퀘이사존
퀘이사플레이
이벤트
필드테스트
특가/예판
행사판매
퀘플 이벤트
퀘이사칼럼
벤치마크
기획칼럼
퀘플기사
비디오
퀘이사리포트
게임 DB
CPU DB
그래픽카드 DB
유저 CPU DB
유저 그래픽카드 DB
하드웨어뉴스
게임뉴스
모바일뉴스
파트너뉴스
유저사용기/필테
팁/노하우
PC조립/견적
스팀게임/PC게임
플스/엑박/스위치
모바일/스마트폰
노트북/태블릿PC
가전제품/TV
CPU/메인보드/램
그래픽카드
오버클러킹
케이스
커스텀수랭/튜닝
공랭/수랭쿨러
SSD/HDD/USB
파워서플라이
키보드/마우스
사운드기기
모니터
네트워크/인터넷
OS/소프트웨어
기타/주변기기
자유게시판
애니/피규어
유머게시판
자동차/탈것
반려동물
음식/여행
영화/TV
패션
데스크셋업
하드웨어갤러리
하드웨어박물관
나눔게시판
지름/할인정보
타세요(임시)
장터게시판
라이브스트리밍
QNA/뉴스어레인지
다큐멘터리
퀘이사전
:
지난 10월 출시된, RTX 4090은 4K 해상도에서 높은 프레임을 제공하며, 하이엔드 및 플래그십 PC 사용자의 지갑을 열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판매 가격이 250만 원을 훌쩍 넘기에 일반적인 소비자가 선택하기는 어려웠죠. 좀 더 저렴한 그래픽카드 출시를 기다려 온 소비자는 RTX 4080에 기대를 걸었습니다. 벤치마크가 공개되며 RTX 3080보다 약 45% 향상된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그러나 가격이 약 70% 상승했기에, 다른 방안을 찾아야 했죠. 오히려 RTX 4090 모델을 선택하는 사용자가 많아지는 기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이엔드 PC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주류는 역시 메인스트림 시장입니다. 일반 소비자가 PC 본체보다 비싼 그래픽카드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결국 이전 세대 제품 핫딜이나 중고거래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RTX 30 시리즈, 라데온 6000 시리즈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죠. 스팀 통계에서 FHD 해상도 사용자 비중이 65.1%를 넘고 있으며, QHD는 13.4%로 약 5배에 달하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처럼 FHD 또는 QHD 해상도에서 게임을 즐긴다면 이전 세대 그래픽카드도 충분합니다.
RTX 3060 Ti가 탑재된 시스템 전력 소비량은 약 400 W 내외이며, 스탠다드 또는 브론즈 인증 파워를 선택하면 충분합니다. 해당 시장을 겨냥하여 에너지옵티머스에서 새로운 브론즈 파워를 선보였습니다. 바로 EXCEL CLASSIC 700W 230V EU BRONZE로 기존 EXCEL 시리즈 후속 제품입니다. 라인업 중 두 번째로 출력이 높은 700W 파워 구성과 성능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 파워서플라이, 전원 케이블, 케이블 타이, 케이블 조립 나사(4개)
제품 박스는 검은색이며, EXCEL CLASSIC 제품명과 파워 용량, 브랜드 로고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30V EU BRONZE 인증을 상징하는 갈색을 포인트로 사용했습니다. 측면에는 제품 특징(섬네일), 스펙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사진을 전면에 배치하는 기존 제품들과 달리 간단한 텍스트로만 표기하는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품 크기] 140×150×86 mm
EXCEL PRO, EXCEL FOUCS 시리즈가 금색 팬그릴을 포인트로 사용했다면, CLASSIC 시리즈는 은색으로 변경했습니다. 검은색과 은색 조합으로 좀 더 차분한 느낌을 보여줍니다. 크기는 표준 ATX(140×150×86 mm)규격을 준수합니다. 제품 스펙표는 측면이 아닌 하단부(스티커)에 배치하여, 깔끔함을 유지합니다.
