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228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20,900 원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38,600 원
  • 로켓배송 듀라셀 알카라인 AA 건전지
    13,900 원
  •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헤어에센스 상한머리 손상모 헤어로션 수분 모발 크림 + 사은품
    22,000 원
  • 로켓배송 코닥 알카라인 건전지 AA 벌크형
    5,990 원
  • 로켓배송 홈플래닛 알카라인 AA건전지
    8,89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07-28

    케이스 1년, 쿨링팬 3년이라는 독특한 AS 정책을 가지고 있는데요. 보통 케이스 구성에서 주로 번들팬이 자주 고장 나는 만큼 사용자 입장에서는 메리트가 느껴지는 부분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28

    이는 이번 칼럼에서 살펴보는 DuoCast뿐만 아니라 하이퍼엑스 브랜드에서 찾아볼 수 있는 전반적인 특징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27

    컴퓨터 하드웨어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는 ASUS에서는 오래전부터 다양한 제품을 선보여 왔습니다.

  • 퀘이사존

    2022-07-27

    ▲ 자세한 제품 사진,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ASUS PRIME의 위치     ASUS는 브랜드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깨달은 PC 컴포넌트 제조사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26

    ASRock H610M-ITX/ac D4 에즈윈이 여기에 쏙 들어맞는 제품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26

    이번 칼럼의 주인공인 darkFlash DLX200이 말이죠.    

