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텍앤'의 검색 결과 입니다. ( 950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에이수스 PRIME B660M-K D4 인텍앤컴퍼니
    146,000 원
  • [비앤티] 띠벽지 패널시트 몰딩 무늬목 몰딩시트지 부분보수시트 창문보수시트 현관문패널시트(10cm * 10M)
    12,900 원
  • 로켓배송 에이수스 PRIME H610M-K D4 인텍앤컴퍼니
    101,000 원
  • 에이수스 인텔 CPU용 메인보드 PRIME H510M-K (인텍앤컴퍼니)
    101,500 원
  • [비앤티] 띠벽지 패널시트몰딩 무늬목 몰딩시트 부분보수시트 창문보수시트 현관문패널시트(10cm*5M)
    7,900 원
  • 로켓배송 ASUS GT730 4H SL 2GD5
    150,00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08-31

    ASUS ROG STRIX B660-G GAMING WIFI 인텍앤컴퍼니입니다. 어? 오버클록 해야 하는데 칩세트가 B660? 뭔가 잘못된 거 아닌가요? 사실 제대로 골랐습니다.

  • 2022-08-27

    안녕하세요 조립 처음 해보는데요 조립하고 나니까 asus prime b660m-k d4 인텍앤컴퍼니 비프음 삑 하고 1회 나던데 Cpu는 인텔 코어 i5-12400F 엘더레이크 입니다

  • 퀘이사존

    2022-08-22

    - G마켓, 옥션 한가위빅세일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모니터 다양한 품목 할인 혜택 ASUS(에이수스)의 공식 디스트리뷰터 인텍앤컴퍼니(대표 서정욱)는 G마켓 및 옥션 한가위빅세일

  • 퀘이사존

    2022-08-16

    소개해드릴 제품은 ASUS PH 지포스 GTX 1630 4GB 인텍앤컴퍼니로 아담한 크기의 보조 전원이 필요 없는 엔트리 그래픽카드입니다.

  • 퀘이사존

    2022-08-11

    ASUS PRIME B660M-K D4 인텍앤컴퍼니 메인보드는 인텔 12세대 i9/i7/i5/i3/펜티엄 프로세서를 지원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6+1+1 페이즈 디지털 전원부와

  • 퀘이사존

    2022-08-03

    Kryonaut Extreme 2g 3종 모두 증정 - 극한 오버클럭킹 및 고성능 메모리 지원, 수랭 시스템 유저 위한 하이엔드 게이밍 메인보드 ASUS(에이수스) 공식 디스트리뷰터 인텍앤컴퍼니

  • 퀘이사존

    2022-08-01

    Gaming VG279QR는 즉시 할인 11%과 중복 쿠폰 18% 제공 - 행사 제품 구매하고 리뷰 작성하면 네이버페이 2천원 추가 증정 ASUS(에이수스) 공식 디스트리뷰터 인텍앤컴퍼니

