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의 검색 결과 입니다. ( 1,228 건)

퀘이사존 coupang ads logo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20,900 원
  • 로켓배송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수분 헤어에센스
    38,600 원
  • 로켓배송 듀라셀 알카라인 AA 건전지
    13,900 원
  • 다노클리닉 AS 아쿠아세럼 헤어에센스 상한머리 손상모 헤어로션 수분 모발 크림 + 사은품
    22,000 원
  • 로켓배송 코닥 알카라인 건전지 AA 벌크형
    5,990 원
  • 로켓배송 홈플래닛 알카라인 AA건전지
    8,890 원
쿠팡검색 더보기
  • 퀘이사존

    2022-12-12

      ▲ 밀리터리 등급 커패시터를 사용한 TUF Gaming 그래픽카드(출처: ASUS)     그 다음으로 유명한 인증 등급은 미 육군 납품 규정인 MIL-STD-810, 통칭

  • 퀘이사존

    2022-12-12

    바로 SUITMASTER U1000 ONE ARGB라는 모델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12

    등급까지 하이엔드인 ASUS ROG MAXIMUS Z790 APEX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09

    ASRock은 역시 메인스트림이 탄탄해     4대 메인보드 제조사 중 한 곳인 ASRock의 메인보드 브랜드 체계는 다소 복잡합니다.

  • 퀘이사존

    2022-12-07

    [기본 탑재된 쿨링팬] 전면 : Aspect 14 x 2 EA [쿨링팬 호환성] 전면 :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 / 후면 : 120 mm

  • 퀘이사존

    2022-12-05

    수많은 PC 컴포넌트 제조사 중에 ASUS는 브랜드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깨달은 PC 컴포넌트 제조사입니다.

