케이스▲ BMW 5시리즈의 키드니 그릴 (출처: BMW코리아 내 차량 만들기)    BMW의 대표적인 상징으로 키드니 그릴을 들 수 있습니다. 전면 그릴이 두 개로 나누어진 모습이 신장Kidney을 닮았다는 데에서 유래되었는데요. 1933년에 처음 도입되어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형태가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큰 특징은 유지한 패밀리룩은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이런 움직임은 같은 자동차는 물론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끼쳐 요즘은 브랜드 상징과 패밀리룩을 만드는 데에 상당한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좌: Deepcool 구 로고 / 우: Deepcool 신 로고    PC 브랜드 중에서는 2021년 로고와 대표 색상을 완전히 변경한 DEEPCOOL이 눈에 띄는데요. 로고만 봐도 파란색에서 청록색으로, 곡선에서 각진 디자인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DEEPCOOL 제품에서도 나타납니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 LT720은 워터 블록 모양과 RGB 효과를 사각형으로 디자인했습니다. 그리고 로고만 심플하게 넣어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 DEEPCOOL 제품임을 각인시켜주고 있습니다.    케이스 역시 빼먹지 않았습니다. 칼럼으로 소개 드린 적 있는 CG560과 CK560은 전면, 상단, 후면 그리고 하단까지 모든 메시와 에어홀을 사각형으로 구성했죠. 이번에 소개할 DEEPCOOL CH370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에 편의성과 심미성을 올려주는 기능까지 추가해 기존 DEEPCOOL 케이스와는 차별화된 모습까지 갖추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어지는 본문을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조립 4. LED 연출 5. 쿨링 테스트 6.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패널 구성] 전면: 금속/에어홀, 좌측: 강화유리, 우측: 금속 패널, 상단: 금속/에어홀    외부 패널은 화이트지만, 내부는 블랙인 블랙&화이트 조합입니다. 전면 에어홀은 DEEPCOOL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사각형으로 뚫었는데요. 그뿐만 아니라 전면 패널 측면, 우측 금속 패널 하단 그리고 후면 에어홀도 같은 모양입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헤드셋 거치대] 길이 약 5 cm    전면 패널에는 2개의 기능이 숨어 있습니다. 전면 기준, 상단 좌측에 새로운 브랜드 색상인 청록색 바Bar와 함께 네모난 버튼이 하나 보이는데요. 이를 누르면 헤드셋 거치대가 튀어나옵니다. 견고한 편이라 다른 장식물도 걸 수 있겠네요.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전면 패널 디자인입니다. 하단에 숨어있는 손잡이가 있는데,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살짝 앞으로 당기면 아래로 튀어나옵니다. 그러면 내부 구조물이 이동하여 '+' 형태에서 'I' 형태로 바뀝니다. 이는 디자인적 요소로, 원하는 모습으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였는데요. 과연 쿨링 성능에도 영향을 줄지, 잠시 후 쿨링 테스트 파트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I/O 포트 구성] Power, Reset, USB 3.2 Gen1 Type-A(5 Gbps) x 2, HD Audio & MIC Combo    상단 에어홀도 사각형으로 구성했으며, 자세히 보시면 먼지 필터 또한 사각형으로 뚫었습니다. I/O 포트 버튼도 빼먹지 않고 사각형으로 디자인했으며, USB 포트는 브랜드 색상인 청록색으로 구성했네요.     하단에는 네 모서리에 받침대가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패드가 붙어있습니다. 하단 파워서플라이 에어홀도 사각형이지만, 먼지 필터는 흔히 사용하는 연질 플라스틱에 원형 에어홀로 구성했네요.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좌측 강화유리 패널] 자석 + 걸쇠 고정 방식    좌측 강화유리 패널에는 배송 중 긁힘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비닐이 붙어 있습니다. 강화유리를 열 때, 걸쇠가 완전히 넘어가지 않도록 어느 정도 잡아주지만, 완전한 안전장치가 아닌 만큼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우측 금속 패널] 후면 손나사+걸쇠 고정 방식    우측 패널 하단 에어홀 내부에 먼지 필터를 제공하는데요. 접착제로 붙어 있어서 청소기 또는 에어 불로워 등으로 청소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전면 메시 패널] 내부 먼지 필터 제공    전면 패널은 하단에 있는 틈을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내부 상단에는 앞서 살펴본 헤드셋 거치대가 보이며,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구조물에 먼지 필터가 부착되어 있는데요. 나사를 풀고 금속 패널과 플라스틱 프레임 분리해야 하며, 스프링이 있어서 분해하기는 번거로운 편입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메인보드와 상단 패널의 간격] 실측 약 57 mm[PCI 슬롯] 수평 슬롯 4개, 재사용할 수 있는 커버 제공, 슬롯간 프레임 존재[쿨링팬 호환성] 파워서플라이 채임버 상단: 120 mm x 2    메인보드와 상단 패널까지 약 57 mm(실측)의 공간이 있어서, 두께 기준으로는 시중에 판매 중인 대부분의 일체형 수랭 쿨러(쿨링팬+라디에이터 두께 합 52 mm)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장착부 우측으로는 그래픽카드 지지대가 있습니다.[전면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2 or 120 mm x 3, 라디에이터: 최대 360 mm 규격[상단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2 or 120 mm x 2, 라디에이터: 최대 280 mm 규격[후면 호환성] 쿨링팬: 120 mm x 1[기본 제공 쿨링팬]후면: Non-LED 120 mm x 1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장치 호환성] 최대 SSD 3개 + HDD 1개 또는 SSD 2개 + HDD 2개    메인보드 장착부 뒷면에는 SSD만 장착할 수 있으며, 하단(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저장장치 베이 윗부분에만 HDD 또는 SSD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하단 저장장치 베이는 좌우로 옮기거나, 제거하여 파워서플라이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케이스 섀시 두께 측정은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여 각 부분을 점검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 와 같습니다.     강화유리 두께는 약 4T, 금속 패널 및 섀시는 약 0.6~0.7T로 일반적인 두께입니다.