  • 퀘이사존

    2022-07-27

    콘텐츠를 만들 때 정확한 색을 보는 것이 왜 중요할까?    콘텐츠를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람과 환경마다 서로 다른 답을 제시하겠지만, 저는 정확한 색을 보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이나 글을 책으로 담는 출판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한 권의 책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작업이 필요한데, 최종 과정에는 인쇄가 있습니다. 요즘은 컴퓨터로 작업한 콘텐츠를 프린터로 인쇄하는데요. 그런데 종이로 뽑힌 인쇄물이 모니터로 보이는 화면과 차이가 있다면 큰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모니터에서는 분명 빨간색으로 작업을 했는데, 프린터로 인쇄한 색은 다홍색이라면 의도한 색상과 다르므로 다시 작업을 해야 하고, 상황에 따라 전량 폐기하고 다시 인쇄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걸까요? 우선 모니터는 빨강(Red), 초록(Green), 파랑(Blue) 세 가지를 혼합해 색을 표현하는 반면에 프린터는 청록(Cyan), 자홍(Magenta), 노랑(Yellow) 세 가지를 혼합해 색을 표현합니다. 전자는 빛의 삼원색(가산혼합), 후자는 색의 삼원색(감산혼합)1)이라고 말하죠. 최대한 간단하게 설명하면 RGB로 작업한 콘텐츠를 CMY(K)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왜곡이 발생하고, 따라서 화면과 인쇄물이 다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결국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를 정확하게 보정하여 같은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모니터가 필요한데, 이를 전문가 모니터라고 부릅니다.    전문가 모니터는 작업 환경이나 목적에 맞는 정확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 색 보정을 적용한 사전 설정인 컬러 프로파일Color Profile을 지원합니다. 그리고 교정 장비로 화면 색을 분석해 의도한 색으로 바로잡도록 교정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지원하는 제품도 있습니다. 이를 잘 갖춘 제품이라면 콘텐츠를 제작할 때와 완성한 결과물 차이가 작아 시간과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인쇄물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는 출판뿐만 아니라 사진과 영상 콘텐츠를 제작할 때도 정확한 색을 보는 것은 중요합니다. 디지털 콘텐츠는 컴퓨터와 모바일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접하지만, 작업할 때는 보편적이고 표준화된 환경을 갖춰야 그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니터가 표시하는 색 공간도 목적에 따라 Adobe RGB(사진, 인쇄), DCI-P3(영화), sRGB(RGB 표준) 등으로 나뉩니다. 전문가 모니터는 이런 요소를 대부분 지원하니 좋은 제품을 선택하면 콘텐츠를 제작할 때 색 왜곡으로 인한 걱정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1) 색의 삼원색 : 실제 인쇄업에서는 색의 삼원색에서 검정(Key)을 추가한 CMYK를 주로 사용하나, 본문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이를 생략함.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ASUS에서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제품을 선보여 왔습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마더보드, 그래픽카드뿐만 아니라 모니터 시장에서도 잔뼈가 굵은데요. 퀘이사존 회원에게는 ROG Swift, ROG Strix, TUF Gaming같은 게이밍 모니터가 친숙하겠지만,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문가를 위한 ProArt 시리즈도 꾸준히 내놓고 있습니다.     ProArt는 전문가를 위한 노트북, 데스크톱 PC, 모니터, 프로젝터, 마더보드, 주변기기를 공격적으로 내세우며 브랜드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그중에는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내장한 OLED 모니터(PA32DC)와 DisplayHDR 1400 지원 및 Mini LED를 탑재한 모니터(PA32UCG)도 있습니다. 수준 높은 장비를 요구하는 전문가를 충분히 만족하기 위해 제품 개발을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이번 칼럼에서 소개할 ASUS ProArt PA27UCX도 콘텐츠 제작을 위해 탄생한 전문가 모니터입니다. 목적에 맞게 캘리브레이션을 지원하고, 다양한 색 공간을 제공합니다. OSD에서 선택 가능한 것만 무려 다섯 가지인데, Adobe RGB, DCI-P3, Rec. 2020(BT.2020), Rec. 709(BT.709), sRGB를 지원해 쓰임새에 따라 골라 쓸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이 특별한 이유는 한 가지 더 있는데요. 바로 훌륭한 HDR 성능입니다. VESA DisplayHDR 1000 인증을 받고, Mini LED를 탑재해 576개 구역에서 빛을 내는 Full Array 방식 로컬 디밍을 지원합니다. 따라서 최근 증가하고 있는 HDR 콘텐츠에도 충분히 대응합니다. Dolby Vision, HLG, HDR10 등 영상 규격에 따라 구분된 HDR 표준을 지원하는 점도 인상적입니다.     전문가 모니터답게 작업 환경에서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도 다양한데요. 서론에서 미리 얘기하면 김빠지니 이어지는 내용으로 살펴보겠습니다.아래부터는 주요 특징 소개가 이어집니다.제품 사진은 이어지는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ASUS가 게이밍 모니터에서 화려함을 강조한 디자인을 사용한다면, 전문가 모니터인 ProArt는 실용성을 중시한 디자인을 사용합니다. 화면 주위는 두툼한 베젤을 감쌌고 이너 베젤 방식에 비하면 개방감은 줄어들지만,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을 보호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단 베젤 가운데에는 금색 ASUS 로고를 새겼으며, 스탠드 받침대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책상 위를 차지하는 면적은 넓지만, 표면이 평평해 다른 물건을 올려둘 수 있습니다. OSD 버튼은 화면 뒤쪽에 배치했는데 직관성이 아쉬우나, 버튼에 돌기를 새겨 구분이 쉽고 화면에 버튼 기능을 표시해 사용하기 어렵지 않습니다.     뒷면은 고급스러운 느낌을 잘 살렸습니다. 위쪽에 있는 큼지막한 금색 ASUS 로고는 검은색 바탕과 잘 어울리며, 뒷면 전체에 가로로 수많은 선을 그어놔 시각적으로 넓어 보이는 효과를 줍니다. 화면 정중앙에 VESA 마운트가 있어 모니터 암을 사용할 때 다양한 각도로 움직여도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고, 별도 도구 없이 원터치 방식으로 탈착할 수 있습니다. 입출력 단자는 아래를 바라보고 있으며, 덮개와 선정리 구멍으로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전문가 모니터라면 모니터 USB 단자를 자주 활용할 텐데 다른 단자와 마찬가지로 뒤쪽에 배치해 편의성이 떨어지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스탠드 기둥은 금속을 사용했으며 가운데에 창을 뚫어놔 높낮이를 조절할 때 위치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제품 사진 보기    영상 단자는 HDMI 2.0 2개, DisplayPort 1.2 1개를 제공합니다. 음성 단자는 3.5 mm 오디오 출력 1개를 제공하며 2 W x2 스테레오 스피커를 내장합니다. 기타 단자로 USB 3.2 Gen 1 Type-A 4개(Down Stream), USB 3.2 Gen 1 Type-C 2개1), USB 2.0 Type-A 1개(펌웨어 업데이트 전용)를 제공합니다. 전원 공급 장치는 내장했습니다.    1) USB 3.2 Gen 1 Type-C 2개 : #1 Up Stream, DisplayPort Alternate Mode, USB Power Delivery 90 W(USB-C #2로 외부 전원 입력 필요) / #2 Down Stream, Power In Max 90 W    기본 구성품으로 DisplayPort 케이블, HDMI 케이블, USB-A to USB-C 케이블, USB-C to USB-C 케이블, 전원 케이블, 차광 후드, 입출력 단자 덮개, 컬러 캘리브레이션 테스트 보고서, ASUS VIP 맴버 공지, 빠른 시작 설명서를 제공합니다. 사진에 보이는 내용물은 제조사 사정에 따라 실제 구성과 다를 수 있습니다.    28° 앞뒤 각도 조절(틸트), 120° 좌우 각도 조절(스위블), 120 mm 높이 조절(엘리베이션), 180° 회전(피벗) 기능을 지원합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체격이 다르고 서로 다른 책상과 의자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모니터를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하다 보면 눈높이가 맞지 않을 수도 있는데요. 