  • 퀘이사존

    2022-12-02

    LANCOOL 216, 다양한 기능을 담은 케이스!    PC 케이스는 대부분 주요 부품이 장착되는 위치가 정해져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는 체임버 안쪽에, 파워 앞으로는 저장장치를 장착하게 하죠. 바로 위에는 메인보드와 CPU, 그래픽카드가 순차적으로 자리를 잡습니다. 하지만, 일부 케이스들은 사용자 취향에 맞게 내부 레이아웃 일부를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는데요. 대표적으로 리안리 LANCOOL III를 꼽을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 손잡이를 이용하여 열 수 있는 상·하단 분리형 측면 패널, 섀시 구조와 I/O 포트 위치 변경 등 뛰어난 조립 편의성과 확장성을 보여준 제품인데요. 이번 칼럼의 주인공 역시 꽤 유용한 기능들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바로 또 다른 'LANCOOL' 시리즈인 LANCOOL 216입니다. LIAN LI LANCOOL 215 칼럼 바로가기    제품명에서 2020년 12월 퀘이사 칼럼으로 소개해드린 LANCOOL 215의 단순 파생형으로 예상할 분도 계시겠지만, 실제로는 제법 차이점이 많습니다. 우선 디자인부터 LANCOOL III의 느낌이 더 강하고, 사용자 편의성과 구조 변경 기능 등에서 역시 LANCOOL III를 떠올리게 하는데요. 지금부터 LACNCOOL 216의 본 모습을 하나씩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구성품] 후면 PCI 쿨링팬 브래킷, 라디에이터 브래킷 가림막, 툴박스, 사용 설명서    후면 PCI 쿨링팬 브래킷과 라디에이터 브래킷 가림막은 내부 파트에서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툴박스에 조립에 필요한 각종 나사 및 도구가 들어있어 관리하기 편리합니다.       디자인은 기존 LANCOOL 215보다는 LANCOOL III에 가깝습니다. 전면 패널 디자인이나 측면 메시 부분을 보면 거의 유사하다고 볼 수 있죠. 다만, 측면 패널은 전면 패널 양쪽을 살짝 당기면 열리는 LANCOOL III와는 다릅니다. 이는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히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LANCOOL III처럼 전면 패널 양 사이드에 있는 레버를 당겨서 여는 스윙 도어 방식은 적용되지 않고, 후면에 위치한 손나사와 상단에 볼 헤드 & 클램프, 하단에 걸쇠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하단 메시 패널 개폐 방식도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 LANCOOL III의 경우 경첩으로 고정된 스윙 도어 형태였다면, LANCOOL 216은 걸쇠와 후면 나사로 고정하는 슬라이드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오른쪽 측면은 금속 패널을 적용하였습니다. 이 부분은 기존 LANCOOL 215와 동일한데요. 다만, 고정 방식은 볼 헤드 & 클램프와 걸쇠를 사용하여 이전보다 간단하게 탈착이 가능했습니다.     전면 패널은 메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패널 하단을 보면 리안리 로고가 포인트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LANCOOL 215의 경우 해당 부분에 LED가 적용되었는데, 이번엔 LANCOOL III처럼 각인만 되어있습니다.[I/O 포트 구성] USB 3.2 Gen2x1 Type-C x 1, USB 3.2 Gen1x1 Type-A x 2, HD Audio & MIC Combo, Reset, Power    패널 상단에는 I/O 포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면 패널의 왼쪽 측면에 I/O 포트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자리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상단에서 하단으로 변경할 수 있는 LANCOOL III와는 차이가 있네요. 변경한 모습은 내부 파트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전면 패널은 하단 공간에 손을 넣어 당기면 탈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에도 메시를 적용한 모습입니다. 해당 패널은 후면에 위치한 2개의 손나사를 풀어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하단부는 네 모서리에 케이스 지지대가 있고, 모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있습니다. 파워 장착 부분은 육각형 에어홀이 타공되어 있고, 슬라이드형 먼지 필터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외부 패널을 모두 제거한 뒤 모습입니다 LANCOOL III처럼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이 분리되는 형태로 되어있습니다. 나사 2개와 걸쇠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 장치] SSD 2개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쿨링팬 호환성] 하단 : 140 mm 2 EA or 120 mm 2 EA[라디에이터 호환성] 하단 : 240 mm        브래킷을 사용해 파워 체임버 상단에 SSD를 장착할 수 있고, 이를 분리하고 쿨링팬을 장착할 수도 있습니다. 240 mm 규격 라디에이터는 브래킷을 분리하여 장착 후 채임버 상단에 고정하시면 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PCI 슬롯] 수평 7 EA / 90° 회전 가능 /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 / 슬롯 사이 프레임이 없는 개방형    PCI 슬롯의 경우 후면에 위치한 4개의 고정 나사를 풀어서 90° 회전을 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회전시키고, 동봉된 스탠드오프를 장착한 뒤, 별도로 라이저 케이블을 사용하면 그래픽카드를 수직으로 장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라디에이터 장착 위치가 상단 또는 하단이냐에 따라서 메인보드 스탠드오프의 위치를 바꿔줘야 합니다. ATX 메인보드 기준으로, 라디에이터를 상단에 장착할 땐 기본 상태로 사용해도 되지만, 하단에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경우 스탠드오프의 위치를 모두 위로 이동시켜야 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메인보드 I/O 포트 브래킷의 방향도 변경해줘야 합니다. 양 측면에 있는 고정 나사를 푼 후 상하를 뒤집어 재장착하면 되겠습니다        케이스 내부 중앙에 브래킷은 분리가 됩니다. Extended-ATX 보드 사용자를 위해서 위와 같이 구조를 변경할 수 있도록 기능을 만들어 두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기본 쿨링팬] 전면 : 160 mm ARGB FAN x 2 EA / 후면 : 140 mm Non-LED FAN x 1 EA[쿨링팬 호환성] 전면 : 160 mm x 2 EA or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  후면 : 140 mm x 1 EA or 120 mm x 1 EA상단 : 140 mm x 2 EA or 120 mm x 3 EA        LANCOOL 215의 전면팬의 경우 200 mm 2개를 제공했지만, 이번 216에 와선 160 mm 2개로 변경되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팬은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으며, 브래킷은 손나사로 섀시에 고정되어 있습니다. 사용하려는 전면팬 규격에 맞게 160 mm는 가장 바깥 나사홀, 140 mm는 중앙 나사홀, 120 mm는 가장 안쪽 나사홀을 이용하면 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구성품에 들어있던 후면 PCI 쿨링팬 브래킷은 위와 같이 PCI 슬롯 쪽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PCI 슬롯 바로 뒤에 장착하거나, 바로 옆에 있는 에어홀 뒤에 장착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출처 - 리안리 공식 홈페이지    외형 파트에서 언급했듯 기존 I/O 포트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고정 나사를 풀어준 뒤 위치를 바꿔서 장착하면 위와 같이 전면부 사이드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을 책상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는 분들에겐 유용한 기능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전용 액세서리를 별도로 구매하면 ARGB 컨트롤러가 포함된 USB I/O 포트를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 라디에이터 장착부는 고정 나사를 풀면 브래킷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에 2열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경우 빈 공간이 생기기 마련인데, 이를 막는 가림막도 제공합니다. 