  • 퀘이사존

    2023-01-03

    바로 darkFlash ELLSWORTH S21 ARGB인데요.

  • 퀘이사존

    2022-12-29

    기본 성능이 일반적인 번들팬에 비해서 우수하고, 쿨링팬 자체 AS 기간도 3년이라 오랫동안 추가 지출이 필요 없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29

    더욱 강해져서 돌아온 Core P3 TG PRO BLACK    여러분이 사용하고 계신 케이스는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나요? 일반적으론 아마 6면에 패널이 모두 있는 타워형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종종 큐브형이나 오픈형과 같은 독특한 형태를 가진 케이스를 사용하는 분들도 계시는데요. 특히 오픈형의 경우 테스트를 자주 진행하여 부품의 교체가 잦거나, 혹은 오픈형 자체 디자인에 매료되어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전보다 오픈형 케이스의 종류가 다양해지긴 했지만, 여전히 대표 모델로는 써멀테이크 Core P3를 꼽을 수 있습니다.    써멀테이크 Core P3 강화유리 Pink Edition 칼럼 바로가기써멀테이크 Core P3 SE Red Edition with AMD 라이젠 칼럼 바로가기     Core P3는 퀘이사 칼럼과 리포트로 몇 차례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칼럼에서는 얼마 전 등장한 후속작인 Core P3 TG PRO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본 틀은 비슷하지만, 기존 모델에서 지적되었던 부품 호환성과 편의성 등을 개선하였는데, 이어지는 내용을 통해 하나하나 확인해보시죠.  목차 1. 조립 과정 및 특징 2. 두께 3. 조립4. 쿨링 테스트5.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기존 Core P3와 이번에 새로 나온 PRO 모델의 특징에 대해서 간략히 정리를 했습니다. 칼럼을 보기 전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구성품] 파워서플라이 지지대, 그래피카드 지지대, 원형 지지대, 펌프 브래킷, PCI 슬롯 브래킷, 측면 지지대, 각종 나사 및 케이블 타이, 사용설명서, 저장 장치 브래킷, 그래픽카드 슬롯 브래킷, 라디에이터 브래킷, 하단 받침대, 강화유리, 측면 섀시    써멀테이크 Core P3 TG PRO는 다른 케이스와 다르게 먼저 조립이 필요합니다.       먼저 케이스 메인 섀시이자 측면부입니다. 측면 금속 패널은 손나사 6개로 고정이 되어있으니 이를 풀어서 분리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분리하면 위와 같이 내부가 등장하게 됩니다. 측면 패널의 경우 왼쪽에 에어홀이 있고, 그 위로 자석으로 고정된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강화유리를 섀시에 고정하기 위해선 원형 지지대를 먼저 장착해야 합니다. 지지대에 체결되어 있는 큰 나사를 사용해 섀시의 네 모서리에 맞춰서 사진과 같이 장착해주면 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케이스 받침대를 장착하는데, 하단 지지대에 맞춰서 받침대를 장착한 후 받침대 아래에 나사홀에 맞춰 나사를 고정하면 됩니다. 전작의 경우 일자로 된 2개의 받침대로 고정을 하였다면 이번엔 앞뒤가 통합된 1개의 큰 사각형 받침대를 사용하여 조금 더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라디에이터 호환성] 최대 420 / 360 mm [쿨링팬 호환성] 140 mm x 3 EA or 120 mm x 3 EA    라디에이터 브래킷은 전면 혹은 상단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취향에 맞춰서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장착할 때 오른쪽 상단에 있는 원형 지지대를 빼고 장착하면 좀 더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어느 방향에 장착하든 동일한 라디에이터 / 쿨링팬 호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케이스들은 360 mm 규격까지 사용이 가능한데 써멀테이크 Core P3 TG PRO는 420 mm 규격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브래킷 설치 위치는 140 mm ~ 200 mm까지 20 mm 단위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사용하는 파워 길이에 맞게 브래킷 위치를 조절하면 됩니다.(권장일 뿐, 필수는 아닙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Micro-ATX 혹은 Mini-ITX 규격 메인보드를 사용한다면 위와 같이 수직으로 파워를 장착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PCI 슬롯] 수평 or 수직 8 EA /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 슬롯 사이 프레임이 있는 부분 개방형    그래픽카드를 수평으로 장착 시, PCI 슬롯은 위와 같이 나사홀에 맞춰 설치하고, 그래픽카드 지지대 역시 오른쪽 나사홀에 장착하면 됩니다. 