  • 퀘이사존

    2022-07-21

    ASUS ROG STRIX Z690-G GAMING WIFI 벤치매뉴얼 영상 mATX 보드에 담은 ROG STRIX ASUS ROG STRIX Z690-G GAMING

  • 퀘이사존

    2022-07-20

    어항이 아니에요!    초등학교 저학년 시절의 기억을 조금 더듬어 보면, 교실 창가 근처에 있었던 어항이 떠오르곤 합니다. 당시 어린아이들에게 책임감을 키워주고 싶어 하셨던 담임 선생님이, 직접 사비를 들여 어항과 금붕어 몇 마리를 구해오셨죠. 학급 아이들 모두가 함께 키울 수 있도록 마련했으며, 날마다 청소 당번이 먹이를 주거나 간단히 어항 주변을 청소하곤 했었습니다. 이런 어린 시절 이후로는 어항을 가까이에서 볼 일이 없었는데요. 지난 2022년 5월에 사무실에 입고된 HYTE Y60 WHITE 모델을 보면서 다시금 어항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른 강화유리 케이스와 다르게 전면과 좌측 강화유리 패널 사이에 별도의 프레임이 없는 파노라마 디자인을 적용하여 내부를 더욱더 시원하게 감상할 수 있기 때문이죠. 실제 'Robeytech'라는 유튜브 채널에서는 Y60을 어항처럼 꾸며 놓기도 했습니다.    ▲ HYTE Y60 BLACK  /  출처 : Robeytech 유튜브 채널HYTE Y60 WHITE 칼럼 바로가기    HYTE Y60 WHITE 칼럼이 등록되고, 2개월이 지난 지금 퀘이사존에 다시 한번 HYTE Y60이 입고되었습니다. 이번엔 WHITE가 아닌 BLACK 모델입니다. 개인적으로 기존 WHITE 모델은 외부만 흰색이라서 아쉬웠는데, 이번 BLACK 모델의 경우엔 강화유리 패널을 제외한 전체가 완전히 검은색으로 덮여 있어서 일체감이 상당히 좋았습니다. 이미 Y60 WHITE 모델을 영상과 칼럼으로 자세히 소개해드렸으니, 이번엔 BLACK 모델을 통해 다시 한번 Y60의 매력을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검은색과 특이한 듀얼 체임버 구조의 케이스를 선호한다면 이번 리포트를 보는 맛이 있을 겁니다.    구성품은 HYTE라고 적힌 무지 박스에 담겨 있습니다. 박스를 열면 조립에 필요한 각종 나사, HD Audio & MIC(4극) 포트에 사용할 수 있는 스플리터(Y자) 케이블, 케이블 타이가 보입니다.       외형은 이전에 칼럼으로 작성했던 WHITE와 같습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일부 패널의 색 차이가 있는데요. 외부 금속 프레임 부분이 흰색이었던 WHITE 제품과 다르게 BLACK 제품은 모두 검은색으로 통일되었습니다. 내부에 장착된 라이저 케이블 하우징 역시 검은색인데, 이는 내부 파트에서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사진에는 담겨 있지 않지만, 최초 제품을 개봉하면 강화유리엔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또한, 강화유리를 다룰 때 주의하라는 문구가 적힌 스티커도 붙어있죠. 스티커 옆으로 손나사가 하나 보이는데 측면 강화유리를 고정하는 나사로 이를 분리한 뒤 강화유리를 탈거할 수 있습니다. 손나사와 상단에 볼 헤드 & 클램프, 하단에 걸쇠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입니다. 손나사가 있어서 매번 분리하는 과정이 다소 번거롭긴 하지만, 그만큼 더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강화유리의 경우엔 측면에 일반 고정나사 세 개를 제거해야만 분리할 수 있는데, 볼 헤드 & 클램프 방식도 함께 적용되어 있습니다. 측면 강화유리는 도구 없이 분리할 수 있지만, 전면 강화유리는 드라이버가 필수입니다. 물론 전면 강화유리 패널을 분리할 일은 거의 없기 때문에 단점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과 측면 사이에 있는 중간 강화유리를 탈거하기 위해선 양쪽 강화유리를 먼저 분리해야 합니다. 위아래로 나사가 고정되어 있어서 여기에도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    중간 강화유리 아래에 I/O 포트가 있습니다. Power, USB 3.2 Gen1x1 Type-A x 2, USB 3.2 Gen2x1 Type-C x 1, HD Audio & MIC Combo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USB Type-C 포트가 있어서 다양한 스마트기기를 연결하기 용이합니다. 케이스를 놓는 위치를 고려하면 비스듬하게 배치된 구조 때문에 접근성도 좋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측면 금속 패널에는 독특한 스트라이프 패턴이 들어가 있습니다. Y60 케이스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 일반적인 케이스에서 보기 힘든 패턴이죠. 후면부에 위치한 손나사를 제거하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측면 강화유리 패널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합니다. 내부엔 촘촘한 먼지 필터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다만, 탈부착형이 아니기에 진공청소기나 에어 블로어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청소하는 걸 추천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도 측면 금속 패널처럼 스트라이프 패턴이 들어가 있습니다. 후면 쪽에 있는 작은 공간에 손을 넣어 들어 올리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분리가 되지 않는 촘촘한 먼지 필터를 적용하였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케이스 하단부 모습입니다. 케이스 지지대는 보통 앞·뒤에 각각 2개씩 구성하는 경우가 일반적인데요. HYTE Y60은 앞뒤로 길쭉한 바 형태로 1개씩 배치했습니다. 중앙엔 하단부 모양과 동일한 먼지 필터가 걸쇠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먼지 필터를 제거하기 위해선 케이스를 눕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 이 부분은 슬라이딩 방식을 사용했다면 더 편했을 것 같습니다. 먼지 필터 뒤로 120 mm Non-LED 쿨링팬 2개가 흡기 구성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후면을 보게 되면, PCI 슬롯이 평범하지 않은데요. 수평 PCI 슬롯 7개는 LPLow Profile 규격 제품만 지원합니다. 따라서 LP 타입이 아닌 일반 그래픽카드라면 기본 내장된 라이저 키트를 이용하여 수직 슬롯에 장착해야 합니다. 