잘못된 자세로 오랜 시간 동안 PC를 사용하면 피로가 쉽게 발생하거나 거북목 현상이 우려되므로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뒷면에는 100 x 100 mm 규격 VESA 마운트를 제공해 모니터 암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실제 측정 기준 화면 부분 무게는 7.61 kg입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DisplayPort 1.2 40 Hz ~ 60 Hz, HDMI 2.0 40 Hz ~ 60 Hz까지 가변 주사율 기술을 지원합니다. AMD FreeSync 및 NVIDIA G-SYNC 호환 제어판 활성화가 가능합니다. 그래픽카드 제조사별 가변 주사율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변 주사율 기술은 그래픽카드 프레임을 모니터 주사율에 맞추는 수직 동기화와 달리 모니터 주사율을 그래픽카드 프레임에 맞춰줍니다. 덕분에 테어링과 스터터링을 동시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가변 주사율 기술은 제품에 따라 적용 가능한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이를 벗어나지 않아야 쾌적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AMD, NVIDIA가 규정한 정식 절차를 거쳐 가변 주사율 기술 관련 모든 실험을 통과해 공식 모니터 목록에 포함 및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서 지원하는 제품에 대해서는 "인증"이라고 표기하고, 그러지 않은 제품은 "제어판 활성화 가능"이라고 표기합니다. "제어판 활성화 가능"한 제품은 AMD, NVIDIA에서 가변 주사율 기술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AMD FreeSync 알아보기AMD FreeSync 인증 모니터 / AMD FreeSync 인증 TVNVIDIA G-SYNC 알아보기NVIDIA G-SYNC 인증 모니터 / TVVESA 인증 AdaptiveSync 디스플레이 알아보기VESA AdaptiveSync 인증 모니터VESA DisplayHDR 1000with Dolby Vision, HLG, HDR10     HDR(High Dynamic Range)은 밝음과 어두움 표현 범위를 늘려 다채롭고 명암 차이가 극대화된 화면을 보여주는 기술입니다. 일반적인 화면에 태양이 표시되면 그저 밝게 보일 뿐이지만, HDR을 지원하는 화면은 실제로 태양을 보는 것처럼 눈부심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HDR 지원 모니터나 텔레비전은 10-bit 이상 패널을 사용해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보다 밝기 범위는 물론 색상 표현을 훨씬 세밀하게 보여줄 수 있는데요. HDR 종류나 등급에 따라 화면 전체를 밝히는 것이 아닌 필요한 영역만 밝히는 로컬 디밍Local Dimming을 지원하기도 해 훨씬 사실 같은 화면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사진 출처 : https://displayhdr.org/    HDR 규격은 VESA에서 정한 DisplayHDR 그리고 다양한 업체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HDR10이나 Dolby Vision, HLG 등이 있습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VESA DisplayHDR 1000 인증을 받았으며, Dolby Vision, HLG, HDR10을 지원합니다.Mini LED with 576 Zone Full Array Local Dimming    VESA DisplayHDR 500 이상 등급은 화면을 부분적으로 밝히는 로컬 디밍을 지원해야 합니다. 밝은 곳은 밝게, 어두운 곳은 어둡게 표시하기 위해서입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DisplayHDR 1000 인증을 받은 만큼 로컬 디밍을 지원하며 사용자를 향해 빛을 내는 576개 구역 Full Array 방식 로컬 디밍을 사용합니다. Full Array 방식 로컬 디밍은 화면 전체를 비추는 일반적인 LCD 백라이트와 수직으로 빛을 비추는 Edge Lit 방식 로컬 디밍에 비해 필요한 부분만 빛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화소 자체를 켜고 끄는 OLED에 비하면 불필요한 곳도 밝아지는 약점이 있지만, 광원 크기가 작은 Mini LED를 사용해 배경이 완전히 어두운 콘텐츠가 아니라면 큰 불편함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Mini LED를 사용한 모니터는 콘텐츠 주위가 뿌옇게 보이는 일명 블루밍Blooming 현상이 존재합니다. 모니터 화소는 수백만 개에 달하는 반면에 조명 개수는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Off-Axis Contrast Optimization 기술을 사용해 블루밍 현상을 최대 80% 줄이고 명암을 최대 7배까지 개선한다고 주장합니다.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캘리브레이션은 컴퓨터가 보여주고자 하는 색을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교정하는 과정을 일컫습니다. 사진 작업을 한다고 가정할 때 컴퓨터 화면으로 보이는 대상과 최종적으로 출력하는 인쇄물에 차이가 있다면 시간과 비용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반 사용자도 온라인으로 구매한 물건이 인터넷에서 보던 사진과 실물 색이 달라 당황하는 등 비슷한 사례가 있을 겁니다. 모니터에 캘리브레이션을 적용한다면 화면으로 보이는 색과 실제 대상의 색을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어서 낭패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캘리브레이션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은 모니터 OSD 설정 또는 Windows에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버 설정을 바꾸며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색을 교정하는 방법인데, 정확한 계측 없이 사람 눈으로 짐작할 수밖에 없어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대신 누구나 비용 없이 시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은 측정 장비를 사용해 디스플레이가 출력하는 색을 감지하여 교정하므로 정확한 색을 표시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구매하거나 대여해야 하지만, 전문 작업을 위한 모니터라면 측정 장비를 이용해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하는 것이 위험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좋습니다.ASUS ProArt Calibration 2.0 소프트웨어     ASUS ProArt PA27UCX는 정확한 색을 표시하도록 제조 과정에서 팩토리 컬러 캘리브레이션을 거칩니다. 이를 증명하는 문서를 기본 구성품으로 제공하기도 하죠. 그뿐만 아니라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이 가능한 ASUS ProArt Calibration 2.0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데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캘리브레이션 장비를 사용해 화면을 교정할 수 있습니다. 환경에 맞는 색역과 밝기, 색온도, 감마 등을 지정할 수 있고, OSD 설정에 측정값을 저장할 수 있죠.▲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결과▲ 문서 저장 가능    Datacolor SpyderX Elite 캘리브레이터를 사용해 ASUS ProArt Calibration 2.0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해 봤습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sRGB 색역을 목표로 밝기(100 cd/m²)와 색온도(6,500 K), 감마(2.2) 등을 설정해 봤는데, 의도한 값에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캘리브레이션 결과는 소프트웨어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PDF 문서로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후 색상 정확도 결과     캘리브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색상 정확도를 측정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델타 E 평균 1.13 편차를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 델타 E 수치가 2.0 미만이라면 정확한 색을 표시한다고 말할 수 있으니 캘리브레이션 결과는 만족스럽습니다.차광 후드     수시로 빛이 번쩍이는 스튜디오처럼 주변에 강한 빛을 내는 조명 기기가 있거나 자연광이 스며드는 창문을 마주하고 모니터를 사용한다면 눈부심으로 인해 화면을 보기 어렵습니다. 이런 환경에서 화면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주변 광원을 가려줄 필요가 있는데요. 