장착 전에 사용하려는 그래픽카드의 높이에 미리 맞춰두면 좋습니다.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대략적인 케이스의 형태를 갖추었을 겁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써멀테이크 Core P3 TG PRO는 그래픽카드 수직 장착도 지원하는데요. 파워서플라이 브래킷 쪽에 먼저 원형 지지대를 장착한 후, PCI슬롯에 하단 브래킷을 결합한 뒤 장착해주면 됩니다.    그래픽카드 슬롯에 라이저 케이블(별매)을 장착 후, 라이저 케이블 고정 브래킷을 사용해 하단 브래킷에 고정해주면 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측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면 Core P3 TG PRO 모습이 완성됩니다. 기존과 동일하게 네 모서리에 손나사로 고정합니다. 차이가 있다면 하단 받침대에 강화유리 지지대가 있어서 손쉽게 장착을 할 수 있습니다. 전작의 경우엔 지지대가 따로 없어 손으로 받쳐서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편의성이 개선된 모습이네요.    우측 패널에는 전작과 동일하게 벽걸이용 브래킷 또는 VESA Mount(75 x 75 mm, 100 x 100 mm)를 장착할 수 있는 나사홀도 있습니다. 벽걸이용 wall mount는 별도로 구매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에 있던 지지대를 측면 패널 모서리에 장착하면 사진과 같이 수평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I/O 포트 구성] Power, USB 3.2 Gen1x1 Type-A x 2, USB 3.2 Gen2x1 Type-C x 1, HD Audio, MIC, Reset    I/O 포트에서도 변화가 생겼는데요. 전작은 USB 3.2 Gen1x1 Type-A 2개, USB 2.0 Type-A 2개였다면, 이번엔 최신 트렌드에 맞게 USB 2.0 Type-A 2개를 빼고, USB 3.2 Gen2x1 Type-C x 1가 추가 되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 장치 브래킷 호환성] SSD x 1 EA or HDD x 1 EA     저장 장치 브래킷은 2개를 제공합니다. 해당 브래킷은 측면에 라디에이터나 쿨링팬을 장착하지 않을 경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저장 장치 베이 호환성] SSD x 3 EA or HDD x 2 EA     메인보드 장착부 뒤쪽에도 저장 장치 베이가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HDD 혹은 SSD를 선택하여 장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라디에이터 호환성] 최대 420 / 360 mm[쿨링팬 호환성] 140 mm x 3 EA or 120 x 3 EA     측면에도 라디에이터 /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전작에선 측면에 라디에이터나 쿨링팬을 장착하면 그래픽카드 장착에 제한이 생겼는데, 써멀테이크 Core P3 TG PRO에선 이 공간을 깊게 만들어 제품 간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개선했습니다. 이는 조립 파트에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강화유리는 약 3.9T, 측면 금속 패널은 약 0.9T, 내부 섀시는 약 1.1T로 두꺼운 편에 속합니다.[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Vulcan OC 16GB 그래픽카드, 써멀테이크 TOUGHLIQUID Ultra 360 수랭 쿨러, GIGABYTE Z790 AORUS ELITE 메인보드[그래픽카드 호환성] 길이 450 mm (커스텀 수랭 펌프 장착 시 길이 제약 생김)[저장 장치] 최대 SSD 5개 or HDD 4개 (측면 라디에이터 장착 시 SSD 3개 or HDD 2개)    부품을 장착하여 시스템을 완성한 뒤 내부 모습입니다. 오픈형 케이스답게 개방적인 형태가 인상적입니다.    측면에 쿨링팬+라디에이터를 장착해도 그래픽카드를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쿨링팬+라디에이터 두께 합이 64 mm를 넘길 경우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래픽카드 수평 장착 시의 모습입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별도의 라이저 케이블을 이용하여 수직 장착을 한 모습입니다. 