※ 측정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케이블 구성] 플랫(블랙) 케이블 + 직조 슬리빙 마감(20+4 Pin 케이블만 해당)
[케이블 두께] 18 AWG
블랙 플랫 케이블로 시스템 빌드를 깔끔하게 할 수 있습니다. 다만, 20+4 PIN 메인 전원 케이블만 직조 슬리빙이 추가되었습니다. CPU 보조 전원과 그래픽카드 전원 케이블은 브리지(=Y자) 타입입니다. 그래픽카드 소비 전력이 225W 넘는 경우, 1 케이블 1 커넥터 사용을 권장하기에 추후 케이블 구성이 변경되면 좋겠습니다.
AWG = 케이블 피복을 제외한 내심(실제 전선)의 굵기를 표시하는 단위로, AWG가 작을수록 굵은 내심을 가진 두꺼운 케이블입니다. 되도록 굵은(AWG 숫자가 낮은) 케이블을 쓰는 것이 안정적입니다. PC용 파워서플라이에서는 주로 18 AWG 두께 케이블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1차 측 콘덴서] NIPPON CHEMI-CON 470uF / 420V - 105℃
[2차 측 콘덴서] JAYIE 2200uF / 6.3V - 105℃, 3300uF / 16V - 105℃
PCB는 검은색이며, 500W~800W 용량까지 사용되는 부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MI 필터, 퓨즈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방열판 사이에 메인 트랜스와 스위칭 트랜스가 위치합니다. 출력단에는 DC to DC 회로를 추가했으며, 이를 통해 12V 전압 출력을 최대 100%까지 높였습니다.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만약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보호회로가 적용되었습니다.(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OCP(Over Current Protection) = 과전류 보호회로
UVP(Under Voltage Protection) = 저전압 보호회로
SCP(Short Circuit Protection) = 단락(합선) 보호회로
OVP(Over Voltage Protection) = 과전압 보호회로
OPP(Over Power Protection) = 과전력 보호회로
OTP(Over Temperature Protection) = 과온도 보호회로
쿨링팬은 120mm 규격에 Hydraulic Bearing(HYB)을 사용했습니다. 흔히 부르는 유체 베어링의 종류 중 하나로, 소음이 적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베어링 정보, 에너지옵티머스 공식 답변)
80PLUS 인증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Unit : PSU) 효율에 관한 인증 부분에서 가장 신뢰가 높은 인증 기준값이라 할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규격으로, ECOS(미국 에너지 효율 인증 기관)에서 2004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부하에 따른 효율 부분에 대한 규격으로 10% 부하에서부터 20%, 50%, 100% 정격 부하 환경에서 80% 이상의 효율 성능을 보여주는 제품에만 제공되는 인증마크입니다. (80PLUS 공식 홈페이지 참고)
파워서플라이 테스트 간 장비, 환경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변인 통제를 100% 완벽하게 하기란 실제로 불가능합니다. 다만, 퀘이사존 자체 가이드라인에 따라 공정성과 객관성에 문제가 없도록 파워서플라이 모든 제품에 동일한 테스트 방식을 적용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230V EU BRONZE는 20% 부하에서 88.08%, 50% 부하에서 89.54%, 100% 부하에서 86.25%로 230V EU BRONZE 기준을 만족합니다.
12V 라인과 3.3V, 5V 최대 출력 테스트도 진행을 해봤습니다. +12V 최대 부하(=700W 출력)에서는 87.25%로 측정되었으며, +3.3V와 +5V 라인(=110W 출력) 최대 부하에서는 81.11%로 측정되었습니다. 인텔가이드라인에 명시된 전압을 준수했습니다.