세심함이 느껴지는 구성이네요.▲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내부 구성] SSD 브래킷 2개, 케이블 고정대, 메인보드 후면 가림막, 팬허브, 벨크로 타이[팬허브] PWM 4핀 6포트 / 5V 3핀 4포트▲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체임버 내부엔 HDD 베이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해당 베이는 위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위치를 옮기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HDD 베이] 2 EA / 최대 SSD 2 EA & HDD 2 EA 장착 가능    해당 HDD 베이는 분리하여 사용이 가능합니다. 하나의 베이에 SSD와 HDD가 각각 1개씩 장착됩니다.[선 정리 공간] 31 mm(27 mm + 측면 내부 패널 공간 간격 4 mm)[메인보드 PCB와 상단 사이 간격] 49 mm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강화유리는 약 3.8T, 섀시부터 금속 패널까지 약 0.8~1.0T입니다. 전반적으로 견고한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GIGABYTE 지포스 RTX 4080 AERO OC 16GB 그래픽카드, 리안리 GALAHAD AIO 360 ARGB White 수랭 쿨러, GIGABYTE Z690 AERO G 메인보드[그래픽카드 호환성] 길이 392 mm[라디에이터 호환성] 상단 & 전면 : 360 / 280 mm 규격, 하단 240 mm 규격[저장 장치] 최대 SSD 6개 & HDD 2개    조립을 끝낸 뒤 내부의 모습입니다. 화이트 컬러에 맞게 내부 부품도 동일한 컬러로 구성해보았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시스템 구동 시, 화이트 부품들과 RGB LED가 절묘하게 어울리는 모습입니다.     2022년 9월 30일 작성 기준 케이스 칼럼부터 ATX 및 Mini-ITX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스템에 다소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 테스트에 사용되었던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 그래픽카드의 서멀 재도포 작업을 진행하여 이전보다 온도 효율이 더 좋아졌습니다. 이점을 참고하시어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2022년 10월 7일 이후 칼럼부터 테스트에 사용한 일체형 수랭 쿨러가 Fractal Design Lumen S24 RGB에서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모델로 변경되었습니다.     ATX 규격 이상 케이스는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다면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CPU는 Intel Core i9-9900K(MCE ON)를 사용합니다. Mini-ITX 케이스는 Intel Core i7-10700K를 장착하여 NOCTUA NH-L12S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수랭 쿨러 장착 가능한 케이스의 경우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를 장착하여 진행합니다.) 공통사항으로는 PWM 모드 Normal(Standard) 프리셋과 GD900 서멀컴파운드 사용입니다.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는 Cyberpunk 2077를 10분간 구동하면서 HWiNFO를 통해 측정된 값입니다.     위 구성이 퀘이사존 케이스 쿨링 테스트 공식 프리셋이지만, 콘셉트나 구조가 특별하여 내부적으로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시나리오 추가 혹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조립 연출에 사용한 CPU 쿨러와 쿨링 테스트에 사용하는 CPU 쿨러는 다른 제품입니다. 쿨링 테스트는 위에서 언급한 CPU 쿨러 2종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있으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2022/2/24부터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라면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Intel Core i9-9900K(MCE ON),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을 장착하여 케이스 쿨링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쿨링 테스트를 진행 결과, CPU 스로틀링, 급격한 GPU 부스트 클록 하락 등 이상 현상은 없었습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다양한 기능으로 조립하는 맛이 있다!    LANCOOL 216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눈에 보이는 대부분의 부품은 분해나 변경이 가능한데요. 기본적으로 상단에 있는 I/O 포트의 위치를 측면으로 옮길 수 있어, 책상 위에 본체를 두고 사용하는 분들이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측면 메시 패널 및 상단 라디에이터 브래킷도 분리가 가능하여, 조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상단에 저장 장치나 쿨링팬, 라디에이터도 장착이 가능하여 다양한 빌드가 가능합니다. 내부 가림막도 Extended-ATX 메인보드를 사용한다면 거기에 맞게 변환도 가능하고, 후면 PCI 쿨링팬 브래킷이 있어 후면팬을 옮겨 장착하거나 추가로 쿨링팬을 장착할 수도 있죠. 이것저것 변경하면서 조립하는 재미가 있는 제품입니다.■ 4면 메시와 전면 듀얼 160 mm 쿨링팬으로 시원하게    이번 LANCOOL 216은 215의 디자인보다는 LANCOOL III를 더 닮았습니다. LANCOOL III처럼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에도 메시 패널을 적용하여 공기 순환이 더욱 잘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쿨링팬의 경우 기존 215가 전면 200 mm 팬 2개였던 것과 다르게 160 mm 팬 2개로 줄어들었는데요. 크기가 줄긴 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20 mm나 140 mm보다 커서 확실히 쿨링 성능은 좋았습니다. 쿨링 테스트 결과 CPU 온도 평균 52.1 ℃, GPU 온도 평균 67 ℃로 준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훌륭한 호환성    전반적인 디자인은 크게 호불호가 갈리지 않는 무난한 메시 케이스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에 호환성이 아주 우수한 편인데요. 메인보드는 Mini-ITX ~ Extended-ATX까지, 그래픽카드는 길이 392 mm까지 지원해 RTX 4090 제품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파워서플라이의 장착 공간은 HDD 베이가 장착된 상태에서도 262 mm로 여유롭습니다. 라디에이터도 상단과 전면에 최대 360 / 280 mm 규격을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에 크게 걱정이 없고, 저장 장치도 최대 8개(SSD 6 EA & HDD 2 EA)까지 넉넉하게 장착할 수 있습니다.   · 호환성이 뛰어난 케이스를 찾고 있다 · 쿨링 성능이 훌륭한 제품을 선호한다 · 조립하는 맛이 좋은 케이스를 좋아한다  · LANCOOL III 같은 스윙도어 방식 측면 패널을 원한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2-01