개인적으론 수직 장착한 모습이 조금 더 끌리네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그래픽카드를 수평 혹은 수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거치 방식도 수직, 수평, 벽걸이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2년 9월 30일 작성 기준 케이스 칼럼부터 ATX 및 Mini-ITX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스템에 다소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 테스트에 사용되었던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 그래픽카드의 서멀 재도포 작업을 진행하여 이전보다 온도 효율이 더 좋아졌습니다. 이점을 참고하시어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2022년 10월 7일 이후 칼럼부터 테스트에 사용한 일체형 수랭 쿨러가 Fractal Design Lumen S24 RGB에서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모델로 변경되었습니다.     ATX 규격 이상 케이스는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다면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CPU는 Intel Core i9-9900K(MCE ON)를 사용합니다. Mini-ITX 케이스는 Intel Core i7-10700K를 장착하여 NOCTUA NH-L12S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수랭 쿨러 장착 가능한 케이스의 경우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를 장착하여 진행합니다.) 공통사항으로는 PWM 모드 Normal(Standard) 프리셋과 GD900 서멀컴파운드 사용입니다.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는 Cyberpunk 2077를 10분간 구동하면서 HWiNFO를 통해 측정된 값입니다.     위 구성이 퀘이사존 케이스 쿨링 테스트 공식 프리셋이지만, 콘셉트나 구조가 특별하여 내부적으로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시나리오 추가 혹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조립 연출에 사용한 CPU 쿨러와 쿨링 테스트에 사용하는 CPU 쿨러는 다른 제품입니다. 쿨링 테스트는 위에서 언급한 CPU 쿨러 2종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있으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2022/2/24부터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라면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쿨링 테스트를 진행 결과, CPU 스로틀링, 급격한 GPU 부스트 클록 하락 등 이상 현상은 없었습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기존 Core P3 특장점에 추가된 쿨링 설루션 확장성    써멀테이크 Core P3는 오픈형 케이스 중에서도 유명한 제품이었습니다. 일반 타워형 케이스와 구조가 비슷하면서도 부품 교환이나 원활한 통풍 등 오픈형으로서의 매력도 느낄 수 있는 제품이었죠. 칼럼 주인공인 Core P3 TG PRO도 기존 콘셉트를 거의 그대로 유지해 해당 특장점 역시 그대로 계승했습니다. 또한, 이번에 추가된 브래킷을 이용하면 전면 혹은 상단에 라디에이터/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어 쿨링설루션 확장성도 좋아졌습니다. 그래픽카드도 수평으로 장착하거나 라이저 케이블(별도 구매)을 사용하면 수직 장착도 가능합니다. 거치 방식도 수평과 수직, 벽걸이(mount 별도 구매) 이렇게 3가지 중 선택하여 거치할 수 있기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습니다.■ 개선된 편의성    기존 Core P3 TG가 가지고 있던 아쉬운 부분이나 최신 트렌드에 맞게 변화된 부분이 몇 가지 있습니다. 가장 먼저 하단 받침대에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에는 일자로 된 받침대 2개로만 고정을 하였으나, PRO 모델에 와선 사각형의 받침대 1개로 고정하여 조금 더 견고해졌습니다. 거기에 더해 강화유리를 지지할 수 있는 받침대가 생겨 조금 더 안전하게 탈착을 할 수 있죠. 또한, 측면 라디에이터 / 쿨링팬 장착부를 안쪽으로 들어가게 만들어 그래픽카드 수평 장착 시 생기던 간섭도 해결했습니다. I/O 포트는 요즘 트렌드에 맞게 USB 2.0 Type-A 포트를 없애고, USB Type-C 포트를 추가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사용자가 필요로 했던 부분을 잘 반영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20 mm 라디에이터 혹은 140 mm 팬 3개를 사용한다 · 호환성이 뛰어난 오픈형 케이스를 찾고 있다 · 커스텀 수랭을 고려하고 있다  · 먼지에 대해서 민감하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27