인텔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에는 +12V, +5V, +3.3V, -12V, +5VSB 각 출력 전압 기준값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중 +12V 라인은 최저 11.4V에서 최대 12.6V로 표시가 되었으며, 해당 범위 내로 출력되어야 정상 범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에서 많은 전력 소비와 안정적인 출력이 요구되는 +12V(EPS 4+4 PIN, PCIe 6+2 PIN) 라인 전압을 확인해 봤습니다. CPU 보조 전원에서 0.111V,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에서 0.088V의 전압 차이가 나타났습니다. 인텔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라인에 명시된 오차 범위 ±5%보다 타이트한 ±1% 이내로 큰 변화 없이 고른 출력을 보여줬습니다. 샘플 및 테스트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전원이 공급되면 쿨링팬이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10%~50% 부하까지는 600 RPM 이하로 쿨링팬이 천천히 작동하며, 이후 구간부터 부하량에 비례하여 쿨링팬 속도가 상승하기 시작했습니다. 100% 부하에서는 최대 1,452 RPM으로 높아졌습니다. 앞서 살펴본 800W 제품과 비교 시 250 RPM 낮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디자인 가이드(ATX 폼팩터 기준)에는 5VSB(=5V STAND BY) 전력에 대안 기준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ErP Lot 3 2014 및 ErP Lot 6 2010 / 2013에는 5VSB 대기전력 효율이 가능한 한 높아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으며, 그중 550mA, 1A 및 1.5A 구간에서는 75% 이상 효율 이상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마다 5VSB 최대 출력이 다른데요. 이점을 고려하여 5VSB 출력이 3A보다 높은 경우에는 최대 3A 기준에서 75% 이상 효율을 달성해야 한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퀘이사존에서는 이러한 가이드 기준에 따라 550mA, 1A, 1.5A 그리고 파워 스펙에 명시된 최대 5VSB 출력값을 기준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550mA, 1A, 1.5A, 2A, 2.5A, 3A 총 6개 테스트에서 기준치인 75%보다 높은 +5VSB 효율 성능을 확인했습니다.
▲ Tektronix TDS2024C Oscilloscope
파워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뜻합니다. 리플(Ripple)은 교류(AC)가 완전히 직류(DC)로 변환되지 못하고 AC Peak 시 흔적을 남기게 되어 맥박이 뛰는 것 같은 직류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리플이라 합니다. 파워 특성상 고주파 스위칭 과정에서도 리플과 전기적인 노이즈 출력이 함께 직류에 나타나게 됩니다. 리플과 노이즈는 구분하지 않고 함께 측정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리플&노이즈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리플&노이즈는 콘덴서의 수명을 단축하고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음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좋으며, 설계 가이드에서도 보통 출력 전압의 1~2% 이하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각종 노이즈가 전압을 왜곡시켜 전위 차이를 이용한 신호에 오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리플&노이즈 양이 적을수록 좋습니다.
파워서플라이 리플&노이즈 테스트 결과는 20%, 50%, 100% 3가지 환경에서의 측정값을 도표에 입력 후 표기하였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12V는 최대 120mV / 5V는 최대 50mV / 3.3V는 최대 50mV 기준치 이내에 들어오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12V, +5V, +3.3V 라인에서 인텔 파워서플라이 가이드를 만족하는 결괏값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메인스트림 게이밍 시장에서 FHD 해상도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QHD와 UHD 사용자가 점점 늘고 있지만, FHD의 비중이 60%를 넘고 있기 때문이죠. FPS, RTS 게임을 즐기는 게이머는 FHD를 더 선호하기도 합니다. RTX 4090을 구매하려는 게이머도 있겠지만, 현실 타협으로 RTX 3060 등급 내외 그래픽카드를 선택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메인스트림 PC에 탑재되는 파워는 주로 스탠다드 또는 브론즈 제품 비중이 높습니다. 신제품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230V EU BRONZE도 이러한 시장을 겨냥한 제품입니다. 소비자가 선호하는 콘덴서, 베어링, 케이블로 구성했으며, 무상 7년으로 AS 기간도 넉넉합니다.