그래서 전문가 모니터는 주변 빛을 차단하는 차광 후드를 제공하는 제품이 많습니다. ASUS ProArt PA27UCX 역시 차광 후드를 기본 제공해 촬영 현장이나 주변 빛이 강한 곳에서 사용하기 좋습니다.    차광 후드 사용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모니터 근처에 강한 빛을 내는 조명이 있다면 눈은 동공이 수축하면서 빛을 적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그러면 비교적 빛이 약한 화면은 잘 보이지 않게 되죠. 이럴 때 차광 후드를 사용하면 강한 빛을 가려줘 화면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주변에 불필요한 시선이 가는 사물이나 배경이 있을 때에도 차광 후드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차광 후드는 기본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나, 바깥 부분은 인조 가죽으로 마감해 고급스러운 느낌이 듭니다. 모니터와 핀으로 고정하므로 탈착에 별도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안쪽은 부드러운 극세사Suede 재질을 사용해 불필요한 빛 반사를 줄여줍니다.QuickFit     콘텐츠를 제작하는 전문가는 제작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보이는 결과물을 고려해야 합니다. 만약 의도한 결과물이 나오지 않는다면 시간과 비용에서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원하는 색을 표현하도록 목적에 맞는 색상 영역과 색상 오차가 낮은 제품을 선택하는 등 신경 써야 할 사항이 많습니다. 인쇄 작업을 예로 들자면 실제 용지 크기를 고려해 콘텐츠를 만드는 것도 중요하죠.▲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실제 용지 크기를 화면에 표시하는 QuickFit 기능을 제공해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 결과물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A4, B5 규격을 지원하고 길이를 가늠할 수 있는 Ruler, 여러 콘텐츠를 나란히 정렬할 수 있는 Alignment Grid도 제공합니다. 사용자 임의로 밀리미터와 인치 단위로 크기를 지정할 수도 있습니다.ProArt Preset / Palette     전문가 모니터답게 색 관련 기능을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Art Preset에서는 사용 환경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고를 수 있는 화면 모드 설정을 제공합니다. sRGB, Adobe RGB, Rec. 2020(BT. 2020), DCI-P3, Rec. 709(BT. 709) 등 색상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DICOM, 암실 등 특수 환경을 위한 화면 모드도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한 설정을 최대 2개까지 저장할 수 있는 프리셋도 제공해 편의성을 더합니다. 또한 HDR 환경에서는 다중 PQ(Perceptual Quantization) 커브를 지원해 최대 휘도를 정확하게 표시할 때까지 PQ 곡선을 유지하거나(PQ Hard Clip), 모니터 최대 밝기에 해당하는 밝기 재현(PQ Optimized), 그리고 일반적인 HDR 성능을 제공(PQ Basic)하는 사전 설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ProArt Palette에서는 밝기, 콘트라스트, 채도, 색조, 색조절, 감마, 검정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색 항목에서는 6축 색조와 채도, R, G, B 게인 레벨, 검정 레벨 오프셋을 자세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주변광 효과    모니터에 내장한 조도 센서로 주변 광원을 인식해 사용자 환경에 맞는 밝기로 화면을 조절합니다. 주변이 밝으면 화면을 밝게, 반대로 어두우면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밝기 설정을 바꾸지 않아도 주변 환경과 자연스러운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자동 밝기 기능을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USB-C     최신 노트북은 USB-C를 적극적으로 사용합니다. USB-C는 차지하는 공간이 작아 기기를 소형화하기 쉽고 단순한 자료 전송 외에도 영상과 음성 신호 전송, 그리고 전원 공급까지 케이블 하나로 모두 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요. 차세대 인터페이스인 USB4를 비롯해 Thunderbolt 3/4가 USB-C를 채용하면서 앞으로 더욱더 많은 기기에서 쓰임새가 많아지리라 예상합니다. USB-C를 지원하는 노트북과 ASUS ProArt PA27UCX를 연결하면 화면을 출력(DisplayPort Alternate Mode)하면서 배터리를 충전(USB Power Delivery 90 W)할 수 있고 모니터가 제공하는 USB 단자(Data Stream)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모니터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이 아닌, 여분 USB-C 단자를 통해 최대 90 W 전원을 입력받아 연결한 USB-C 기기에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즉, USB-PD를 사용하려면 외부 어댑터를 연결해야 합니다.    스마트폰과 모니터를 USB-C 케이블로 연결하면 스마트폰 화면을 모니터에 표시하는 스크린 미러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모바일 게임을 큰 화면으로 즐길 수 있고 컴퓨터를 켜는 대신 스마트폰을 사용해 영상 콘텐츠를 감상할 수도 있는데요. Android OS를 데스크톱 사용자 경험으로 제공하는 삼성 덱스 기능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 USB-A 단자를 활용하면 키보드나 마우스 조작도 가능합니다.화면 분할     한 번에 여러 영상 신호를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화면 분할을 제공합니다. 화면 분할 종류는 화면을 나눠주는 PBP(Picture by Picture)와 화면 안에 화면을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가 있습니다.     PBP는 화면을 나눠서 표시합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2/3/4분할을 지원하며, 2/3분할 상태에서는 절반을 차지하는 화면을 3840 x 2160 해상도와 16 : 9 비율을 유지하거나, 1920 x 2160 해상도를 선택해 8 : 9 비율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각 입력 신호마다 색상 영역을 최대 2개까지 개별 설정할 수 있습니다.    PIP는 화면 안에 작은 화면을 표시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모서리 위치에 화면을 위치할 수 있으며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Konica Minolta CA-410 Probe : CA-P427Admesy Brontes Colorimeters / NVIDIA LDAT    퀘이사존은 디스플레이 색 분석 장비 Konica Minolta CA-410 Probe : CA-P427을 사용해 디스플레이 측정을 진행합니다. CA-410 장비는 전용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LCD 모니터, OLED 텔레비전, 스마트폰 화면 측정이 가능합니다. 퀘이사존이 보유한 CA-P427 Probe는 ∅27 mm 크기 측정경을 가지며 초저휘도 0.0001 cd/m²부터 고휘도 5,000 cd/m²까지 화면 밝기를 측정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 주사율(최대 240 Hz) 및 플리커 측정이 가능합니다. 더욱더 완벽한 디스플레이 분석을 위해 모든 측정 대상은 30분 이상 스트레스를 가하는 에이징Aging 과정을 거치며 외부 빛 간섭이 없는 암실에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Admesy Brontes Colorimeters는 디스플레이 GTG(Gray to Gray)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장비로 밝은 회색에서 어두운 회색으로, 반대로 어두운 회색에서 밝은 회색으로 변하는 소요 시간을 1/1,000초로 나타냅니다. NVIDIA LDAT는 시스템 지연 시간 측정 장비로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데에 걸리는 소요 시간을 1/1,000초로 나타냅니다.    화면 측정 결과는 에이징 상태, 주변 환경, 제품마다 반드시 차이가 존재하므로 아래에 소개하는 내용은 특정 제품 성격을 완벽하게 대변하지 못합니다. 반드시 참고 용도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2021.01.01 디스플레이 분석 Ver 1.0 도입    2021.12.13 디스플레이 분석 Ver 1.1 판올림: 테스트 시스템 그래픽카드(ASUS ROG STRIX RTX3080 O10G V2 GAMING) 변경    2022.04.11 디스플레이 분석 Ver 1.2 판올림: 색상 영역(CIE u'v') 추가, 시스템 지연 시간 환경(Rainbow Six Siege+Reflex Boost) 변경색상 영역    색상 영역Color Gamut은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을 의미합니다. 