                화이트 컬러도 출시했으니 츄라이 츄라이~    칼럼 및 리포트를 작성하면서 다양한 케이스를 접하다 보면 케이스 별로 장점이나 단점이 보이기 마련입니다. 특히 같은 시리즈의 케이스를 다루거나 이전과는 다른 변화가 생긴 케이스의 경우 그런 부분이 더욱 두드러지죠. 이번 리포트에서 소개할 제품은 여러모로 만족스러웠지만 개인적인 아쉬움이 한 가지 있던 케이스입니다. 바로 잘만 Z10 PLUS White입니다.잘만 Z10 PLUS 칼럼 바로가기    Z10 PLUS는 칼럼을 통해서 두 번 다루었던 제품입니다. 처음에는 신제품으로서 소개해드렸고, 두 번째는 일부 개선이 되어 다시 한번 소개를 해드렸죠. 그리고 이번에는 Z10 PLUS White, 즉 화이트 컬러로 출시했습니다. 만듦새나 쿨링 성능 등에서 만족스러웠지만, 블랙 단독 컬러로 출시했던 제품이라 화이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들에겐 아쉽게도 선택하기 어려운 제품이었습니다. 저 역시 화이트로 나와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출시하였네요. 그럼 리포트를 통해서 화이트 컬러인 Z10 PLUS는 어떤 느낌일지 확인해보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조립 4.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기존 블랙 컬러인 Z10 PLUS와 외관은 동일합니다. 전면 풀메시 구성에 독특한 에어홀 패턴이 특징입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강화유리 패널은 스윙 도어를 적용하였습니다. 흰색 플라스틱 손잡이가 있어 쉽게 여닫을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우측은 금속 패널로 되어있습니다. 고정 방식은 후면에 위치한 손나사와 걸쇠를 이용합니다. 패널의 왼쪽에 에어홀이 타공되어 있고, 내부엔 자석으로 고정하는 화이트 컬러에 맞춰 손나사도 비슷한 계열인 은색입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은 Z10 PLUS의 특징이 담겨 있습니다. 첫 번째로 독특한 에어홀 모양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케이스에선 원형이나 육각형 모양을 사용하지만, Z10 PLUS는 평행사변형으로 구성하였습니다. 해당 에어홀이 3개 모이면 육면체 모습이 보이는 것도 하나의 포인트입니다. 두 번째 특징으론 측면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성된 먼지 필터입니다. 전면 패널을 분리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손잡이를 당겨서 탈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I/O 포트 구성] Power, Reset, HD Audio, MIC, USB 3.2 Gen1x1 Type-A x 2, USB 3.2 Gen2x1 Type-C x 1, LED Control    상단부는 중앙에 자석으로 고정하는 먼지 필터가 부착되어 있고, 오른쪽에 I/O 포트가 있습니다.    하단부는 각 모서리에 지지대가 있고, 모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장착부 에어홀에는 슬라이드형 먼지 필터가 마련되어 있습니다.[쿨링팬 호환성] 하단: 120 mm x 3 EA    패널 내부를 보게 되면, 먼저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에 나사홀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부분에 쿨링팬을 장착하여 내부 온도를 조금 더 신경 쓸 수 있지만, 나사는 제공하지 않아 조금 아쉽네요.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측면엔 사진과 같이 뚫려있는 형태라 사용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깔끔하고 심플한 파워를 사용하면 좋겠습니다.[쿨링팬 호환성] 측면 : 120 mm  x 2 EA    메인보드 장착부 우측에도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해두었습니다.[PCI 슬롯] 수평 7 EA / 재사용 가능 커버 / 개방형 구조[기본 번들팬] 전면 140 mm RGB Fan x 3 EA / 후면 120 mm RGB Fan x 1 EA[쿨링팬 호환성] 전면 : 140 mm x 3 EA or 120 mm x 3 EA / 후면 : 120 mm x 1 EA    케이블이 지나는 통로에 고무마개가 장착되어 있고,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게 벨크로 타이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Z10 PLUS는 5V 3핀 addressable RGB 6 포트 허브를 기본 제공합니다. 