    Torrent White RGB 버전 찾으신 분?    PC 하드웨어에 관심 있다면 Fractal Design이라는 브랜드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쿨링팬, 일체형 수랭 쿨러, 파워서플라이를 제작하지만, 주력상품은 PC 케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Define, Meshify, Torrent 등 각 시리즈는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으며 색상, 강화유리, RGB에 따라 풍부하고 세밀한 라인업을 보유해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게다가 깔끔한 디자인과 높은 완성도로 인기가 상당한 편이죠. ▲ Fractal Design Torrent Compact White TG Clear Tint 보러가기    Fractal Design Torrent 시리즈는 '급류'를 형상화한 전면 패널과 180 mm 쿨링팬을 탑재한 공랭 특화형 케이스라는 남다른 매력으로 저를 포함한 여러 소비자를 매료시켰습니다. 또한, Fractal Design답게 여러 크기와 두 종류의 색상 그리고 RGB 버전까지 다양한 조합이 있죠. 이처럼 모든 조합이 있는 듯했지만, White + RGB 제품은 없었습니다. 비슷한 상황이었던 Meshify는 지난 10월 White RGB 제품이 새롭게 합류하며 빈자리를 메꿨는데요. 이번엔 Torrent 시리즈 차례라는 듯 Fractal Design Torrent Compact RGB Clear TG White를 출시했습니다. 단순히 기존 White 제품에 RGB 쿨링팬만 추가한 것이 아니라 변화도 생겼다고 하니, 이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조립 4. LED 연출 5.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에 급류를 형상화한 패널 디자인과 시원하게 뚫린 후면까지, 전체적인 디자인은 기존 Torrent와 같습니다. 언뜻 보면 쿨링팬을 RGB 모델로 바꾼 것으로만 생각할 수 있지만, 내부에 변화가 생겼는데요. 이는 잠시 후 내부 파트에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단은 기존과 같이 I/O 포트만 있고 막혀있는 플라스틱 패널 구성입니다. 하지만, 여기도 자그마한 변화가 있는데, USB Type-A 포트 내부가 블랙에서 화이트로 바뀌었네요. 하단에는 커다란 먼지 필터가 있는데, 역시 화이트로 바뀌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좌측 강화유리 및 우측 금속 패널 분리 방법은 그대로입니다. 후면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당기면 되죠. 상단은 볼 헤드&클램프, 하단은 걸쇠를 사용한 방식으로 별다른 도구 없이 분리할 수 있습니다. 상단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있어서 의도치 않게 열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상단 패널은 뒤로 살짝 당기면 열립니다. 내부에는 벌집 모양으로 보강해두었고, 액세서리 박스는 저장장치 트레이에 고정되어 있네요.▲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전면 패널은 프레임 상단 또는 양 측면을 잡고 당기면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내부 먼지 필터는 걸쇠로 고정되어 있어 살짝 밀어 분리할 수 있습니다. 하단 필터와 마찬가지로 색상을 블랙에서 화이트로 바꾸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하단 쿨링팬 호환성] 120 mm x 2 EA(전면 하단 쿨링팬 제거 시 120 mm x 3 EA) or 140 mm x 2 EA or 180 mm x 1 EA(전면 쿨링팬 제거 시 180 mm x 2 EA)    내부 레이아웃도 기존과 같습니다. 상단 파워 구조와 파워 체임버 측면에 RGB를 넣었고, PCI 슬롯 7개와 하단 쿨링팬 장착부까지 같죠. 하나 변화가 있다면 각종 나사와 스탠드오프를 전부 회색으로 바꿨습니다.[기본 제공 쿨링팬] 전면 - PRISMA AL-18 PWM x 2 EA[전면 쿨링팬 호환성] 기본 상태 - 180 mm x 2 EA / 브래킷 사용 시 - 120 mm x 3 EA or 140 mm x 2 EA[후면 쿨링팬 호환성] 120 mm x 1 EA    일반적으로 RGB 쿨링팬은 블레이드가 반투명한 데 비해, Prisma AL-18 PWM은 불투명해 마치 Non-LED 쿨링팬처럼 보이는데요. 실제로는 중앙 모터 부분에 RGB LED가 점등합니다. 잠시 후 어떤 모습일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기존 White 모델은 섀시 전면 부분이 블랙이었지만, White RGB 모델은 화이트로 바꿨네요.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우측 공간에서도 역시 색상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기존 Torrent White 모델에는 벨크로 타이, 케이블 가이드, Fractal Nexus 9P Slim(PWM HUB) 그리고 케이블까지 블랙이었지만, 이번 White RGB 모델은 전부 화이트로 구성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상단 파워서플라이 체임버에 있던 저장장치 트레이는 손나사 하나만 풀면 분리할 수 있습니다. 좌측(전면 방향)으로 약 50 mm 이동시켜 장착할 수 있어서 파워서플라이 장착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30