퀘이사존은 Adobe RGB, DCI-P3, NTSC 1953/1987, BT.2020, sRGB 6개 색상 영역을 CIE xy/CIE u'v' 기준으로 나타내며 측정 대상이 얼마만큼 색을 표현할 수 있는지 결괏값을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위 사진에서 무지개 부채꼴은 CIE xy/CIE u'v' 영역을 나타내며 빨간색 삼각형은 측정 대상이 지원하는 색상 영역입니다. 비율은 표준 색상 영역 대비 측정된 넓이를, 범위는 표준 색상 영역에 포함되는 넓이를 의미하며 표준 색상 영역 범위를 얼마나 만족하는지 중요합니다.감마    감마Gamma는 디스플레이에 입력하는 회색조Gray Level와 화면으로 출력하는 휘도Luminance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X축은 회색조를, Y축은 휘도를 의미하며 사이를 가로지르는 선이 감마 값입니다. 회색조는 0부터 255까지(8-bit 기준) 검은색에서 하얀색으로 변하는 256 단계를 같은 간격으로 나눈 명암 범위이며, 휘도는 각 명암 범위에 따른 디스플레이 휘도 값입니다. 회색조와 휘도가 정비례하는 감마 1은 어두운 곳은 쉽게 구분하나 밝은 곳을 구분하는 감각이 부족한 사람 눈 특성을 고려해 사람 눈에 최적화된 감마 2.2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감마 2.2를 기준으로 이보다 수치가 낮으면 화면이 밝게 느껴지고 수치가 높으면 화면이 어둡게 느껴집니다.백색 밝기 및 균일도    휘도Luminance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밝음 정도를 나타냅니다. 표기 단위는 촛불 1개가 1 m² 공간에 비추는 광량을 의미하는 cd/m²(칸델라, Candela)를 사용하며 nit(1 cd/m² = 1 nit)와 혼용하기도 합니다. 백색White 밝기는 OSD 설정(0%부터 100%까지 20 단위로 구분)별 흰색 화면 밝기와 인쇄용지에 가까운 화면 밝기인 120 cd/m²를 어느 OSD 설정에서 만족하는지 측정합니다. 균일도Uniformity는 측정 대상 화면 밝기가 최대일 때 화면 전체에서 밝기를 얼마만큼 고르게 표시하는가 나타내는 지표로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밝기 차이가 작음을 의미합니다.밝기 유지     최신 디스플레이는 HDR을 지원하면서 최대 화면 밝기가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화면이 밝아질수록 발열과 소비 전력이 늘어나고, 이는 제품 내구성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일부 제품은 최대 밝기를 오랜 시간 유지하지 못하고 점점 어두워지는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밝기 유지 항목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서 30분간 HDR 환경 기준 백색 100% 영역 화면을 표시해 변화를 관찰합니다.흑색 밝기 및 균일도    흑색Black 밝기는 OSD 설정별 검은색 화면 밝기와 인쇄용지에 가까운 화면 밝기인 120 cd/m² 기준 흑색 밝기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합니다. 균일도는 측정 대상 화면 밝기가 최대일 때 화면 전체에서 밝기를 얼마만큼 고르게 표시하는가 나타내는 지표로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밝기 차이가 작음을 의미합니다. 백라이트를 항상 켜는 일반적인 LCD와 다르게 OLED 또는 로컬 디밍을 지원하는 제품은 검은색을 표시할 때 화소 또는 백라이트를 완전하게 꺼버려 흑색 밝기는 사실상 0 cd/m입니다.명암비 및 균일도    명암비Contrast Ratio는 디스플레이가 표현할 수 있는 밝음과 어두움 차이를 나타내며 디스플레이 백색 밝기에서 흑색 밝기를 나눈 값(백색 밝기 300 cd/m² ÷ 흑색 밝기 0.1 cd/m² = 3,000 : 1)을 표기합니다. 명암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밝음과 어두움 차이를 세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균일도는 측정 대상 화면 밝기가 최대일 때 화면 전체에서 명암비를 얼마만큼 고르게 표시하는가 나타내는 지표로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명암비 차이가 작음을 의미합니다. 백라이트를 항상 켜는 일반적인 LCD와 다르게 OLED 또는 로컬 디밍을 지원하는 제품은 검은색을 표시할 때 화소 또는 백라이트를 완전하게 꺼버려 명암비는 사실상 무한대입니다.색온도 및 균일도    색온도(Color Temperature 또는 White Balance)는 광원 색을 수치로 나타내는 것으로 표기 단위는 절대온도를 의미하는 K(Kelvin)를 사용합니다. 색온도가 높으면 푸른빛이 감도는 하얀색을 표현하며 색온도가 낮으면 붉은빛이 감도는 하얀색을 표현합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6,500 K를 표준으로 사용합니다. 균일도는 측정 대상 화면 밝기가 최대일 때 화면 전체에서 색온도를 얼마만큼 고르게 표시하는가 나타내는 지표로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색온도 차이가 작음을 의미합니다.▲ 화면 모드: 표준▲ 왼쪽: 화면 모드 Adobe RGB / 오른쪽: 화면 모드 DCI-P3▲ 왼쪽: 화면 모드 Rec. 2020(BT.2020) / 오른쪽: 화면 모드 sRGB(Rec. 709)색상 정확도    색상 정확도Color Accuracy는 컴퓨터가 보여주고자 하는 색과 디스플레이가 실제로 표현하는 색 차이가 얼마만큼 발생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45가지 색을 측정한 뒤 CIE xy 표준 L*a*b* 값 차이를 계산해 얼마만큼 차이 나는지 델타 E 수치(Delta E 2000 기준)로 표현합니다. 색상 정확도 측정은 화면 밝기 100 cd/m², 색상 영역 100%, 색온도 6,500 K, 감마 2.2를 표준으로 합니다. Adobe RGB, DCI-P3, BT.2020, sRGB 계산식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인 환경을 소개하며 델타 E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정확한 색을 표시합니다.화면 모드 별 디스플레이 분석    모니터와 텔레비전 등 디스플레이는 특정 환경에 최적화한 화면 모드를 제공합니다. 측정 대상이 지원하는 화면 모드를 기준으로 앞서 소개한 색상 영역, 감마, 백색 밝기, 흑색 밝기, 명암비, 색온도를 측정합니다.주사율    주사율Refresh Rate은 디스플레이가 1초에 표시할 수 있는 장면 수를 의미하며 표기 단위는 주파수를 나타내는 Hz(헤르츠, Hertz)를 사용합니다. 주사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매끄럽고 부드러운 화면을 느낄 수 있습니다. Konica Minolta CA-410 Probe : CA-P427 번들 소프트웨어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실제 디스플레이가 출력하고 있는 주사율을 최대 240 Hz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플리커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LCD 모니터는 빛을 내기 위해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을 사용합니다. 빛을 내는 백라이트 유닛은 전원 공급이 필요하며 60 Hz 교류 전력을 사용하는 특성상 플러스 전압과 마이너스 전압을 계속해서 반복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 무수한 깜박임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플리커Flicker라고 합니다. 사람 눈이 장시간 깜박임을 경험하면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데 최근 출시하는 대부분 모니터는 깜박임 현상을 최소화한 플리커프리Flicker Free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품에 따라 잔상 제거 기술을 사용하면 플리커 프리를 해제하기도 합니다.화소 구성    디스플레이는 수만 개 화소Pixel가 모여 있으며 화소는 서브 픽셀Sub Pixel로 나누어진 RGB(Red, Green, Blue) 조합으로 구성합니다. 패널 종류에 따라 서브 픽셀을 온전하게 표현하는 경우도 있지만, 더욱더 높은 명암비를 구현하기 위해 서브 픽셀을 위아래로 나누어 표현하기도 합니다. 전자는 화소 하나가 서브 픽셀 3개로 쪼개져 있어 3 서브 픽셀로 부르며 후자는 화소 하나가 서브 픽셀 6개로 쪼개져 있어 6 서브 픽셀로 부릅니다. OLED의 경우 더욱더 밝은 화면을 표시하기 위해 흰색White 서브 픽셀을 더한 WRGB 구조를 사용하기도 합니다.시야각    시야각Viewing Angle은 디스플레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기준으로 가장자리로 갈수록 휘도나 색영역, 감마 등 특성에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유지하는 최대 각도를 의미합니다. 가장자리로 갈수록 왜곡 발생이 심하면 시야각이 좁으며, 가장자리에서 바라봐도 왜곡이 적으면 시야각이 넓다고 표현합니다.빛샘    LCD 모니터는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해 화면을 비춥니다. 