상단 LED 스위치 및 메인보드 SYNC 기능을 사용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전원 커넥터는 SATA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 장치 호환성] SSD 브래킷(2 EA) : SSD x 1 EA / HDD 베이 : HDD x 2 EA or SSD x 2 EA▲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 중 하나로 ZM-VS1 그래픽카드 지지대가 있습니다. 지지대 하단은 자석, 받침대는 손나사 2개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잘만 Reserator5 Z36 RGB White 수랭 쿨러 /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ULTRA OC 16GB White 그래픽카드 / GIGABYTE Z690 AERO G 메인보드 / 잘만 TeraMax 850W 80PLUS Gold Full Modular White 파워서플라이[상단 라디에이터 호환성] 360 / 280 mm[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길이 395 mm[최대 저장 장치 개수] SSD 2 EA & HDD 2 EA or SSD 4 EA[파워서플라이 가용 공간] 기본 : 260 mm (HDD 베이부터 케이스 끝까지) / 230 mm (HDD 베이 이동 시) / 415 mm (HDD 베이 제거 시)    시스템 구성은 곧 출시할 잘만의 신제품으로 구성했습니다. 기존에 잘만의 파워는 모두 블랙 컬러로 되어있는데, 이제는 트렌드에 맞게 화이트 제품도 나오게 되었습니다. Reserator5 Z36는 기존 White와 동일한 듯 보이지만, 장착된 쿨링팬에 RGB를 추가하여 더욱 화려한 연출이 가능해졌습니다.    화이트 모델이라 이전에 살펴봤던 블랙 모델보다 좀 더 화사한 느낌이네요. ■ 업그레이드에 멈추지 않고, 화이트 컬러도 출시!    지난 6월에 처음 잘만 Z10 PLUS를 소개해드리고, 11월에 다시 한번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이유는 개선된 사항이 있기 때문이었는데요. 측면 강화유리 패널에 스윙 도어 적용, 쿨링팬 커넥터는 3핀, ARGB 허브 전원 커넥터는 SATA를 적용하면서 편의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여기서 끝난 줄 알았던 Z10 PLUS가 이번엔 화이트 모델로도 출시되었습니다. 칼럼을 쓸 당시에도 화이트 모델도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했었고, 유저들이 작성한 댓글에도 화이트 모델로 나오면 이쁘겠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희망에 응하듯 Z10 PLUS에 화이트 컬러가 추가되었는데요. 블랙 모델과는 다른 화사함을 가지고 있고, 색감도 잘 빠진 편이라 화이트 시스템을 구성하는 분들에게 어울리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준수한 부품 호환성!    최근 그래픽카드의 크기가 커지면서 호환성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잘 사용하던 케이스라도 그래픽카드 호환성이 맞지 않으면 장착할 수 없으니까요. 잘만 Z10 PLUS의 경우 최대 395 mm 제품까지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하이엔드 제품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카드 뿐만 아니라 다른 부품에 대한 호환성도 좋은데요. 공랭 쿨러는 최대 높이 173 mm, 수랭 쿨러는 전면과 상단에 360 / 280 mm 규격까지 장착할 수 있어 부품 선택에 제약이 없는 편입니다. 쿨링 성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한다면, 측면 120 mm 2개, 하단 120 mm 3개의 쿨링팬을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장착 공간도 기본 약 260 mm / HDD 베이 제거 시 약 415 mm로 여유롭습니다. 전체적으로 준수한 호환성을 가지고 있어, 시스템 빌드가 자유로운 제품입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23