최근 출시된 파워서플라이는 상향 평준화되며, 일정 수준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EXCEL CLASSIC 700W도 마찬가지입니다. 230V EU BRONZE 인증을 받아 50% 부하 기준값(88%)보다 높은 89.54% 효율을 보장하며, 100% 부하에서도 86.25%를 기록하여 인증 기준치보다 1% 이상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출력단에 DC to DC 회로를 추가하여, 12V 전압도 ±1%(0.111V) 내외로 우수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국내 사용자는 파워 선택 시 쿨링팬 구성도 꼼꼼히 체크합니다. 베어링과 최대 팬 속도가 얼마인지 중요하죠. EXCEL CLASSIC은 HYB(유체베어링) 120 mm 쿨링팬을 사용했습니다. 여기에 50% 부하까지는 600 RPM 내외로 느리게 작동하며, 100% 부하에서도 1,450 RPM 내외로 준수한 팬 속도를 보여줍니다. 소음에 민감한 소비자 성향에 맞게 설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메인스트림 700W 파워를 찾고 있다
· 파워 선택 시 100W당 1만 원 정도면 알맞다
· 플랫 케이블은 무조건 있어야한다
· 저부하 조건에서 쿨링팬이 천천히 작동하면 좋겠다
· 선정리 편의성을 위해 모듈러 파워 제품을 선호한다
· CPU 및 그래픽카드 보조 전원, 1케이블 1케넥터를 선호한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230V EU BRONZE
댓글: 38개
알파스캔 콘퀘스트 32U90G
알파스캔이 만든 4K 144 Hz 게이밍 모니터
ASUS TUF Gaming RTX 4070 Ti O12G OC 12GB 인텍앤컴퍼니
심플함과 견고함의 조화
마이크로닉스 WIZMAX 750W 80PLUS SILVER
아, 그러고보니 실버 등급도 있었지!
Razer Anzu Smart Glasses
이젠 안경도 스마트하게
JONSBO D31 MESH SCREEN White - Mini Tower CASE
내 케이스엔 디스플레이가 들어간다구?
마이크론 Crucial DDR5-5600 CL46 (16GB)
표준 메모리도 이제는 5,600 MHz는 써줘야지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4080 Advanced OC 16GB
일관된 디자인의 미학
BenQ ZOWIE XL2566K
원조 게이밍 모니터, 360 Hz로 궁극 진화
레노버 LEGION 5i Pro 16IAH I9 3070Ti
데스크톱 PC 대신 노트북?
ASUS EX B760M-V5 D4
원초적 메인보드
ASRock B650 LiveMixer 대원씨티에스
주의. 퀘이사존 컬래버 아닙니다.
TeamGroup T-Force DDR5-6000 CL38 Vulcan Black 32GB(16Gx2)
심플한 멋을 추구하는 6,000 MHz D5 메모리
3RSYS Socoool RTC 12 - Thermal Compound
가성비 공랭, 수랭에 이어 이젠 서멀컴파운드까지
GAINWARD 지포스 RTX 4070 Ti 피닉스 12GB
게인워드를 알고 있나요?
BRAVOTEC GUARDIAN 3100M V2 타이탄 글래스 화이트 - Big Tower CASE
가태식이 돌아왔구나! GUARDIAN 3100M 그 두번째!
퀘이사존-전 우주급 커뮤니티: 우주의 시작부터 끝까지
퀘이사존 로그인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회원가입
퀘이사존 칼럼
퀘이사존 리포트
ASRock은 역시 늘 새롭고 짜릿해
4070 Ti 뽕 뽑는 방법(feat. 언더볼팅)
NVIDIA.. 또 당신입니까?
[13900KS 국내 출시] 앗! 일본보다 40만원 더 싸다?!
이런 게 진짜 인싸템이지~! [MAX vs. MAX]
퀘이사존을 다양한 미디어에서 만나보세요
신고하기
투표 참여자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