만약 패널이나 제품 조립 마감이 완벽하지 않으면 빛이 새어 나올 가능성이 있으며 어두운 화면을 표시할 때 화면 일부분이 하얗게 뜨는 증상을 일반적으로 빛샘Backlight Bleed이라고 표현합니다. VA 패널은 액정 소자가 수직으로 배열되어 어두움 표현이 유리하지만, IPS 패널은 액정 소자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어두움 표현이 부족해 패널 구조적 차이에 따른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따라서 IPS 패널은 VA 패널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빛샘이 많다고 느껴질 수 있으며 해외에서는 흔히 IPS Glow라고 표현합니다.▲ UFO Ghosting Test, UFO와 검은색/흰색 세로 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임, 글씨가 또렷하게 보이고 지나간 자리에 잔상(흔적)이 적을 수록 좋음 ▲ 밝기 변화 그래프, 빨간선 : Smoothed Data, 파란선 : Raw Data, 화살표 : Overshoot Data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응답 시간    LCD 모니터는 액정Liquid Crystal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움직이며 빛을 조절하며 액정이 움직이는 속도보다 화면이 변화하는 속도가 빠르면 잔상Motion Blur이 발생합니다. 이때 화소가 켜고 꺼지거나 변화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응답 시간Response Time이라고 표현합니다. 응답 시간은 일반적으로 회색 간 전환 시간을 측정하는 GTG(Gray to Gray)를 사용하고 이를 1/1,000초로 표기합니다. 퀘이사존은 회색조를 10단계로 나누어 GTG 기준 응답 시간을 측정하며 화면 밝기 변화가 이루어지는 전체 구간 중에서 10% ~ 90% 영역을 대상으로 합니다. 응답 시간이 빠르면 움직이는 콘텐츠 잔상이 적게 발생해 화면이 또렷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으며 UFO Ghosting Test에서 대상 왼쪽에 자국이 짧게 나타나거나 흔적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측정 대상 기본 응답 시간 설정은 그래프에서 감귤색으로 강조했습니다.시스템 지연 시간    인풋랙Input Lag은 키보드나 마우스 같은 입력 장치가 보낸 신호를 화면으로 표현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인풋랙은 모니터뿐만 아니라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이나 입력 장치, 네트워크 환경, 게임 종류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퀘이사존은 디스플레이 단독 인풋랙이 아닌 시스템 전체 지연 시간System Latency을 측정하며 측정 장비인 NVIDIA LDAT 활용에 용이한 레인보우 식스 시즈 게임을 대상으로 합니다. 그래픽카드 부하량에 따라서 시스템 지연 시간에도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레인보우 식스 시스 게임 설정은 낮음을 사용하며 NVIDIA Relfex는 Boost로 설정합니다. 시스템 지연 시간(System Latency)이란?(눌러서 펼치기) 시스템 지연 시간 : 주변 기기 지연 시간 시작부터 디스플레이 지연 시간 종료까지 전체 엔드 투 엔드 측정을 포함하는 시간.┗ 주변 기기 지연 시간 : 입력 디바이스에서 기계적 입력을 처리하고 입력 이벤트를 PC에 전송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마우스 HW : 마우스가 유선으로 이벤트를 전송할 준비가 되었을 때 첫 전기적 접점으로 정의. 마우스에는 마우스 버튼을 누르는 데 지연 시간을 추가하는 몇 가지 루틴 존재(디바운싱 등). 디바운싱 루틴은 중요하며 마우스가 의도와 다르게 클릭 되는 것을 방지. 추가로 클릭 되는 현상은 디바운싱 루틴이 너무 공격적이어서 클릭이 한 번이 아니라 두 번 전송되는 더블 클릭이라고도 함. 따라서 마우스 성능에 중요한 속성은 지연 시간만 있는 게 아님.- 마우스 USB HW : 디바운싱이 끝나면 마우스는 유선으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다음 폴에서 대기. 이 시간은 USB HW에 반영. ┗ PC 지연 시간 : 프레임이 PC를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 게임 및 렌더링 지연 시간 둘 다 포함.- 마우스 USB SW : 마우스 USB SW는 OS와 마우스 드라이버가 USB 패킷을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 샘플링 : 클릭은 마우스 폴링 속도에 따라 OS에 들어오며, 이때 게임에서 샘플링되기 위해 다음 기회를 기다려야 할 수 있음. 이 대기 시간은 샘플링 지연 시간이라고 함. 이 지연 시간은 CPU 프레임 레이트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음.┗ 게임 지연 시간 : CPU가 월드에 대한 입력 또는 변경을 처리하고 렌더링을 위해 GPU에 새 프레임을 제출하는 데 걸리는 시간.· 시뮬레이션 : 게임은 월드 상태를 꾸준히 업데이트해야 함. 이 업데이트는 보통 시뮬레이션이라고 함. 시뮬레이션에는 애니메이션, 게임 상태 및 플레이어 입력으로 인한 변경 사항 등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 시뮬레이션 단계는 마우스 입력이 게임 상태에 적용되는 때.· 렌더링 제출 : 시뮬레이션은 다음 프레임에서 사물을 어디에 위치시킬지 결정하면서, 렌더링 작업을 그래픽 API 런타임에 전송하기 시작. 런타임은 렌더링 명령을 그래픽 드라이버에 순서대로 전달.- 그래픽 드라이버 : 그래픽 드라이버는 GPU와 통신하고 명령을 그룹화하여 전송하는 임무를 맡음. 그래픽 API에 따라 드라이버가 개발자를 위해 이 그룹화를 할 수도 있고, 개발자가 렌더링 작업 그룹화 임무를 맡을 수도 있음.┗ 렌더링 지연 시간 : GPU가 프레임을 완전히 렌더링할 때 프레임이 렌더링 되기 위해 대기할 때부터 시간. · 렌더링 대기열 : 드라이버에서 GPU가 수행할 작업을 제출하면 작업이 렌더링 대기열에 추가. 렌더링 대기열은 GPU가 해야 할 작업을 항상 유지하여 GPU에 지속해서 피드를 공급하도록 설계. 이렇게 하면 FPS(처리량)를 최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음.· 렌더링 : GPU가 단일 프레임과 연관된 모든 작업을 렌더링하는 데 걸리는 시간.- 구성 : 디스플레이 모드(전체 화면, 테두리 없음, 창 모드)에 따라, OS Desktop Windows Manager는 특정 프레임에 대해 데스크톱 나머지 부분을 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렌더링 작업을 제출해야 함. 이렇게 하면 지연 시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구성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상 전용 전체 화면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함. ┗ 디스플레이 지연 시간 : GPU가 프레임 렌더링을 완료한 후 디스플레이가 새 이미지를 보여주는 데 필요한 시간.- 스캔아웃 : 구성이 완료되면 최종 프레임 버퍼가 표시될 준비됨. 그러면 GPU는 프레임 버퍼를 디스플레이에 보낼 준비가 되었다는 신호를 보내며 스캔아웃을 위해 어떤 프레임 버퍼가 읽히는지를 변경함. VSYNC가 켜져 있으면 디스플레이 VSYNC를 기다려야 하므로 프레임 버퍼 '플립'이 지연될 수 있음. 준비가 완료되면 GPU는 디스플레이 주사율(Hz)에 따라 다음 프레임을 줄별로 디스플레이에 공급함. 스캔아웃은 주사율과 관련된 기능이므로 '디스플레이 지연 시간'에 포함.- 디스플레이 처리 : 디스플레이 처리는 디스플레이가 수신하는 프레임(스캔라인)을 처리하고 픽셀 반응을 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 픽셀 반응 : 픽셀 색조가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픽셀은 실제 액정이므로 바뀌는 데 시간이 걸림. 픽셀 반응 시간은 필요한 변화 강도에 따라 바뀔 수 있으며, 패널 기술에도 영향을 받음. 소비 전력    OSD 화면 밝기 설정 별 소비 전력을 측정합니다. 모니터 간 비교를 위해 인쇄용지 기준이 되는 120 cd/m² 환경도 포함하며 측정 대상이 HDR를 지원한다면 VESA DisplayHDR Test 도구를 사용해 해당 환경을 측정합니다.SDRHDR표면 온도    열화상 카메라를 사용해 모니터 및 어댑터 표면 온도를 측정합니다. 표면 온도 측정은 실내 기온 25±1℃ 환경에서 최대 주사율 및 최대 밝기 상태로 흰색 화면을 띄워두고 30분 뒤에 진행합니다.소음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소음을 유발하지 않지만, 고성능 모니터는 내부 발열을 해소하기 위해 방열판을 추가하거나 쿨링팬을 탑재합니다. 더 높은 화면 밝기, 세밀한 로컬 디밍 등을 구현하다 보니 발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쿨링팬 종류에 따라 민감한 사람은 소음을 느낄 수 있는데, 대부분 모니터는 사람과 반대 방향인 뒤쪽에 뜨거운 공기를 빼내기 위한 배출구가 있어 소음을 직접적으로 전달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주변 소음이 적은 심야 시간이라면 작은 소리도 크게 느껴지므로 모니터 내부에 있는 쿨링팬으로 인한 소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소음 측정은 흰색 화면을 띄운 후 30분 뒤에 진행하며 50 cm 거리에 측정 도구를 두었습니다.    