    이번 칼럼에서 살펴볼 정림전자 GMASTAR JG321C7741 도 마찬가지인데요.

  • 퀘이사존

    2022-12-23

    지난 2022년 11월에 darkFlash DS5000을 소개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21

    ASUS ROG MAXIMUS Z790 APEX 리뷰 영상 오버클록 특화 모델 "APEX" 화이트 PCB에 감각적인 디자인 그리고 오버클록까지    

  • 퀘이사존

    2022-12-15

    ASRock의 새로운 메인보드 브랜드, LiveMixer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15

    그런데 ASUS가 구현했습니다.    목차 1. 제품 외형 2. 스위치, 스태빌라이저, 키캡 3. 분해 4.

  • 퀘이사존

    2022-12-14

    ▲ 리안리 V3000 PLUS 영상 (링크)새내기의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리안리Lian Li는 쿨링팬, CPU 수랭 쿨러, 파워서플라이도 취급하고 있지만, 가장 먼저 'PC 케이스'를 떠올리실 겁니다. 대표적으로 듀얼 체임버 구조의 O11 시리즈가 있지만, Q58 또는 A4-H20 같은 Mini-ITX 케이스와 일반적인 타워 형태의 LANCOOL 시리즈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앞서 언급한 최근 인기있는 시리즈가 아닌 리안리가 알루미늄 케이스 전문 회사라는 명성을 거머쥐는 데 큰 역할을 한 시리즈의 신제품을 살펴볼까 합니다. 바로 리안리 V3000 PLUS입니다.    전체적인 콘셉트는 기존 PC-V3000과 비슷한 면이 없잖아 있지만, 출시한 지 상당한 시간이 지난 만큼 많은 부분이 변하고 개선되었습니다. 우선 최근 라인업처럼 제품명 앞에 'PC'를 제거하였으며, 기존에도 상당한 크기를 자랑하는 빅 타워였지만, 한층 더 커지면서 호환성이 대폭 향상되었는데요. 48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3개 장착할 수 있거나, DUAL SYSTEM을 구성할 수 있는 등 일반적인 타워 케이스에서 좀처럼 보기 힘든 호환성을 자랑합니다. 그리고 내부 구조 변경 같은 다양한 기능도 추가되었는데요. 이어지는 사진과 글을 통해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구조 변경 4. 조립 5. LED 연출 6. 쿨링 테스트 7.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기본 구성품] Mini-ITX 메인보드 브래킷(DUAL SYSTEM), PCI 슬롯 수직 변환 브래킷, 툴박스(나사), 파워서플라이 변환 브래킷(DUAL SYSTEM), 커넥터 장착 브래킷, 저장장치 장착 브래킷 2개, 멀티 브래킷, 케이블 타이, 그래픽카드 지지대    케이스 콘셉트에 맞게 다양한 브래킷을 제공합니다.    리안리 V3000 PLUS는 674 x 279 x 678.5 mm(H x W x D)로 미들 타워 케이스가 일반적으로 500 x 220 x 500 mm 내외임을 고려하면 상당한 크기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무게도 약 30 kg로 성인 남성이 들기에도 버거운 편입니다. 전체적인 디자인 콘셉트는 PC-V3000과 유사하지만, 세부적으로는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전면에 메시로 추가했고 강화유리는 스윙도어 방식으로 변경했다는 점이 대표적이네요.     크기 체감을 위해 리안리 LANCOOL III과 비교해봤습니다. LANCOOL III도 크기가 523 x 228 x 526 mm(H x W x D)로 결코 작지 않습니다. 하지만 V3000 PLUS 옆에 서있으니 마치 미니 타워로 착각할 정도로 작아 보이네요.▲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메시 패널은 중앙과 양 측면에 헤어라인 디자인을 적용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했으며, 중앙에서는 RGB LED가 점등합니다. 측면 메시 패널 역시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강화유리에는 배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긁힘 또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비닐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후면이 다른 타워 케이스보다 복잡한 편인데요. 잠시 후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나사를 풀고 내부 구조를 변경하거나, 파워서플라이 브래킷을 회전 또는 변경할 수 있습니다. [I/O 포트 구성] RGB Color, RGB Mode, System 1: Power, Reset, USB 3.2 Gen 1 Type-A x 2 EA, USB 3.2 Gen 2 Type-C x 1 EA, HD Audio & MIC / System 2: Power, Reset, USB 3.2 Gen 1 Type-A x 2 EA, USB 3.2 Gen 2 Type-C x 1 EA, HD Audio & MIC    상단 패널도 전면과 같은 알루미늄 합금과 메시로 되어 있습니다. 하나 차이가 있다면 중앙에 RGB LED가 없습니다. 제일 좌측에는 전면 RGB LED Color와 Mode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있고, 그 옆으로 전원 버튼과 USB 포트가 두 세트 보이는데요. S1과 S2로 분류되어 있으며, DUAL SYSTEM을 구성하기 위함입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하단에는 네 모서리에 받침대가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패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먼지 필터가 하나 보이는데요. 자석으로 부착되어 있어서 좌우(사진 기준)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분리하기 쉽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양 측면 강화유리는 스윙도어 방식으로 개폐할 수 있습니다. 안전을 위해 고정 나사(전면 패널 제거 후 접근 가능)가 있으니, 먼저 풀어주시기 바랍니다. 이후 내부에 스프링 핀이 있어서 강화유리를 눌러(케이스 전면부 중앙) 열 수 있는데요. 닫을 때 제대로 닫히지 않는다면, 두 스프링 핀이 같은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위 사진처럼 따로따로 위치해 있다면 하나를 눌러서 맞춰 주시면 됩니다. 두 강화유리 패널은 틴트의 농도가 다른데요. 좌측은 옅게, 우측은 짙게 구성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은 볼 헤드&클램프로 고정하며, 하단 틈에 손을 넣어 당기면 패널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내부에는 별도의 먼지 필터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단에 금속 핀과 접촉 단자가 보이는데, 이는 전면 패널에 들어간 RGB LED를 위한 설계입니다. 또한, 하단에 LIAN LI 문구가 뒤집혀 있는데, 그 이유는 잠시 후에 확인하겠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측면 메시 패널도 볼 헤드&클램프로 고정하고 있습니다. 케이스 후면에 있는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먼지 필터는 없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 역시 전면 패널과 같은 볼 헤드&클램프 방식으로 고정하고 있습니다. 