수직 PCI 슬롯은 3개이며, 강화유리와 간격이 어느 정도 있어 약 3.5 슬롯(75mm)까지 장착 가능합니다.     후면에는 SSD & HDD 브래킷이 두 개 있습니다. 손나사로 고정하는 간편한 슬라이드 방식인데요. 한 개의 브래킷에 SSD(2.5형) 2개 혹은 HDD 1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외부 패널을 모두 제거한 케이스의 모습입니다. 내부 바닥을 보게 되면, 여기에도 스트라이프 패턴을 넣은 에어홀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 장착부 우측에 있는 케이블 통과 구멍에는 케이블 가림막이 제공되는데, 일반적인 가림막은 *이나 +모양으로 뚫려있는 것에 반해, Y60의 가림막은 조금 더 입체적인 모양으로 디자인했습니다. 두께도 있고, 중간중간 구분이 되어 있어서 깔끔하게 보입니다.    라이저 케이블은 내부에 장착되어 있습니다. 메인보드에 장착되는 라이저 케이블 하우징은 WHITE 모델에선 흰색, BLACK 모델에선 검은색으로 디자인했고, 하우징 측면에 HYTE라는 로고가 들어가 있는 것도 포인트 요소입니다. 해당 케이블은 PCIe 4.0을 지원합니다. 후면엔 120 mm Non-LED 쿨링팬이 하나 장착되어 있습니다.   내부 측면 여유 공간에는 라디에이터나 쿨링팬을 추가할 수 있는 브래킷이 있습니다. 최대 280 mm 규격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죠. 메인보드 장착부 좌측 상단에 'HYTE'라고 글씨가 보이는데요. 왼쪽 면에서는 메인보드에 가려서 안보이니 오른쪽 면에서 보았을 때 HYTE를 읽을 수 있도록 타공한 디테일이 느껴집니다.    조립이 끝난 뒤 모습입니다. 상단에 Fractal Design Lumen S36 RGB를 장착하였고, 그래픽카드는 COLORFUL iGAME 지포스 RTX 3080 Vulcan OC 12GB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두 부품 모두 RGB LED가 탑재된 제품으로 파노라마 강화유리 패널이 적용된 Y60에서 더욱더 시원하고 입체적인 모습을 감상할 수 있죠.    듀얼 체임버 구조 덕에 오른쪽 면 내부는 선 정리 공간이 여유로워서 조립하기 편리했습니다. 장착한 파워서플라이는 Fractal Design Ion+2 760W Platinum으로 앞뒤 길이가 표준 ATX보다 10 mm 긴 150 mm지만 케이블을 정리하기엔 충분한 공간이 있었습니다. 공간이 충분하다 보니 측면 패널에 간섭이 없어서 좋았습니다.    LED가 적용된 부품이 돋보이는 파노라마 강화유리 패널이 적용되었지만, 아쉽게도 기본으로 제공되는 쿨링팬은 모두 Non-LED 모델입니다. 케이스에 감성을 불어넣고 싶다면, 내부 부품은 RGB 제품을 장착하여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측면에 쿨링팬 또는 라디에이터를 장착하지 않는다면, I/O 포트 바로 윗부분에 공간이 조금 남는데요. 위와 같이 작은 장식물을 넣어서 꾸며도 좋습니다.     HYTE Y60은 전면과 모서리 그리고 측면까지 이어지는 파노라마 강화유리 패널을 적용했는데, 일체형이 아닌 3개로 나누었습니다. 그래서 강화유리 사이에 카드 하나 들어갈 정도의 틈이 있습니다. 보는 이에 따라서 틈을 아쉬워할 수 있는데요. 제조사인 HYTE는 서린씨앤아이를 통해 크게 2가지의 이유가 있다고 전달해왔습니다. 첫째가 내부 쿨링을 위해 원활한 대류 조성이고, 둘째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유리를 완전히 쭉 이어서 가공하게 되면 곡률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는데, 케이스 내부 온도가 상승하면 그만큼 파손위험도 커진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일체형이 아닌 3개로 분리한 것이죠.■ 파노라마 강화유리로 구성, 어항을 연상시키는 디자인!    HYTE Y60은 일반적인 케이스와는 조금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면과 측면에 강화유리를 적용한 제품은 많지만, Y60은 패널 사이에 별도의 프레임이 없고, 모서리 부분에 대각으로 배치된 강화유리 패널을 추가하여 독특한 감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덕분에 시각적으로도 내부를 시원하게 볼 수 있습니다. 전면과 측면까지 클리어한 강화유리 패널이 적용되었기에, 어항이나 수족관이 떠오르게 되는데요. 퀘이사 칼럼으로 먼저 살펴본 WHITE 모델과 달리 BLACK 모델은 전체가 검은색으로 되어있어서 일체감이 더 훌륭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투톤 컬러의 WHITE 모델도 매력적이지만, 완전한 컬러 일체감을 원하신다면 BLACK 모델을 고르는 게 적합하다고 봅니다.■ PCIe 4.0 라이저 케이블 기본 제공!    Y60 케이스의 장점 중 하나는 바로 PCIe 4.0 라이저 케이블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는 점입니다. 일반적인 케이스는 수평 슬롯에 그래픽카드를 주로 장착하지만, Y60은 기본이 수직 장착으로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라이저 케이블이 필수인데 이를 고려하여, 수직 슬롯 3개와 PCIe 4.0 라이저 케이블이 기본 제공되죠. 덕분에 깔끔하게 그래픽카드를 설치할 수 있고, RGB LED가 내장된 제품을 사용한다면 더욱 돋보이는 연출을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수평 장착도 할 수는 있으나, LP 타입만 지원하다 보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그래픽카드는 수직 장착이 기본이 되는 것이죠. 이점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일부 사용자가 아쉬워했던 강화유리는 사실 설계였다    이전 WHITE 모델 칼럼의 댓글과 커뮤니티를 보게 되면, 종종 언급되는 부분이 강화유리 패널에 있었습니다. 실제 퀘이사존 유튜브 영상에서도 언급했던 부분인데요. 두 강화유리가 만나는 면을 자세히 보면 유리와 유리 사이가 완전히 붙어있지 않고, 카드 한 장이 들어갈 정도로 틈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먼지 유입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기술력이 부족해서 통으로 만들지 못했다는 반응도 있었는데요. 정확히는 내부 쿨링을 위한 대류 조성과 내구성 보완을 고려한 설계라고 합니다. 특히, 유리를 완전히 쭉 이어서 가공한다면 보기에는 좋겠지만, 곡률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럴 경우 내부 온도 상승 시 파손의 위험도 그만큼 커진다고 하네요. 이런 안전상의 이유로 강화유리를 구성했으니 제품 선택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7-20