제품은 IPS 패널을 사용하며 제조사에서는 Adobe RGB 99.5%, DCI-P3 97%, Rec. 2020(BT.2020) 83%, sRGB 100%를 만족한다고 표기합니다. 측정 결과 CIE u'v' 기준 Adobe RGB 99.6% 범위와 123.7% 비율, DCI-P3 97.1% 범위와 114.9% 비율, Rec. 2020(BT.2020) 83.7%를 지원해 제품 사양을 만족합니다. sRGB는 CIE xy 기준 100% 범위와 158.7% 비율을 지원해 광색역을 표시합니다. 색온도는 6,400 K 수준으로 표준 6,500 K보다 조금 따뜻한 화면을 보여줍니다. 색상 정확도는 모니터가 제공하는 색역 설정에 부합(Adobe RGB 모드 = Adobe RGB 계산식)하는 환경에서 측정했으며 Adobe RGB 모드는 델타 E 평균 1.38, DCI-P3 모드는 델타 E 평균 4.92, Rec. 2020(BT.2020) 모드는 델타 E 평균 2.36, sRGB(Rec. 709) 모드는 델타 E 평균 1.53으로 확인했습니다. DCI-P3는 표준보다 부족한 색을 표시해 오차가 있지만, 나머지 항목은 전문가 모니터답게 양호한 수치를 보이며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적용하면 더 낮은 델타 E 수치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감마는 5가지 설정을 제공하며 표준 2.2와 가장 가까운 값은 2.16(2.2설정)입니다. OSD 표기와 실측값은 0.04 정도 차이가 있습니다. 밝기는 SDR 기준 OSD 설정 100%에서 백색 305.7 cd/m², 흑색 0.25 cd/m²를 만족해 명암비는 1,200 : 1을 조금 넘습니다. HDR 환경에서는 10% 영역 백색 1,502.2 cd/m², 100% 영역 백색 1,447.6 cd/m²로 검은색 화면에서는 백라이트를 꺼버려 이론상 명암비는 무한대입니다. HDR 환경에서 흰색 화면을 30분간 띄워놨을 때 100% 영역은 20분 경과 후 1,360 cd/m² 수준으로 하락하며, 10% 영역은 1,400 cd/m² 이상을 유지합니다. 두 환경 모두 시간이 지나며 조금씩 하락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VESA DisplayHDR 1000 인증을 받아 만족스러운 HDR 콘텐츠를 기대할 수 있으며 Mini LED를 사용해 필요한 곳만 부분적으로 빛을 내는 576 구역 Full Array 방식 로컬 디밍을 지원합니다.     1초간 밝기 변화는 0.7 cd/m² 수준으로 플리커프리를 지원하며, 화소는 RGB 3 서브 픽셀 구조를 사용합니다. IPS 패널답게 가장자리에서 화면을 바라봐도 밝기가 줄어들거나 색을 왜곡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어두운 화면을 표시할 때 패널 특성상 화면 모서리에서 빛 번짐 증상이 존재합니다.     패널은 60 Hz 주사율을 지원하며 측정 장비에서도 60 Hz 출력을 확인했습니다. Adaptive Sync(DisplayPort 1.2)와 Variable Refresh Rate(HDMI 2.0)를 지원하며 작동 범위는 40 Hz ~ 60 Hz입니다. 응답 시간은 최소 7.5 ms 수준이며 Trace Free 80 이상은 오버슈트 현상으로 정상 측정이 불가능합니다. 시스템 지연 시간은 20.2 ms ~ 20.6 ms 수준입니다.     내부에는 쿨링팬이 있어 소음 측정을 진행했으며 실내 소음 17.9 dBA 환경 기준 SDR에서 18.5 dBA, HDR에서 19.8 dBA로 측정되었습니다. 국가소음정보시스템에 의하면 시계 초침, 나뭇잎 부딪치는 소리 정도입니다.    화면 측정 결과는 에이징 상태, 주변 환경, 제품마다 반드시 차이가 존재하므로 특정 제품 성격을 완벽하게 대변하지 못합니다. 반드시 참고 용도로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가 모니터다운 디스플레이 품질    요즘 출시하는 모니터는 화면 품질이 꽤 많은 상형평준화를 이루었지만, 전문가 모니터에 비하면 역부족입니다. ASUS ProArt PA27UCX는 전문가 모니터답게 우수한 디스플레이 품질을 자랑하는데요. 퀘이사존 측정 기준 Adobe RGB 99.6%, DCI-P3 97.1%, Rec. 2020 83.7%, sRGB 100% 범위를 지원해 표현할 수 있는 색이 넓을 뿐만 아니라 용도에 맞는 색 공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표준보다 표현할 수 있는 색이 좁아 수치가 높은 DCI-P3를 제외하면 Adobe RGB, Rec. 2020, sRGB 설정에서 색상 정확도는 최저 1.38 수준으로 매우 뛰어납니다. 즉, 내가 원하는 색 공간을 선택하면 정확한 색을 표시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서론에서 언급했듯이 화면과 인쇄물이 달라 곤욕 겪을 일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마저도 만족스럽지 않으면 계측 장비를 사용해 화면 색을 교정하는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정 값은 최대 2개까지 PC가 아닌 모니터에 직접 저장해 OSD 설정에서 바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감마도 1.8부터 2.6까지 원하는 값을 고를 수 있고, ProArt Preset / Palette 설정에서는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색 설정을 제공합니다. 명암비는 IPS 패널 중에서 높은 편인 1,200 : 1 수준을 지원하며, 색온도는 표준 6,500 K에 가까워 작업하기 유리합니다. 전체적으로 균형이 좋으므로 작업 용도로 쓰기에 더할 나위가 없습니다.■ 다양한 환경에 대응하는 HDR    칼럼 제품은 VESA DisplayHDR 1000 인증을 받았으며, Mini LED를 사용해 576개 구역에서 빛을 내는 Full Array 방식 로컬 디밍을 지원합니다. 측정 결과 최대 밝기는 무려 1,500 cd/m²를 넘어섰는데요. 사실상 DIsplayHDR 1400 등급을 넘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힘을 숨기고 있는 겁니다. 무엇보다 이만큼 밝은 화면을 30분간 지속해도 밝기 저하가 크지 않다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게이밍 모니터 중에서도 1,000 cd/m² 이상을 지원하는 제품이 있지만, 1분 이상 버티는 제품이 흔치 않으므로 오랜 시간 작업하는 전문가 모니터다운 기본기를 보여줍니다. 그뿐만 아니라 Dolby Vision, HLG, HDR10을 지원하며, HDR 환경에서는 다중 PQ 커브를 지원해 최대 휘도를 정확하게 표시할 때까지 PQ 곡선을 유지하거나 모니터 최대 밝기에 해당하는 밝기 재현, 그리고 일반적인 HDR 성능을 제공하는 사전 설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양하게 누릴 수 있는 부가 기능    전문가 모니터는 주변 방해 없이 화면을 집중해서 볼 수 있어야 합니다. 칼럼 제품은 차광 후드를 기본 제공해 주변 빛이나 방해 요소를 가릴 수 있고, 몰입도를 증대합니다. 문서 작업할 때 실제 용지 크기를 가늠할 수 있는 QuickFit도 재밌는 기능인데요. 화면에 자를 띄울 수 있어 크기도 측정할 수 있습니다. USB-C 기능은 완성도가 아쉬운데, 케이블 하나로 화면 출력과 최대 90 W 배터리 충전, 그리고 자료 전송이 가능하지만, 모니터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습니다. 즉,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노트북 등 연결 기기에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러면 불가피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전원 입력을 위한 USB-C 단자를 차지하므로 확장성도 떨어집니다. 차기 제품에서는 USB-PD를 자체 지원하면 좋겠습니다. 다행히 화면 분할 기능은 활용도가 큰 편인데, 입력 신호를 최대 4개까지 분할 출력할 수 있는 PBP와 화면 속 작은 화면을 표시하는 PIP를 모두 지원합니다. 이 기능들을 잘 활용한다면 작업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한다     창업을 할 때는 고려해야 할 것이 많습니다. 그중에는 위치 선정이나 인테리어 작업 등이 있지만, 장비와 도구를 고르는 것도 중요합니다. 예컨대 빵집은 오븐에 신경 쓸 것이며, 피자 가게는 화덕에 공들일 것입니다. 또 인쇄소는 프린터에, 사진작가는 카메라에 비용을 좀 더 쓸 뿐만 아니라 편집을 위한 좋은 모니터도 고려할 것입니다. "순간의 선택이 10년을 좌우합니다."라는 광고 문구가 있듯이 한 번 장만한 장비와 도구는 오래 사용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에서 많은 몫을 할당하는 것이 좋습니다. 칼럼 제품은 329만 원에 달하는 값으로 판매 중이지만, 콘텐츠를 만드는 전문 작업에 필요한 요구 조건을 모두 갖추었으므로 충분히 투자할 만한 금액이라고 생각합니다. 동급 제품이 없어 비교가 어렵지만, 전문가가 주로 쓰는 EIZO, NEC, Dell 브랜드와 비교하면 ASUS ProArt는 상대적으로 저렴하면서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므로 경쟁력도 좋은 편입니다.  · Adobe RGB, DCI-P3, sRGB 등 다양한 공간을 요구한다. · 정확한 색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쓰고 싶다. ·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을 원한다.  · HDR 성능이 좋은 제품을 찾는다.  · 작업을 위한 기능이 필요하다.  · 콘텐츠 제작보다 소비하는 유형에 가깝다. · 27형 4K UHD 해상도는 부담스럽다. 이어지는 페이지를 통해제품 사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7-27