    ▲ 자세한 제품 사진, UEFI 설정 화면 보러 가기 ▲ ASUS ROG STRIX Z790-E GAMING WIFI 영상   ROG STRIX

  • 퀘이사존

    2022-11-29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700W 230V EU BRONZE 소비자 의견 반영, 메인스트림 PC에 알맞은 파워     지난 10월 출시된, RTX 4090은

  • 퀘이사존

    2022-11-28

    ASUS라고 전부 비싼 건 아니야     ASUS 제품 하면 비싸면서 좋은 제품이라는 이미지가 강합니다.

  • 퀘이사존

    2022-11-25

    이번에 소개할 정림전자 GMASTAR JG271C6742 도 광색역을 표현하는 게이밍 모니터로 퀀텀닷 필름을 사용해 표현할 수 있는 색 범위가 굉장히 넓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25

    오랜 기간 연구소로 통한 제조사, ASRock의 LiveMixer입니다.    

  • 퀘이사존

    2022-11-24

    ASRock B650E PG-ITX WiFi 영상 리뷰 연구소가 만들면 뭐가 달라도 다릅니다 팬텀게이밍, B650E 그리고 ITX의 만남   ▲ 팬텀게이밍

  • 퀘이사존

    2022-11-23

    KLEVV CRAS XR은 DDR4 때 처음 선보인 메모리입니다. CRAS X를 뒤이은 후속작으로 제품명 끝에 R을 추가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23