케이스 후면에 있는 틈을 잡아당겨 분리할 수 있습니다. 역시 별도의 먼지 필터는 제공하지 않네요.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PCI 슬롯] 8 슬롯, 재사용 커버 제공, 슬롯 간 프레임 있음[측면 SSD 브래킷 호환성] SSD x 4 EA    PCI 슬롯 간 프레임이 있는 구성이지만, 슬롯을 90° 돌려 장착할 수 있데, 이는 구조 변형 파트에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메인보드 장착부 우측에는 SSD 브래킷이 있으며 나사를 풀어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전면 브래킷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3 or 120 mm x 4 / 라디에이터: 최대 480/420 mm 규격[후면 브래킷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1 or 120 mm x 1 / 라디에이터: 최대 140 mm 규격    V3000 PLUS는 상당한 크기만큼 쿨링팬/라디에이터 호환성도 뛰어납니다. 48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최대 3개까지 장착할 수 있죠. 전면 브래킷은 고정 나사를 풀고, 레버를 젖혀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상단 브래킷 호환성] 쿨링팬: 200 mm x 2 or 140 mm x 3 or 120 mm x 4 / 라디에이터: 최대 480/420 mm 규격    상단에는 200 mm 쿨링팬을 2개 장착할 수 있으며, 커스텀 수랭에 쓰이는 480 mm 규격의 4열 라디에이터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상단 브래킷은 고정 나사 5개(좌측 3개, 우측 2개)를 풀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꺼낼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체임버 상단 브래킷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3 or 120 mm x 3 / 라디에이터: 최대 420/360 mm 규격[체임버 측면 브래킷 호환성] 쿨링팬: 140 mm x 3 or 120 mm x 4 / 라디에이터: 최대 480/420 mm 규격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에는 쿨링팬/라디에이터 브래킷과 멀티 브래킷이 있는데요. 멀티 브래킷에는 워터 펌프를 고정할 수 있습니다. 상단과 측면 브래킷은 고정 나사만 풀면 분리할 수 있습니다. [SSD 브래킷] 4개, 스프링 클램프를 사용한 툴프리 고정 방식    우측 중앙에는 SSD 브래킷이 있으며,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도록 벨크로 타이를 제공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장치 케이지] 케이지 2개 제공, 각 케이지당 SSD/HDD 트레이 4개 제공     하단에 저장장치 케이지는 좌우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트레이 고정 나사가 바깥 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착해야 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쿨링팬 브래킷은 장착 위치와 방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하단을 먼저 걸어주고, 상단 레버를 밀면서 상단 걸쇠도 맞춰주면 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쿨링팬 및 라디에이터 구성 방식에 따라 전면 브래킷 위치와 방향을 바꿔 사용하면 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장착 트레이도 분리할 수 있습니다. 내부와 외부(후면)에 있는 고정나사를 전부 풀면 메인보드 장착 트레이와 상단 가림막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측면과 후면이 시원하게 뚫려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분리된 메인보드 장착 트레이에서 PCI 슬롯과 옆에 있는 커버는 나사를 풀어 분리할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PCI 슬롯 수직 변환 브래킷을 하단에 장착하고 PCI 슬롯을 90° 돌려 장착하고 커버는 그 위에 장착하면 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메인보드 장착 트레이를 90° 돌려 섀시에 고정하고 같이 분리했던 상단 가림막을 사용해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뚫린 곳을 막아 줍니다. 그리고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에 있던 브래킷을 케이스 후면에 장착해주면 ROTATE 모드로 변경이 완료됩니다. 물론 PCI 슬롯을 90° 돌리지 않고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STANDARD 모드에서 PCI 슬롯을 90° 돌리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STANDARD 모드에서 상단 가림막을 제거 후 메인보드 장착 트레이를 한 칸 올려 장착하고, 하단에 ITX 메인보드 브래킷을 장착하면 DUAL SYSTEM 모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후면 파워서플라이 브래킷을 변경하여 ATX와 SFX/SFX-L 파워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으며, 수직 PCI 슬롯 3개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모드에 따른 배치 비교▲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앞서 분리했던 하단 저장장치 케이지는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하는 브래킷을 사용하여 메인보드 장착부 우측에 장착할 수 있습니다. 단, SSD 브래킷은 제거해야 하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케이스 우측에 있던 저장장치 브래킷을 제거 후, 커넥터/허브 장착 브래킷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UNI FAN 같은 쿨링팬을 사용할 경우 유용하게 쓰이죠.     케이스 섀시 두께 측정은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여 각 부분을 점검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 와 같습니다.     강화유리는 금속 프레임 때문에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했습니다. 강화유리와 금속 프레임을 동시에 측정하고, 금속 프레임 두께만 제외한 결과 약 4T로 확인된 점 참고 바랍니다. 금속 패널 및 섀시는 약 1.1~1.5T로 두꺼운 편에 속합니다. 

  • 퀘이사존

    2022-12-14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600W 230V EU BRONZE 메인스트림 PC 시장을 겨냥한 600W 브론즈 파워     그래픽카드 성능이 높아지며, 더 많은

  • 퀘이사존

    2022-12-13

    ROG HERO      ASUS의 대표적인 게이밍 브랜드, ROG 메인보드는 여러 등급으로 나뉩니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