    ASUS의 기본기는 어떨지, Intel Core i9-12900KF와 같은 고성능 컴포넌트를 장착하더라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지 ASUS PRIME Z690-P WIFI D4 인텍앤컴퍼니를

  • 퀘이사존

    2022-07-27

    - 국내 기술로 개발된 ㈜소프트로이드의 교육용 캐드 프로그램 SmartCAD 기증식 진행 스마트캐드 국내 총판 ㈜인텍앤컴퍼니(대표 서정욱)는 지난 22일 국내 기술로 개발된

  • 퀘이사존

    2022-07-26

    물량 소량 풀렸습니다 5개 남았다고 나오네요

  • 퀘이사존

    2022-07-25

    안녕하세요 인텍앤컴퍼니입니다. ASUS 모니터 역대가 행사가 진행중입니다. 딱 2시간! 100대 한정으로만 진행되오니, 많은 참여바랍니다.

  • 퀘이사존

    2022-07-22

    마감이 괜찮습니다할인하네요쿠폰적용 및 청구할인시 144,930원

  • 퀘이사존

    2022-07-22

    - 종류 상관없이 구형 게임기 반납하고 'Xbox Series S’ 구매하면 최대 31만원 혜택 제공 XBOX 공식 총판 인텍앤컴퍼니(대표 서정욱)는 7월 31일까지 전국

  • 퀘이사존
  • 퀘이사존

    2022-07-21

    안녕하세요 인텍앤컴퍼니입니다. 7월 21일부터 27일까지 ASUS X 오늘의집 모니터 행사진행 예정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20

    ASUS TUF Gaming Z690-PLUS WIFI D4 인텍앤컴퍼니  택포 25만 팝니다~ 이상없이 잘 썼습니다.

  • 퀘이사존

    2022-07-20

    EventNo=37013&bannerid=eze [ASUS] ROG RYUJIN II 360 인텍앤컴퍼니 42% 412,000 238,000원 [매진]

  • 퀘이사존

    2022-07-20

    최근에 케갈하고 파워가 까만게 마음에 걸렸는데...며칠이나 됐다고 이런 딜이... 저는 못참고 질렀습니다결국 다시 새로 조립 ㅋㅋㅋ제품간단정보시소닉 OEM제조850W 80플러스골드인증 풀모듈러무상 10년보증 리퍼교환없이 새제품교환본체뿐아니라 케이블과 커넥터까지 올화이트퀘존리뷰https://quasarzone.com/bbs/qc_qsz/views/1018893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