    ▲ NZXT H5 Flow Matte White 영상 (링크) 메시 모델도 나왔다구요!    얼마 전 퀘이사 칼럼을 통해서 NZXT H7 Elite의 동생 격이라고 할 수 있는 NZXT H5 Elite를 소개했습니다. NZXT 답게 컬러는 블랙과 화이트 2가지로 출시하였고, 깔끔하고 심플한 디자인을 보여주었습니다. 호환성 면에서도 준수하였는데, 공랭 CPU 쿨러는 높이 165 mm까지, 그래픽카드도 최대 길이 365 mm까지 지원했습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고성능 듀얼 타워 쿨러나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RTX 4090 그래픽카드도 장착할 수 있어서 최신 시스템을 구축하기도 좋았습니다. 기존 H7보다 조금 더 작은 크기와 낮은 가격으로 NZXT 감성을 느끼고픈 분에게 괜찮은 제품이었습니다.    물론, H5 Elite의 칼럼에 아쉬움을 남기는 회원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가장 많이 나오는 이야기는 "전면 패널이 메시인 제품이었으면 좋겠다" 입니다. 쿨링을 중요시하는 분이라면 메시는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인데요. 이는 H7 Elite를 소개해드렸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전면을 메시 패널로 구성한 H5 Flow를 살펴볼까 합니다. Elite 모델과 가장 큰 차이는 전면 패널 형태지만, 세부 구성에도 다소 차이가 있는데 자세한 건 이어지는 글과 사진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목차 1. 외형 2. 내부 3. 두께 4. 조립 5. 쿨링 테스트 6. 총평 뒤로가기를 누르면 목차로 되돌아옵니다.       [구성품] 사용 설명서, 각종 나사, 케이블 타이       칼럼으로 먼저 소개해드렸던 NZXT H5 Elite 모델과 흡사한 형태지만, 전면 패널이 강화유리가 아닌 메시 구성이라는 점이 눈에 띕니다.    좌측 강화유리는 최초 개봉 시 스크래치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 필름과 강화유리를 다룰 때 주의하라는 문구가 적힌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조립을 끝낸 뒤 제거하면 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강화유리 패널은 기존 H7과 동일한 방식으로 후면에 위치한 손나사와 내부의 볼 헤드 &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합니다. 손나사 하나만 제거 후 당겨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우측 금속 패널은 후면에 위치한 손나사 2개를 풀고, 잡아당기면 분리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이지만, 강화유리 패널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했다면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H5 Elite는 좌측 금속 패널에 메시가 있었지만, 이번 H5 Flow는 전면 패널이 메시로 바뀌면서 측면 메시는 적용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H5 Elite와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는 전면 패널입니다. Flow는 메시로 구성하였는데요. 에어홀이 큼직하게 뚫려있는 게 포인트입니다. 하단엔 NZXT 로고가 중앙에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먼지 필터] 걸쇠 방식    전면 패널은 내부에 볼 헤드 & 클램프로 고정하고 있어서 측면을 잡고 당기면 손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메시 패널 안쪽엔 걸쇠로 고정된 먼지 필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습니다. 기존 H5 Elite의 전면 패널 하단엔 내부를 가릴 수 있게 가림막이 있었지만, 이번 H5 Flow에는 적용이 되지 않았습니다.[I/O 포트 구성] HD Audio & MIC Combo, USB 3.2 Gen2x1 Type-C x 1, USB 3.2 Gen1x1 Type-A x 1, Power[먼지 필터] 자석 방식    상단부는 중앙에 자석으로 고정된 먼지 필터가 있습니다. 필터 자석을 보면 띄엄띄엄 붙어있는데, 이는 상단 라디에이터나 쿨링팬 장착 시 고정 나사로 인해 필터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사소한 부분에서 세심함이 느껴지네요. 필터 아래로 I/O 포트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먼지 필터] 슬라이딩 방식    하단엔 4개의 받침대가 있고, 모두 미끄러짐 방지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양쪽에 먼지 필터가 1개씩, 총 2개가 제공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하단 쿨링팬 호환성] 120 mm x 1    패널을 제거한 뒤 내부의 모습입니다. 먼저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부분을 보게 되면 독특한 구성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하단 쿨링팬 장착 위치인데요. 일반적인 케이스는 체임버 위에 장착이 되지만, H5 시리즈는 하단에 내장된 느낌으로 장착이 되어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하단 쿨링팬의 경우 필요에 따라 분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체임버 안쪽에 위치한 고정 나사들을 제거하면 깔끔하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후면 쿨링팬 호환성] 120 mm x 1    후면엔 NZXT F120Q 쿨링팬(케이스 버전)이 번들로 제공됩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NZXT 케이스의 트레이드마크라 볼 수 있는 케이블 가림막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후면에 위치한 고정 나사를 풀어서 분리할 수 있습니다. ▲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전면 쿨링팬 호환성] 140 mm x 2 / 120 mm x 2[전면 라디에이터 호환성] 280 mm / 240 mm    전면 라디에이터/쿨링팬 브래킷의 경우 손나사로 고정되어 있어서 손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기존 Elite 모델과 다른 점이 있다면 120 mm 쿨링팬 및 라디에이터를 장착할 수 있도록 나사 구멍이 생겼습니다.[상단 쿨링팬 호환성] 120 mm x 2[상단 라디에이터 호환성] 240 mm▲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저장장치 브래킷] SSD 2EA or SSD 1EA + HDD 1EA    우측면 내부에 저장장치 브래킷이 있습니다. 보통은 파워서플라이 체임버 안쪽에 HDD 베이가 장착되어 있지만, 쿨링팬과 덕트가 자리를 잡고 있죠. 선정리를 할 수 있도록 중앙과 우측 사이드에 벨크로 타이가 있습니다.[PCI 슬롯] 7개 제공 / 슬롯 간 프레임 없는 개방형 / 재사용 가능한 슬롯 커버[선 정리 공간] 약 30 mm (25 mm + 패널 공간 약 5 mm)[메인보드와 상단 패널의 간격] 약 25 mm    케이스 섀시 주요 부분 두께 측정을 위해 Mitutoyo(Micrometer 293-240 0-25MM 0.001 mm) 기기를 활용하였습니다. 케이스 두께 측정간 표기되는 단위 = T = mm(밀리미터)와 같습니다.    측면 강화유리는 약 3T, 전면 메시 패널은 약 0.9T, 외부 및 내부 섀시는 약 0.7T로 준수한 두께를 가지고 있습니다.[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NZXT N7 Z690 Matte White 메인보드 / GIGABYTE Geforce RTX 3060 Ti VISION 그래픽카드 / NZXT KRAKEN X53 RGB Matte White 수랭 쿨러[그래픽카드 호환성] 최대 길이 365 mm    조립을 끝낸 뒤 시스템 내부의 모습입니다. 