    이 분야에서 가장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기업은 단연 ASUS일 겁니다.

  • 퀘이사존

    2022-07-19

    CPU 클록은 BCLK (Base Clock) x 배수로 결정됩니다.

  • 퀘이사존

    2022-07-18

    'PUSH LOCK / RELEASE'라는 문구를 볼 수 있는데, 내부가 볼 헤드와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이에 따라 패널 끝을 눌러주면 쉽게 분리가 됩니다.

  • 퀘이사존

    2022-07-18

    이번 칼럼에서 소개할 ASUS ROG 제피러스 G14 GA402RJ-L8126 (이하 ASUS ROG 제피러스 G14 GA402RJ) 역시 라라랜드 조합을 갖춘 게이밍 노트북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14

    ASUS 젠빔 LATTE L1 영상 NO SIGNAL? YES SIGNAL!    

  • 퀘이사존

    2022-07-13

    그런데 2주가 채 지나지 않아 7월 7일 ASUS가 다시금 DDR5 시장 1위를 찍었다는 내용의 기사가 올라왔죠. ASUS도 꽤 불편했었나 봅니다. 

  • 퀘이사존

    2022-07-13

    이런 구성품을 다양하게 챙겨주는 브랜드는 여러 개 있는데, 그중 가성비 좋은 제품으로 유명한 곳이 바로 darkFlash입니다.    

  • 퀘이사존

    2022-07-11

    하지만 ASUS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폼팩터와 관련된 편견을 깨부수는 제품들을 출시해오고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7-05

    그래서 이런 분들을 위해 ASUS는 AAA 건전지를 AA로 바꿔주는 컨버터를 제공합니다.

  • 퀘이사존

    2022-07-01

    그런 의미에서  지난 6월에 소개해드린 Thermalright Peerless Assassin 120의 가성비는 누구나가 인정할만했습니다.

  • 퀘이사존

    2022-06-30

    ASRock도 이런 기조에 맞춰 엔트리~메인스트림 등급에서 DDR4 메인보드를 주력으로 출시해 왔습니다.

  • 퀘이사존

    2022-06-29

    펌프 중앙 부분을 인피니티 미러를 활용한 darkFlash Twister DX-360 V2 ARGB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