화이트 컬러에 맞게 연출 역시, 화이트 제품으로 구성해보았습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H5 특유의 깔끔한 디자인이 화이트 컬러와 잘 매치가 되어있는데요. 심플하고,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한다면 고려해볼 만한 케이스라 생각됩니다.▲ 사진을 누르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NZXT H5 Flow와 함께 공개되었던 NZXT의 새로운 공랭 쿨러인 T120 RGB를 장착하고 사진을 찍어보았습니다. T120 RGB 역시 디자인이 깔끔하여 잘 어울립니다.    ※연출을 위해 쿨링팬 구성을 변경하여 조립하였습니다.     2022년 9월 30일 작성 기준 케이스 칼럼부터 ATX 및 Mini-ITX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스템에 다소 변화가 생겼습니다. 기존 테스트에 사용되었던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 그래픽카드의 서멀 재도포 작업을 진행하여 이전보다 온도 효율이 더 좋아졌습니다. 이점을 참고하시어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를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2022년 10월 7일 이후 칼럼부터 테스트에 사용한 일체형 수랭 쿨러가 Fractal Design Lumen S24 RGB에서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모델로 변경되었습니다.     ATX 규격 이상 케이스는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다면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CPU는 Intel Core i9-9900K(MCE ON)를 사용합니다. Mini-ITX 케이스는 Intel Core i7-10700K를 장착하여 NOCTUA NH-L12S로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수랭 쿨러 장착 가능한 케이스의 경우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를 장착하여 진행합니다.) 공통사항으로는 PWM 모드 Normal(Standard) 프리셋과 GD900 서멀컴파운드 사용입니다. 그래프에 기재된 온도는 Cyberpunk 2077를 10분간 구동하면서 HWiNFO를 통해 측정된 값입니다.     위 구성이 퀘이사존 케이스 쿨링 테스트 공식 프리셋이지만, 콘셉트나 구조가 특별하여 내부적으로 추가 테스트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시나리오 추가 혹은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조립 연출에 사용한 CPU 쿨러와 쿨링 테스트에 사용하는 CPU 쿨러는 다른 제품입니다. 쿨링 테스트는 위에서 언급한 CPU 쿨러 2종을 레퍼런스로 사용하고 있으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2022/2/24부터 상단(1순위) / 전면(2순위) / 후면(3순위)에 2열 일체형 수랭 쿨러를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라면 쿨링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쿨링 테스트용 조립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든 패널은 닫은 상태로 기본 장착된 쿨링팬만 작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Intel Core i9-9900K(MCE ON), Thermalright FROZEN MAGIC EX240, NVIDIA GeForce RTX 3060 Ti Founders Edition을 장착하여 케이스 쿨링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쿨링 테스트를 진행 결과, CPU 스로틀링, 급격한 GPU 부스트 클록 하락 등 이상 현상은 없었습니다.     ※케이스 쿨링 테스트 시 쿨링팬 구성은 추가나 제거 없이 제품 기본 상태로 진행하였습니다.    NZXT H5 시리즈의 차별점인 하단 쿨링팬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번에도 하단 쿨링팬 작동 여부에 따른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전 H5 Elite와는 다르게 최신 RTX 4090과 Z790 메인보드, Intel Core i9-13900K CPU를 장착하여 하이엔드 시스템을 구성했습니다. 테스트는 하단 쿨링팬 작동 중인 상태와 정지 및 밀폐한 상태, 총 2가지로 진행했습니다.    이전 H5 Elite 때와 다르게 H5 Flow는 하단 쿨링팬 작동에 따른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CPU 온도는 약 1℃, GPU 온도는 약 0.4℃의 작은 차이만 났습니다. GPU 성능 및 FAN RPM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전면이 메시로 바뀌면서 공기 순환이 Elite 제품보다 원활하여 큰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메시로 바뀐 전면 패널, 시원한 쿨링 성능!    H5 Elite 칼럼이 공개될 당시, 전면 메시가 아니라 아쉬워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쿨링을 신경 쓰는 분이라면 메시를 더 선호할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이에 이번에는 전면에 다수의 에어홀이 구성된 H5 Flow를 살펴봤는데요. 쿨링 테스트 결과 CPU 온도 평균 55.9℃, GPU 온도 평균 69.6℃로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었습니다. 기본 쿨링팬의 개수가 Elite보다 줄어들었음에도 메시가 가져오는 이점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깔끔한 디자인과 일체감 높은 컬러 구성    NZXT는 예전부터 케이스 디자인이 훌륭하다고 익히 알려져 있습니다. 심플한 디자인과 깔끔한 컬러를 가지고 있어 보는 이를 사로잡기 충분한데요. H5 Elite가 그러했듯이 이번 H5 Flow도 이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특히, 화이트 컬러에 맞게 시스템을 구성하면 컬러 일체감이 뛰어난데요. 외관 섀시 컬러부터 내부 및 구성품까지 모두 화이트로 되어있어 올-화이트 시스템을 생각 중이라면 고려해볼 만한 제품이라 생각합니다. 화이트가 아니라 블랙 컬러 제품도 있으니 취향에 따라서 고르면 되겠습니다.■ Elite보다 더 낮은 가격, NZXT를 경험하자!    H5 Flow는 기존 H5 Elite보다 조금 더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가 되었습니다. 칼럼 작성일 기준 H5 Elite가 22만 원 중반인데 반해 H5 Flow는 14만 원 중반으로 약 8만원 차이가 납니다. 아무래도 쿨링팬 개수도 줄어들고, 쿨링팬 모델도 F140 RGB 모델이 아닌 F120Q 모델(케이스 버전)을 사용하며, RGB 컨트롤러도 빠지게 되면서 더 저렴한 가격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 RGB를 선호하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NZXT 케이스를 사용해볼 수 있으니 괜찮은 선택지라고 생각합니다. 필요한 쿨링팬 정도만 추가하면 될 것 같네요.  · 쿨링 성능이 괜찮은 케이스를 원한다 ·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한다 · 하나의 컬러로 깔맞춤 할 계획이다 · NZXT 브랜드를 선호한다  · 상단 280 / 360 라디에이터 장착이 필요하다 · 3.5" HDD를 2개 이상 장착해야 한다 퀘이사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4.0 국제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22

    에너지옵티머스 EXCEL CLASSIC 800W 230V EU BRONZE 소비자 니즈에 맞게 라인업 추가     다양한 사람이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마다 원하는

  • 퀘이사존

    2022-11-18

    [조립에 사용된 주요 부품]  ASUS ROG STRIX B560-I GAMING WIFI 메인보드 / ASUS DUAL 라데온 RX 6600 D6 8GB 그래픽카드 / JONSBO

  • 퀘이사존

    2022-11-16

    PC 본체와 모니터, 키보드와 마우스만 설치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고, 문제가 생기면 비교적 편하게 AS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퀘이사존

    2022-11-15

    ASUS KO GAMING 그래픽카드     그때 출시되었다면 아마 불티나게 팔리지 않았을까 하는 그래픽카드가 ASUS에서 출시했습니다.

퀘이사존 21/22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부문
K-스타트업대상 2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2년 올해의 국민 브랜드 대상
IT 정보커뮤니티 부문 1위
퀘이사존 23년 대한민국 산업대상
하드웨어커뮤니티 플랫폼 부문
K-플랫폼 대상 3년 연속 수상
퀘이사존 23년 국민 선호 브랜드 대상
하드웨어 플랫폼 부문 수상
퀘이사존 23년 한국 대표 브랜드 TOP 100
IT 정보 커뮤니티 부문 수상

주식회사 퀘이사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37 IT캐슬2차 13층
  • 대표 : 김현석
  • 사업자등록번호 : 527-81-01065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2018-서울금천-1600
  • 개인정보관리자 : 김현석
광고/제휴 문의